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뇌혈관질환자의 소득과 교육수준에 따른 건강행태 비교 - 2010-201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Comparison of the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Income and Education Level among Cardio-Cerebrovascular Patients; based on KNHANES data of 2010-2011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0, 2014년, pp.6223 - 6233  

최지연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최성우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심뇌혈관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질병관리와 예방에 도움을 주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2010-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30세 이상의 심뇌혈관질환자 3,687명을 대상으로 건강행태, 일반적(사회인구학적) 특성, 신체계측 및 혈액검사를 소득수준별, 교육수준별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심뇌혈관질환의 유병율이 높고, 현재흡연에서의 OR(95% CI) 값은 고소득자 0.71(0.52-0.96), 고교육자 0.41(0.29-0.58)로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수준의 감소와 관계되는 현재흡연과의 상관성이 높았다. 한편 1개월음주와 고위험음주에서 고소득자의 OR(95% CI) 값은 각각 1.55(1.22-1.95), 1.42(1.11-1.82)로 음주율이 고소득자에서 높았으나 교육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걷기운동의 실천율은 소득과 교육수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소득수준이 높은 환자군에서는 절주홍보를 강조하고, 소득과 교육수준이 낮은 환자군에서는 금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 이외에도 서비스공급을 위한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help disease management and preven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income and education levels on the health of cardio-cerebrovascular patients. Using the raw data of 2010-2011 Korea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correlations of health behaviors, general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사회계층과 건강행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지만 심뇌혈관질환자들만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사회경제적 지표에 따른 건강행태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또한 기존의 연구결과 심뇌혈관질환은 건강행태와 밀접하고 이들 심뇌혈관질환자들의 건강행태가 이차적인 합병증의 발생이나 질병의 재발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에서는 심뇌혈관질환자들을 대상으로 건강행태와 소득이나 교육수준과의 연관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기존 연구들의 결과도 고찰하여, 심뇌혈관질환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여인자를 찾아내고, 교정이 가능한 인자에 대해서는 개선책을 모색하여 심뇌혈관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예방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뇌혈관질환이란 무엇인가? 심뇌혈관질환은 허혈성심장질환(관상동맥질환 : 협심 증, 심근경색 등), 심부전증 등의 심장질환, 뇌경색, 뇌출혈 등의 뇌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등의 선행질환을 총칭한다[1,2]. 우리나라의 2012년도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10대 사망원인에서 암 27.
SPSS Statistics 18 (SPSS Inc., Chicago, USA)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4분위 범주형의 독립변수를 산출한 값은? 4분위 범주형의 독립변수(소득수준, 교육수준)에 대하 여, 연속형의 종속변수들(연령, 신체계측, 혈액검사)은 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을 통해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그 외 범주형의 종속변수들은 소득수준, 교육수준과의 교차분석을 통해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다.
사회경제적 수준이란 무엇인가? 사회경제적 수준(socioeconomic status; SES)이란 물질적 부유함을 나타내는 측정치 또는 서열과 같은 사회적 위치를 나타내는 측정치에 해당하며, 사회경제적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들 중 지금까지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어온 것으로는 소득, 교육, 직업 등이 있다[13-15]. 기존의 해외 연구들은 사회경제적 수준을 정의함에 있어서 이 지표들 중 어느 것을 이용하더라도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유병율과 사망률은 증가하고 주관적 건강 수준이 낮으며,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수준도 높다는 일관된 결과를 보였고[16-18], 국내 연구들도 저소득 계층에서 심뇌혈관질환의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하 였다[9, 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H. M. Nam, S. H. Woo, Y. J. Cho, Y. J. Choi, S. Y. Back, S. Y. Yoon, J. Y. Lee, J. J. Lee, H. J. Lee,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Practice Program for Cardiocerebrovascular High-risk Group at the Education Information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Vol. 16, No. 5, pp. 580-591, 2011. DOI: http://dx.doi.org/10.5720/kjcn.2011.16.5.580 

  2.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9 Rules of Life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2011. 

  3. Statistics Korea,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2."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 tion 

  4. World Health Organisation.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Geneva, 2002. 

  5. K. W. Kang, J. H. Sung, C. Y. Kim, "High Risk Groups in Health Behavior Defined by Clustering of Smoking, Alcohol, and Exercise Habits: National Hea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Prev Med Public Health, Vol. 43, No. 1, pp. 73-83, 2010.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10.43.1.73 

  6. Korean Endocrine Societ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 Metab, Vol. 25, No. 4, pp. 301-304, 2010. DOI: http://dx.doi.org/10.3803/EnM.2010.25.4.301 

  7. J. S. Choi, "The Effect of Early Detection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on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Vol. 27, No. 1, pp. 103-130, 2007. 

  8. H. J. Park, "The Prevalence Rate and the Risk Factors for Chronic Disease among School teacher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9. K. J. Park, G. U. Lim, Y. Hwangbo, W. G. Jhang, "The Impact of Health Behaviors and Social Strata on the Preval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 17, No. 2, pp. 105-111, 2011. 

  10. Naimi TS, Brown DW, Brewer RD, Giles WH, Mensah G, Serdula MK.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confounders among nondrinking and moderate-drinking U.S. adults." Am J Prev Med, Vol. 28, pp. 369-373, 2005. DOI: http://dx.doi.org/10.1016/j.amepre.2005.01.011 

  11. Ronksley PE, Brien SE, Turner BJ, Mukamal KJ, Ghali WA. "Association of alcohol consumption with selected cardiovascular disease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BMJ, Vol. 342, d671, 2011. DOI: http://dx.doi.org/10.1136/bmj.d671 

  12. Ikehara S, Iso H, Toyoshima H, Date C, Yamamoto A, Kikuchi S. "Alcohol consumption and mortality from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Japanese men and women: the Japan collaborative cohort study." Stroke, Vol. 39, pp. 2936-2942, 2008. DOI: http://dx.doi.org/10.1161/STROKEAHA.108.520288 

  13. H. Y.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octor's Thesis (Department of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2006. 

  14. Lahelma E, Martikainen P, Laaksonen M, Aittomaki A. "Pathways between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health."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 58, pp. 327-332, 2004. DOI: http://dx.doi.org/10.1136/jech.2003.011148 

  15. Y. O. Mun, E. C. Park, M. S. Kwak, K. S. Choi, S. G. Kim, M. I. Hahm,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Self-rated Health Among Korean Population Needed to Have Cancer Screening."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Vol. 7, No. 3, pp. 157-164, 2007. 

  16. Franks P, Gold MR, Fiscella K. "Socio- demographics,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in the US." Soc Sci Med, Vol. 56, pp. 2505-2514, 2003. DOI: http://dx.doi.org/10.1016/S0277-9536(02)00281-2 

  17. Zimmer Z, Amornsirisomboon P.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among older adults in Thailand: An examination using multiple indicators." Soc Sci Med, Vol. 52, pp. 1297-1311, 2001. DOI: http://dx.doi.org/10.1016/S0277-9536(00)00232-X 

  18. Kunst AE, Bos V, Lahelma E, Bartley M, Lissau I, Regidor E. "Trends in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elf-assessed health in 10 European countries." Int J Eepidemiol, Vol. 34, pp. 295-305, 2005. DOI: http://dx.doi.org/10.1093/ije/dyh342 

  19. N. S. Kim, H. J. Song, "Women's Chronic Diseases and Policy Implication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pp. 39-46, 2004. 

  20. H. R. Kim, Y. H. Khang, K. J. Yoon, C. S. Kim,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ies and Counter Policies in Korea." Research Paper of KIHAS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4. 

  21. T. H. Yoon, O. R. Moon, S. Y. Lee, B. G. Jeong, S. J. Lee, N. S. Kim, W. K. Jhang,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among the Social Strata in Korea."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 33. No. 4, pp. 469-476, 2000. 

  22. Y. M. Kim, K. H. Jung-Choi, "Socio- economic inequalities in health risk factors in Korea." J Korean Med Assoc, Vol. 56, No. 3, pp. 175-183, 2013.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3.56.3.175 

  2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Trends and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 Results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ublic Health Weekly Report, KCDC, Vol. 1, No. 25, pp. 417-420, 2008. 

  25.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 Statistics in 2010: Analysis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1. 

  26. H. R. Kim, Y. H. Khang, E. J. Park, J. S. Choi, Y. H. Lee, Y. S. Kim, "Socioeconomic, Behavioral, Nutritional, and Biological Determinants of Morbidity, Mortality, and Medical Utilization in South Korea." Research Paper of KIHAS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6. 

  27. American Heart Association. "Heart disease and stroke statistics 2006 update." http://circ.ahajournals.org/cgi/reprint/CIRCULATIONAHA.105.171600v1 

  28. WHO. "Preventing Chronic Disease: Vital investment." 2005. 

  29.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The Operational Guidelines in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2007. 

  30. J. H. Ban, K. H. Kim,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cidence in Single- Mother Households." Quarter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 13, No. 1, pp. 33-69, 2013. 

  31. M. S. Chung, "A Study on Pauperization Process of Low-Income Woman Head of Househol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9, No. 4, pp. 191-216, 2007. 

  32. J. H. Kim, "Health Behavior of People Who Have Hypertension or Diabetic Disease by Income Class : 201 0-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ster's Degree (Graduate School of Social Development, Chung-Ang University), 2013. 

  33.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Long-term Technology Roadmap Planning to Overcome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2012. 

  34. H. W. Kim, "The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Cardiovascular diseases -Based on the 4th & 5th KNHANES-"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Health,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35.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2011. 

  36. S. R. Kim, O. K. Kim, K. E. Yun, Y. H. Khang, H. J. Cho, "Socio- 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Initiating and Quitting Cigarette Smoking Among Korean Men." Korean J Fam Med, Vol. 30, No. 6, pp. 415-425, 2009. DOI: http://dx.doi.org/10.4082/kjfm.2009.30.6.415 

  37. Jarvis MJ. "Why people smoke." BMJ, Vol. 328, pp. 277- 279, 2004. DOI: http://dx.doi.org/10.1136/bmj.328.7434.277 

  38. Leinsalu M, Tekkel M, Kunst AE. "Social determinants of ever initiating smoking differ from those of quitting: a cross-sectional study in Estonia." Eur J Public Health, Vol. 17, pp. 572-578, 2007. DOI: http://dx.doi.org/10.1093/eurpub/ckm030 

  39. J. S. Choi, "Leading Health Problems and Risk Factors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pp. 5-17, 2004. 

  4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41. J. J. Cho, "Str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 Korean Med Assoc, Vol. 56, No. 6, pp. 462-470, 2013.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3.56.6.462 

  42. Kuper H, Marmot M, Hemingway H.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of psychosocial factors in the etiology and prognosis of coronary heart disease." Semin Vasc Med, Vol. 2, pp. 267-314, 2002. DOI: http://dx.doi.org/10.1055/s-2002-35401 

  43. Bunker SJ, Colquhoun DM, Esler MD, Hickie IB, Hunt D, Jelinek VM, Oldenburg BF, Peach HG, Ruth D, Tennant CC, Tonkin AM. "Stress and coronary heart disease: psychosocial risk factors." Med J Aust, Vol. 178, pp. 272-27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