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0, 40대 남성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 인식, 태도, 건강행위실천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Knowledge, Attitude of, Health Behavior among 30, 40s Male Work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7, 2016년, pp.309 - 318  

공정현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  최혜옥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  오은진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30, 40대 남성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 인식, 태도, 건강행위실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건강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30, 40대 남성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을 증진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 J, S시에 소재한 회사에 근무하는 30, 40대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심뇌혈관질환 인식, 태도, 건강행위실천 도구를 통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대상자의 심뇌혈관질환 인식, 태도는 건강행위실천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행위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심혈관질환 인식, 뇌혈관질환 인식, 근무부서, 결혼상태 순이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14.8%이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행위실천의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nhancement of health behaviors by examining relations amo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knowledge, attitude, health behaviors among male workers in their 30, 40s, and then understanding factors having influence on health behaviors. Targeting male w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0대, 40대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심뇌혈관질환 인식, 예방에 대한 태도, 건강행위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행위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30대, 40대 남성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중재 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산업재해 감소와 건강증진 향상에 기여하고자 수행 되었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남성 근로자들의 심뇌혈관질환 인식, 예방에 대한 태도, 건강행위실천을 파악하고, 건강행위실천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지역 남성근로자들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인식, 예방에 대한 태도와 건강행위실천 정도를 파악하고 건강 행위 정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행위실천은 근로자 개개인의 기본적인 건강요구 해결을 통해 삶의 질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산업장의 생산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16]. 이에 본 연구는 30대, 40대 남성 근로자들의 심뇌혈관질환 인식 정도와 예방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건강행위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여 업무상 사망자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새로운 건강행위실천을 촉구하고 심뇌혈관 질환 발생 예방에 대한 교육 중재, 대상, 수준 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통계청, 만성질환 미래예측 및 향후 정책방향, 2015. 

  2. J. R. Smith and C. Sideney, "Current and future direction of cardiovascular risk predic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Vol.19, No.2, pp.28-32, 2006. 

  3. American Heart Association(AHA), "Highlihts of the 2010 American Heart Association Guidelines for CPR and ECC," http://www.americanheart.org. 2010. 

  4. N. T. Artinian, G. F. Fletcher, D. Mozaffarian, P. Kris-Etherton, L. Van Horn, and A. H. Lichtenstein, et al,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lifestyle changes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 reduction in adults," Circulation, Vol.122, pp.406-441, 2010. 

  5. 박미경, 김정희,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인을 가진 중년여성을 위한 통합적 생활습관개선 프로그램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11-122, 2013. 

  6. J. B. Meigs, "Epidemiology of the metabolic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Management Care, Vol.8, No.11, pp.283-292, 2002. 

  7. 한종민, 권소희, 정해경, 강홍구, 송용선, 이기남, "산업장 근로자의 직종별 생활습관과 스트레스 평가," 대한예방한의학회지, 제8권, 제1호, pp.47-58, 2014. 

  8. 이영옥, 최연희, "생산직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간호학회지, 제16권, 제1호, pp.63-70, 2013. 

  9. 고용노동부, 산업재해현황분석, 2014. 

  10. 윤종완, 이경진, 이상윤, 오장윤, "대사증후군과 심뇌혈관질환 발병위험도 평가와의 연관성: 일개 사업장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대한예방의학회지, 제40권, 제5호, pp.397-403, 2007. 

  11. 수리주안, 유승미, 궁화수, "성별에 따른 심혈관질환자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제5권, 제3호, pp.280-289, 2015. 

  12. 박지수, 근무형태에 따른 40세 이상 근로자의 10년 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도 평가,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3. 김은영, 황선영, "일 지역 남성 운전직 근로자들 의 심뇌혈관질환 발병위험도, 예방 관련 지식, 변화단계 및 건강행위," 성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4호, pp.321-331, 2011. 

  14. 김현미, 최연희, "생산직 근로자의 연령별 노후준비와 영향요인," 한국산업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17-127, 2010. 

  15. 이인숙, "호텔 근로자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03-512, 2009. 

  16. 최현희,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pp.192-200, 2003. 

  1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SA. USA. (2009). 2009 BRFSS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Questionnaire) Retrieved November 18, 2009, from http://www.cdc.gov/brfss/questionnaires/pdf-q ues/2009brfss.pdf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healthy lifestyle for the prevention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9 prevention tips Government & Society coreleased, Seoul: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8. 

  19. 이영옥,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실천행위,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20. 최영희, 폐경 후 여성 관절염 환자의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지식 및 건강행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1. 장세진, 고상백, 강명근, 차봉석, 박종구, 현숙정, 박준호, 김성아, 강동묵, 장성실, 이경재, 하은희, 하미나, 우종민, 조정진, 김형수, 박정선, "우리나라 직장인 스트레스의 역학적 즉성," 예방의학회지, 제38권, 제1호, pp.25-37, 2005. 

  22.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