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정화 미생물에 의한 갯벌의 생물학적 정화에 대한 파일럿 규모의 연구
A Study Bioremediation of Tidal Flat by Microorganism in Pilot Scale Test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10 = no.174, 2014년, pp.1110 - 1117  

최혜진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한영선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박두현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  오보영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허명제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조남규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김용희 (인천보건환경연구원)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갯벌은 영양염 순환과 오염물질 제거 등 환경적으로 가지는 의미가 크다. 이에 갯벌에서 아밀라아제, 셀룰라아제, 프로테아제, 리파아제를 생성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190균주를 순수분리하고 효소 활성 실험을 통해 그 중 활성이 좋은 균주를 선택하였으며 16S rRNA유전자 분석을 통해 Pseudoalteromonas sp. IC35 (KE804087)로 동정하였다. 또 무기황(S0)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최소배지에서 생존 가능한 황산화 세균을 31균주를 순수 분리하고 sulfate ion을 측정하여 황산화능력이 뛰어난 세균을 16S rRNA 분석하여 Halothiobacillus neapolitanus IC_S22 (KE804088)로 동정하였다. 이렇게 분리한 균주들이 환경에서 활성을 가지는 지를 측정하기 위해 유기물 분해에 대해(대조군 M1, 접종군 M2)와 황산화능력에 대해(대조군 M3, 접종군 M4)의 microcosam 반응기를 각각 구축하였다. Pseudoalteromonas sp. IC35를 접종한 M1에서 비접종군인 M2에 비해 유기물 분해 효율이 증가되었으며 microcosm 반응기 내의 생물량도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H. neapolitanus IC_S22을 접종한 M3에서 비접종군인 M4에 비해 환원성 황($S_0$)을 산화하는 능력이 상승되었으며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pilot 내에서 세균의 생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기 sulfate ion의 양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대사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부가적으로 환경에 접종함으로써 기존 세균 군집에 의한 환경정화 능력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dal flats are continuously contaminated by human activities. This study assessed the bioremediation efficiency of tidal flat soil using microcosm reactors and microorganisms originating from the tidal area. We screened 135 bacterial strains that produce extracellular enzymes from the tidal area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북항 갯벌에서 세포 외 효소를 생성하여 유기물을 분해하는 세균과 유황계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황(S0)을 산화하는 세균을 분리하여 오염된 갯벌 정화를 위한 생물학적 제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정화기법(bioremediation)은 어떤 특징을 갖고 있어, 선호되고 있는가? 최근 진환경적으로 환경을 정화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정화기법(bioremediation)이 선호되고 있다. 이는 미생물의 세포 외 효소로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고 세포내 대사를 통해 저분자 물질로 이화할 수 있는 특정한 세균의 개체군 밀도를 증가시키고 이러한 미생물의 대사활성의 증가를 유도하여 생태계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이다[19].
갯벌은 어떤 곳에서 형성되는가? 갯벌은 육상과 해안의 중간지점으로 지형이 완만하고 조석간만의 차이가 큰 곳에 형성된다. 이 지역은 수생생물의 산란 및 성장 장소가 되고 홍수예방, 해안선 침식방지 등 지리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육상의 하천과 담수로부터 유입되는 각종 유기물과 무기염류 등의 오염물질이 바닷물에 유입되기전에 정화하기 때문에 생태기반의 물질순환을 위해 유용하다[4, 14].
인천 연안의 갯벌이 생태계가 훼손되면 복구되기 어려운 입지조건인 이유는? 인천 연안의 갯벌은 한강, 임진강, 예성강에 의해 육지에서 공급되는 담수와 바다에서 유입되는 해수가 혼합되는 반폐쇄형 지역으로 환경오염에 노출되어 있으며 생태계가 훼손되게되면 복구되기 어려운 입지조건이다[14]. 특히 북항은 중국과 근접한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갯벌 일부를 매립하여 만든 항만으로 원유, 공산품 등 수도권의 물류량의 이동통로이고 석탄 부두, 시멘트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질에 의한 오염이 가중되어 갯벌 토양의 물질순환을 저해하여 악취가 증가하고 있다[4,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 H. J., Cho, D. C. and Kwon, S. H. 2010. Enviro-chemical changes in shoreline sediment by MgO2 for enhancement of ladigenous microbial activity. J Envrion Sci Int 9, 617-625. 

  2. Bulow, L. and Mosbach, K. 1987. The expression in E. coli of a polymeric gene coding for and esterase mimic catalyzing the hydrolysis of p-nitrophenyl esters. FEBS Lett 210, 147-152. 

  3. Carling, P. A. 1982.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in inter tidal sedimentation rates. Sedimentology 29, 17-23. 

  4. Capone, D. G. and Kiene, R. P. 1988. Comparison of microbial dynamics in marine and freshwater sediments: Contrasts in anaerobic carbon catabolism. Limnol Oceanogr 33, 725-749. 

  5. Choi, D. C., Bae, H. J. and Kwon, S. H. 2012. A field research on mud flat remediation by biological treatment. JKAIS 13, 3285-3294. 

  6. Choi, S. B. 201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 degradable organic compounds on seaside sediment. Ph. 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7. Choi, Y. J., Kim, S. H., Gu, M. J., Hoe, H. N., Kim, D. U., Cho, S. B., Kim, S. K., Jeon, C. O., Bae, G. S. and Lee, S. S. 2010. Quantitative real time PCR Using Lactobacilli as livestock probiotics. J Life Sci 20, 1896-1901. 

  8. Dheilly, A., Soum, S. E., Klein, G. L., Bazire, A., Compere, C., Haras, D. and Dufour, A. 2010. Acitivity of the marine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Strain 3J6. Appl Environ Microbiol 76, 3452-3461. 

  9. Higuchi, R., Fockler, C., Dollinger, G. and Waston, R. 1993. Kinetic PCR analysis: real monitoring of DNA amplification reactions. Biotechnology 20, 1026-1030. 

  10. Jakob, P., Glockener, F. O., Unterholzner, S., Alfreider, A., Psenner, R. and Amann, R. 1998. Seasonal community and population dynamics of pelagic and archea in a high mountain lake. Appl Environ Microbiol 64, 4299-4306. 

  11. Kim, Y. J., Kim, S. K., Kwon, E. J., Baik, K. S., Kim, J. H. and Kim, H. 2007. Microbial population diversity of the mud flat in Suncheon bay based on 16S rDNA sequences and extracelluar enzyme activiti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68-275. 

  12. Kang, D. O. and Suh, H. H. 2011. Isolation of microorganisms and Development of Microbial Augmentation for treatment. J Life Sci 21, 554-560. 

  13. Kim, S. Y. 2006. The coastal environment change by the reclamation of tidal flats in Incheon city, west coast of central Korea. M.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14. Lee, S. W., Je, J. G. and Lee, H. S. 2003. Tidal flat aspects of yellow sea area and conservation for migratory birds. Korean J Env Eco 17, 295-303. 

  15. Lowry, O. H., Rosenbrough, N. J. and Randall, R. 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5. 

  16. Margesin, R. and Schinner, F. 2001. Biodegradation and bioremediation of hydrocarbons in extreme envrionments. Appl Microbiol Biogechnol 56, 650-663. 

  17. Martinez, J., Smith, D. C., Steward, G. F. and Azam, F. 1996. Variability in ectohydrolytic enzyme activities of pelagic marine bacteria and its significance for substrate repressing in the sea. Auat Microb Ecol 10, 223-230. 

  18. Miller, G. L., Blum, R., Gennon, N. E. and Burton, A. L. 1960. Measurement of carboxymethyl celluase activity. Anal Biochem 2, 127-132. 

  19. Prince, R. C. 1993. Petroleum spill bioremediation in marine envrionments. Crit Rev Microbiol 19, 217-242. 

  20. Rao, M. B., Tanksale, A. M., Ghatge, M. S. and Desphande, V. V. 1998. Molecular and biotechnological aspects of microbial protease. Microbiol Mol Biol Rev 62, 597-635. 

  21. Schinner, F. and Mersi, W. 1990. Xylanase, cm-cellulase and invertase activity in soil an improved method. Soil Biol Biochem 22, 511-515. 

  22. Skovhus, T. L., Ramsing, N. B., Holmstrom, C., Kjelleberg, S. and Dahllof, I. 2004. Real-time quantitative PCR for assessment of abundance of Pseudoalteromonas species in marine samples. App Environ Microbiol 70, 2373-2382. 

  23. Veith, A., Botelho, H., Kindinger, F., Gomes, C. M. and Kletzin, A. 2012. The sulfur oxygenase reductase from the mesophilic bacterium Halothiobacillus neapolitanus is a high active thermozyme. J Bacteriol 194, 677-685. 

  24. You, S. J. and Kim, J. G. 1991. Evaluationon of the 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in tidal flat. J Korean Fish Soc 32, 409-4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