$\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기념물 한란 보호구역의 개체군 구조 및 미세 서식처 선호성
Population Structure and Fine-scale Habitat Affinity of Cymbidium kanran Protected Area as a Natural Monument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7 no.3, 2014년, pp.176 - 185  

신재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구본열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한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권혜진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손성원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이종석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조현제 (한국산림생태연구소) ,  배관호 (국립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조용찬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멸종위기종이며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 종임에도 불구하고, 천연기념물 제191호 한란의 개체군 생태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바 없다. 본 연구는 2013년 10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상효동 돈내코 계곡과 접한 한란 자생지의 환경 개체군 구조 및 미세 석시처 선호성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역 (1.25 ha)에서 총 1,237 (989.6개체 $ha^{-1}$)개체의 한란을 관찰하였으며, 위인경 (pseudobulb)은 모두 4,341개, 그리고 17개체 (1.4%)에서 개화를 확인하였다. 전체 개체 중 60.9%에서 잎마름 및 반점 등의 병징이 관찰되었다. 엽면적의 경우 전체적으로 소형 개체가 가장 많고, 준중형, 중형, 준대형 및 대형의 순으로 많은 역-J자 형태로 나타났다. 한란의 크기 (위인경 수 $r_s$=-0.159, 잎 수 $r_s$=-0.148, 그리고 엽면적 $r_s$=-0.114)는 토양온도와 약하지만 유의한(p<0.0001) 음의상관을 나타내었다. 한란은 거의 모든 개체 (95.4%)가 구실잣밤나무 아래에서 자라고 있었으며, 공간적으로 모여서 자라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연구 지역에 나타난 한란 개체군 특성은 종의 서식처 선호성과 자생지의 천이 진행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란 자생지 모니터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개체군 특성에 기초한 보전방안을 논의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no population ecological research on the natural monument (No. 191) Jeju Cymbidium kanran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fine-scale habitat affinity of C. kanran in Sanghyo-dong, Jejudo Island from Oct. 2013 to Feb. 2014. We observed total of 1,237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지역에 나타난 한란 개체군 특성은 종의 서식처 선호성과 자생지의 천이 진행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란 자생지 모니터링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개체군 특성에 기초한 보전방안을 논의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시 상효동 한란 보호구역 내 한란 개체군을 대상으로 개체군 구조 및 미세서식환경을 분석하여 모니터링 기반을 마련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1) 보호구역 내 한란 개체군 구조, 2) 식생, 자생지 광환경 및 토양환경에 대한 한란의 미세 서식처 선호성, 그리고 3) 한란의 공간 분포특성을 분석하여 4) 한란 개체군 보전 전략을 마련하는 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한란의 개화를 관찰할 수 있는 곳은? 한란은 우리나라 제주도를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의 남부지방 그리고 대만 등의 지역에 분포하는 상록성 초본이며, 상록활엽수림 및 낙엽활엽수림에 분포한다 (Cribb and Bell, 1999; Tsuji and Kato, 2010). 우리나라에서는 야생 조건에서 개화를 관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한란 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432호)에서 일부 개화가 관찰되고 있다.
한란이란? , 1981; Lee, 2004), 특히 한란 개체군 구조와 특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한란은 우리나라 제주도를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의 남부지방 그리고 대만 등의 지역에 분포하는 상록성 초본이며, 상록활엽수림 및 낙엽활엽수림에 분포한다 (Cribb and Bell, 1999; Tsuji and Kato, 2010). 우리나라에서는 야생 조건에서 개화를 관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한란 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432호)에서 일부 개화가 관찰되고 있다.
한란의 개체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이유는? 한란은 제주 한라산 남쪽 사면에 해당하는 서귀포시 일원의 해발 120~850 m 사이의 상록수림대 또는 상록수와 낙엽성 수목의 혼합림 지대에 분포한다. 그러나 주변 환경 변화 및 개발 그리고 남획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Lee, 2004). 이러한 개체군 및 자생 환경 감소로 인하여 한란은 산림청 희귀식물(KNA, 2008) 및 환경부 적색자료집(NIBR, 2012)에 기재되었으며, 환경부 법적보호종 1급 및 CITES에 포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ribb, P. and S. Bell. 1999. CYMBIDIUM KANRAN. Curtis's Botanical Magazine 16(2): 98-103. 

  2. Dale, M.R.T. 1999. Spatial pattern analysis in plant e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 Frazer, G.W., C.D. Canham and K.P. Lertzman. 1999. Gap light analyzer (GLA), version 2.0: imaging software to extract canopy structure and gap light transmission indices from true-colour fisheye photographs, users mannual and program documentation. Simon Fraser Unisersity, Burnaby, BC, and the Institute of Ecosystem Studies, Millbrook., NY. 

  4. Haase, P. 1995. Spatial pattern analysis in ecology based on Ripley's K-function: Introduction and methods of edge correction. Journal of Vegegetation Science 6: 572-582. 

  5. Haase, P. 2001. Can isotropy vs anisotropy in the spatial association of plant species reveal physical vs abiotic facilitation?. Journal of Vegegetation Science 12: 127-136. 

  6. Kim, Y.J., C.Y. Park and Y.E. Choi. 2010.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extreme climate events occurrence in Jeju-do Island. Conference proceed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2010: 213-219. 

  7.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http://www.kma.go.kr. 

  8. KNA(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9. Lee, J.S. 2004.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Cymbidium kanran native to Jejudo, Kor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1): 40-49. 

  10. Lee, J.S., Y.J. Kim and B.H. Kwack. 1981. Studies on ecology of Korean native wild orchids - I. Observation of natural growth conditions in Cymbidium kanran and Cymbidium lancifolium Habita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e Science 22(1): 44-50. 

  11. Makino, T. 1902. Cymbidium kanran Makino. Botanical Magazine Tokyo 16: 10. 

  12.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IBR. 

  13. Ripley, B.D. 1976. The second-order analysis of stationary processes. Journal of Applied Probability 13: 255-266. 

  14. Seogwipo-si. 2014. The Conservation of Cymbidium kanran Makino in Jeju-do. Seoguipo-si. pp. 139. 

  15. Tsuji, K. and M. Kato. 2010. Odor-guided bee pollinators of two endangered winter/early spring blooming orchids, Cymbidium kanran and Cymbidium goeringii, in Japan. Plant Species Biology 25: 249-2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