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제주도 한란의 생태 진단에 기초한 보전 및 서식지 복원에 관한 연구
Study on Conservation and Habitat Restoration Based on Ecological Diagnosis for Cymbidium kanran Makino in Jeju Island,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9 no.1, 2016년, pp.11 - 21  

정지영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신재권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한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변준기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피정훈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구본열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박정근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서강욱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이철호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손성원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  김준수 ((주)자연과숲연구소) ,  조현제 ((주)자연과숲연구소) ,  배관호 (경북대학교 생태환경대학) ,  오승환 (국립수목원 연구기획팀) ,  김현철 (세계유산.한라산연구원 한라수목원) ,  강승태 ,  조용찬 (국립수목원 산림자원보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란은 불법 채취 및 서식 환경 변화에 의해 지속성 확보가 위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의 분포 변화, 개체군 및 자생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서식지 복원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제주도 일원의 한란 자생지 탐사를 통하여 확인된 27개의 한란 자생지를 대상으로 분포 면적의 변화, 개체군 및 자생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한란의 종 특성을 고려한 대체 서식지 조성 전략을 마련하였다. 조사된 한란은 제주도 해발 200 m~700 m 사이에 위치하였다. 2004년과 비교하여 한란의 분포 범위는 크게 감소 (-82%)하였다. 한란은 사면형 (예, 선돌지역) 및 계곡형 (예, 따라비오름) 서식지, 그리고 졸참나무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림 (선돌) 및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 모두에서 자라고 있어 특정한 서식 환경 선호성은 관찰되지 않았고, 공중습도가 높은 계곡부에서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조사된 총 96개체의 한란의 평균 밀도는 942.6 개체 $ha^{-1}$로 조사되었고, 모두 소형(평균 잎 길이=$10.7{\pm}1.1cm$ 및 촉 수=$1.2{\pm}0.2$) 개체였으며, 개화 및 결실 개체는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제주 한란은 멸종위기 (Critically Endangered, CR) 식물로 분류된다. 한란의 표현형 유연성 (Phenotypic plasticity)은 한란이 그늘진 서식지 환경에서 지속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의 닫힌 임과 및 낮은 광환경은 한란의 생활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한란 서식지 복원은 초지 또는 낮은 관목수종의 개방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ymbidium kanran Makino is being threatened in its own habitats due illegal collecting and habitat changes by vegetation growth along historical landuse change.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habitat restoration model for conservation of C. kanran based on ecological diagnosis. Through exploration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1) 한란의 분포 범위(Extent of Occurrence, EOO) 및 점유 면적(Area of Occurrence, AOO)의 변화, 2) 한란의 크기 분포등 개체군 특성, 그리고 3) 서식지의 비생물 및 군집 특성과 4) 한란의 보전 및 서식지 복원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주도 한란의 분포 변화와 개체군 및 서식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체군 및 군집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전 및 서식지 복원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 제주도 한란의 분포 변화와 개체군 및 서식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체군 및 군집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전 및 서식지 복원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의 환경 변화에 대한 한란의 적응 생태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세 가지 유형의 복원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Fig. 7). 한란의 복원 모델은 첫째, 초지형 한란 복원 모델, 둘째, 낙엽활엽수형 한란 복원 모델, 셋째, 혼합림형 한란 복원 모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란이 분포하는 지역은 어디인가? 한란(Cymbidium kanran Makino)은 제주도를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의 남부지방 그리고 대만 등의 지역에 분포하는 다년생 상록 초본식물로서 상록활엽수림 및 낙엽활엽수림에 분포하며(Cribb and Bell, 1999; Tsuji and Kato, 2010), 종(1967년)과 자생지(2002년)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 하는 국내 유일한 멸종위기식물이다(Shin et al., 2014a, b).
복원이란 무엇인가? 복원은 생태학과 농학의 이론을 결합한 응용생태학 분야로서 자연을 치유하고 증진하는 환경 기술이다(Aronson et al., 1993; Berger, 1993; Lee and You, 2001).
한란의 서식지 복원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점에서 한란의 서식지 복원(habitat restoration)은 후자를 의미하는 복원이 되며, 이러한 서식지 복원에서 생태, 문화 및 사회 가치에 대한 복합적 평가를 통하여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Miller and Hobbs, 2007). 그리고 생태계의 비가역성과 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이전에 존재했던 구조와 종조성 또는 참조 생태계(reference ecosystem)를 온전히 되돌리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Choi, 2004; Miller and Hobbs, 2007; Choi et a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ronson, J., C. Floret, E.L. Floch, C. Ovalle and P. Pontainer. 1993.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degraded ecosystems in arid and semi-arid lands. I. A review from the South. Restoration Ecology 1: 8-17. 

  2. Berger, J.J. 1993. Ecological restoration and nonindegenous plant species: A review. Restoration Ecology 1: 74-82. 

  3. Braun-Blanquet, J. 1964. Pf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Wien and New York. 

  4. Choi, Y.D. 2004. Theori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changing environment: toward "futuristic" restoration. Ecological Research 19: 75-81. 

  5. Choi, Y.D., V.M. Temperton, E.B. Allen, A.P. Grootjans, M. Halassy, R.J. Hobbs, M.A. Naeth and K. Torok. 2008. Ecological restoration for future sustainability in a changing environment. Ecoscience 15: 53-64. 

  6. Cribb, P. and S. Bell. 1999. CYMBIDIUM KANRAN. Curtis's Botanical Magazine 16(2): 98-103. 

  7. Daubenmire, R. 1968. Plant communities. Harper & Row, New York. 

  8. Frazer, G.W., C.D. Canham and K.P. Lertzman. 1999. Gap light analyzer (GLA), version 2.0: imaging software to extract canopy structure and gap light transmission indices from true-colour fisheye photographs, users mannual and program documentation. Simon Fraser Unisersity, Burnaby, BC, and the Institute of Ecosystem Studies, Millbrook., NY. 

  9. Gamon, J.A. and R.W. Pearcy. 1989. Leaf movement, stress avoidance and photosynthesis in Vitis california. Oecologia 79: 475-481. 

  10. Hall, L.S., P.R. Krausman and M.L. Morrison. 1997. The habitat concept and a plea for standard terminology. Wildlife Society Bulletin 25: 173-182. 

  11. IUCN. 2012.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Second editio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12.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Conservation of Korean fir in a changing environment, p. 205-215. In: Forest of Korea (I) Conservation of Korean fir in a changing environment. Sumengil, Seoul, Korea. 

  13.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4. Kruskal, J.B. 1964.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a numerical method. Psychometrika 29: 115-129. 

  15. Lambers, H., F.S. Chapin, III and R.L. Pons. 1998. Plant physiological ecology. Springer-Verlag, New York, New York, USA. 

  16. Lee, C.S. and Y.H. You. 2001. Development and outlook of restoration ecology as an ecology for the future.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45: 191-202. (in Korean and English abstract) 

  17. Lee, J.S. 2004. Habitat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Cymbidium kanran native to Jejudo, Korea.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7: 40-49. 

  18. McCune, B. and M.J. Mefford. 1999. PC-ORD. Version 4.0.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 

  19. Miller, J.R. and R.J. Hobbs. 2007. Habitat restoration-Do we know what we're doing? Restoration Ecology 15: 382-390. 

  20. Morrison, M.L., B.G. Marcot and R.W. Mannan. 1998. Wildlife-habitat relationships. University of Wisonsin Press, Madison. 

  2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2. Osborne, B.A., G.T. Clabby, D. Horsley and P.F. Nolan. 1994. Is acclimation required for success in high light environment? A case study using Mycelis muralis (L.) Dumort (Asteraceae). New Phytologist 127: 363-375. 

  23. Seogwipo-si. 2014. The conservation of Cymbidium kanran Makino in Jeju-do. Sumengil, Seoul, Korea. 

  24. SER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Science & Policy Working Group). 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Tucson, Arizona. (www.ser.org) 

  25. Shin, J.K., B.Y. Koo, H.G. Kim, H.J. Kwon, S.W. Son, J.S. Lee, J.H. Cho, K.H. Bae and Y.C. Cho. 2014a. Population structure and fine-scale habitat affinity of Cymbidum kanran protected area as a Natural Monument.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7: 71-81. 

  26. Shin, J.K., B.Y. Koo, H.G. Kim, S.W. Son, H.J. Cho, K.H. Bae, H.H. Ryang, J.G. Park, J.S. Lee and Y.C. Cho. 2014b. Vegetation and environment of the Natural Monument (No. 432) Jeju Sanghyo-dong Cymbidium kanran habitat. Journal of Korean Foerst Society 103: 1-18. 

  27. Song, G.P. 2007. The flora and veget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zone on east-facing and west-facing slopes of Mt. Halla. Ph D Dessert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28. Tsuji, K. and M. Kato. 2010. Odor-guided bee pollinators of two endangered winter/early spring blooming orchids, Cymbidium kanran and Cymbidium goeringii, in Japan. Plant Species Biology 25: 249-2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