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이유도 비만 Mice에서 된장 및 무염된장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Salted and Unsalted Doenjang Supplementation in C57BL/6J Mice Fed with High 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7, 2013년, pp.1036 - 1042  

배초롱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대영 (한국식품연구원) ,  차연수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된장과 된장 제조시 염을 제거한 무염된장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제2형 당뇨가 유도되는 C57BL/6J mice에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체중 증가량 및 부고환지방은 된장첨가식이군(DJ)이 고지방식이군(HD)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혈중 중성지방은 고지방식이군(HD)에 비해 된장첨가식이군(DJ)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그중 된장첨가식이군(DJ)이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보다 28.12%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군(HD)과 비교하여 된장첨가식이군(DJ)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HDL-콜레스테롤 비율(HDL-C/TC(%))은 된장첨가식이군(DJ)과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이 고지방식이군(HD)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다. 혈중 insulin 농도는 된장첨가식이군(DJ)이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leptin 농도는 고지방식이군(HD)과 비교시 된장첨가식이군(DJ)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에서의 지방산 합성 및 산화 관련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한 결과, $PPAR{\gamma}$ mRNA 발현수준은 모든 실험군(HD, DJ 및 NS)에서 증가하였으며, ACC mRNA 발현 수준은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보다 고지방식이군(HD) 및 된장첨가식이군(DJ)에서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또한 $PPAR{\alpha}$ mRNA 발현 수준은 된장첨가식이군(DJ)에서 고지방식이군(HD)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PT-1 mRNA 발현수준은 고지방식이군(HD) 및 된장첨가식이군(DJ)이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결과, 된장이 무염된장보다 항비만 효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된장이 무염된장보다 더 유의적인 결과를 보인 점은 미생물의 생육과 발효 시 무기질의 공급원이기도 한 염이 무염된장 제조 시 탈염과정에서 항비만에 관여하는 무기질과 함께 제거되면서 된장의 항비만 효능이 감소되었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향후 탈염과정 및 식염이 비만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연구하여 소금섭취를 줄이면서 기능성을 유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anti-obesity effects of Doenjang with and without salt in C57BL/6J mice. For the analysis, a total of forty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D), high-fat diet group (HD),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20% Doenjang g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제2형 당뇨가 유발되는 C57BL/6J mice를 이용하여 된장과 염을 제거한 무염된장이 지질대사 및 비만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된장과 된장 제조시 염을 제거한 무염된장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제2형 당뇨가 유도되는 C57BL/6J mice에 항비만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체중 증가량 및 부고환지방은 된장첨가식이군(DJ)이 고지방식이군(HD) 및 무염된장첨가식이군(NS)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 발생 요인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 경제발전으로 생활양식이 편리해지고 식생활의 서구화 및 운동부족으로 인해 과체중이나 비만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비만 발생 요인으로는 과도한 식이섭취, 신체활동 부족, 그릇된 생활습관, 내분비기능 이상 질환 및 유전적인 소인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당뇨병,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등의 유병율은 해마다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1).
된장에 함유된 성분은? 된장은 청국장, 간장 등과 함께 콩을 주원료로 하여 발효및 숙성시킨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기능성 발효식품으로 단백질과 아미노산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특유의 맛과 향을 지니고 있어 우리 조상들의 식생활에 널리 애용되어 왔다(2). 된장에는 여러 가지 건강 기능성을 나타내는 성분인 isoflavone, trypsin inhibitor, globulin, peptide, 식이섬유소, 비타민 E, 페놀산의 농도가 높아 각종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으며(3-7), 특히 된장 속의 필수 지방산인 linolenic acid와 linoleic acid는 피부병, 혈관 질환 예방 및 정상적인 성장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콜레스테롤의 체내 축적을 방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
나트륨 과잉 섭취 문제로 인해 발병할 수 있는 질환은 무엇인가? 이러한 우리나라의 발효식품은 한국인의 나트륨 과잉 섭취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나트륨 과잉 섭취는 혈액 내에 hypervolemia를 일으켜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위암 발생 등에 큰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11-13). 하지만 성인병을 일으킬 수 있는 염이 첨가되어 있는 우리나라 전통발효식품이 비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2007.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2: 583-591. 

  2. Kim SH, Lee KA. 2003. Evaluation of taste compounds in water-soluble extract of doenjang (soybean paste). Food Chem 83: 339-342. 

  3. Messina M. 1995. Modern applications for an ancient bean: soybeans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 J Nutr 125: 567S-569S. 

  4. Potter SM. 1995. Overview of proposed mechanisms for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oy. J Nutr 125: 606S-611S. 

  5. Coward L, Barnes NC, Setchell KDR, Barnes S. 1993. Genistein, daidzein, and their ${\beta}$ -gly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 Agric Food Chem 41: 1961-1967. 

  6. Phinney SD, Odin RS, Johnson SB, Holman RT. 1990. Reduced arachidonate in serum phospholipids and cholesteryl esters associated with vegetarian diets in humans. Am J Clin Nutr 51: 385-392. 

  7. Persky V, Van Horn L. 1995. Epidomiology of soy and cancer: perspective and directions. J Nutr 125: 709S-712S. 

  8. Lee JH, Kim MH, Im SS, Kim SH, Kim GE.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3. Separation of hydrophilic brown pigment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604-613. 

  9. Oh JY, Hahn YS, Kim YJ. 1999.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w slat Mul-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02-508. 

  10. Mok C, Song K, Lee JY, Park YS, Lim S. 2005.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y of lo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9:112-117. 

  11. Kim JD, Choi M, Ju JS. 1995.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blood pressure and dietary Na, K intakes pattern in the family members of normal and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s. J Korean Soc Food Nutr 24: 24-29. 

  12. Antonios TF, MacGregor GA. 1995. Deleterious effects of salt intake other than effects on blood pressure. Clin Exp Pharmacol Physiol 22: 180-184. 

  13. Tsugane S. 2005.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96: 1-6. 

  14. Lee IK, Kim JG. 2002.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Korean soybean paste (Doen-jang)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and/or a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Pubilc Health Assoc 28: 282-305. 

  15. Kwak CS, Park SC, Song KY. 2012. Doenjang, a fermented soybean paste, decreased visceral fat accumulation and adipocyte size in rats fed with high fat diet more effectively than nonfermented soybeans. J Med Food 15: 1-9. 

  16. Bjorntorp P. 1988.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dipose tissue distribution and disease. Acta Med Scand Suppl 723: 121-134. 

  17. Park IH, Ha AW, Cho JS. 2005. Effects of green tea-soybean paste on weights and serum lipid profiles in rats fed high fat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06-811. 

  18. Kwon SH, Lee KB, Im KS, Kim SO, Park KY. 2006. Weight reduction and lipid lowering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soybean ferment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94-1199. 

  19. Lee JJ, Kim AR, Kim CH, Chang HC, Lee MY. 2010. Effects of powders of soybean and doenjang on cholesterol level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rats fed with a high cholesterol diet. J Life Sci 20: 1134-1142. 

  20. Yang BK, Park JB, Ha SO, Kim KY, Kim KH, Park KY, Yun JW, Song CH. 2000. Hypolipidemic effect of extracts of soybean paste containing mycelia of mushrooms in hyperlipidemic ra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8:228-232. 

  21. Choi MJ, Jo HJ. 2005. Effects of isoflavones supplemented diet on lipid concentrations and hepatic LDL receptor mRNA level in growing female rats. Korean J Nutr 38:344-351. 

  22. Kolaczynski JW, Nyce MR, Considine RV, Boden G, Nolan JJ, Henry R, Mudaliar SR, Olefsky J, Caro JF. 1996. Acute and chronic effects of insulin on leptin production in humans: Studies in vivo and in vitro. Diabetes 45: 699-701. 

  23. Kim EJ, Kim YE, Kim GY. 2007. The anti-obesity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and Gastrodia elata on the obesity rats induced high-fat diet. Korean J Exercise Nutr 11: 61-68. 

  24. Gervois P, Torra IP, Fruchart JC, Staels B. 2000. Regulation of lipid and lipoprotein metabolism by PPAR activators. Clin Chem Lab Med 38: 3-11. 

  25. Lefebvre P, Chinetti G, Fruchart JC, Staels B. 2006. Sorting out the roles of $PPAR{\alpha}$ in energy metabolism and vascular homeostasis. J Clin Invest 116: 571-580. 

  26. Ferre P. 2004. The biology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Relationship with lipid metabolism and insulin sensitivity. Diabetes 53: S43-S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