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주 광명동유적 건물지의 성격에 대하여
Study on the character of architecture remains in Gwangmyeong-dong site, Geongju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3 no.5, 2014년, pp.37 - 45  

김광수 (울산문화재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was identified by the excavation that architecture remains were confirmed buddhist temple consist of ruins of main building of a temple, auditorium site, ruins of stone pagoda, embankment, pedestrian Facilities and drainage etc. in the Gwangmyeong-dong site. The site has been held temple arrangem...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배경을 바탕으로 먼저 경주지역에 분포하는 폐사지의 조사 연혁을 알아보고, 광명동유적에서 발굴 조사된 건물지의 현황을 살펴보겠다. 그런 후에 건물 지의 배치상태와 출토유물 등을 통한 성격규명을 하고, 또한 인근지역에서 발굴조사된 坊里5) 내에 분포한 동시기 건물지와의 연계성을 검토하겠다.
  • 이러한 연구배경을 바탕으로 먼저 경주지역에 분포하는 폐사지의 조사 연혁을 알아보고, 광명동유적에서 발굴 조사된 건물지의 현황을 살펴보겠다. 그런 후에 건물 지의 배치상태와 출토유물 등을 통한 성격규명을 하고, 또한 인근지역에서 발굴조사된 坊里5) 내에 분포한 동시기 건물지와의 연계성을 검토하겠다. 그리고 출토유물의 분석을 통해 건물지의 초축 시기와 존속 기간을 규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그런 후에 건물 지의 배치상태와 출토유물 등을 통한 성격규명을 하고, 또한 인근지역에서 발굴조사된 坊里5) 내에 분포한 동시기 건물지와의 연계성을 검토하겠다. 그리고 출토유물의 분석을 통해 건물지의 초축 시기와 존속 기간을 규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 이상에서는 경주 광명동유적에서 발굴 조사된 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 건물지 자료를 분석하여 배치형태와 축조시기, 건물지의 성격과 인근에서 발굴 조사된 동시기 건물지 집단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千年古都 경주에는 무엇이 존재하고 있는가?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서는 寺址(寺刹) 및 廢寺址에 대한 조사가 급증1)하고 있다. 그 중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불교문화유산의 寶庫인 신라의 千年古都 경주에는 수많은 사지 및 폐사지가 존재하고 있다. 경주지역에 분포하는 사찰(사지) 중에는 『三國遺事』나 『三國史記』 등의 문헌기록으로 寺名과 그 위치를 알 수 있는 곳도 있으나, 아직 많은 수의 사지 및 폐사지들이 그 명칭과 위치비정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2).
寺名은 어떤 문헌기록으로 위치를 알수 있는가? 그 중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불교문화유산의 寶庫인 신라의 千年古都 경주에는 수많은 사지 및 폐사지가 존재하고 있다. 경주지역에 분포하는 사찰(사지) 중에는 『三國遺事』나 『三國史記』 등의 문헌기록으로 寺名과 그 위치를 알 수 있는 곳도 있으나, 아직 많은 수의 사지 및 폐사지들이 그 명칭과 위치비정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2). 또한 조선시대 지리지인 『東國輿地勝覽』이나 『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하여 경주지역의 향토지인 『東京雜記』, 『東京通誌』 등에서도 경주지역의 사찰에 대해 일부 소개하고는 있지만, 대략적인 위치와 사명만 나와 있을 뿐 내용은 매우 제한적이라 각 사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알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사지 및 폐사지들이 명칭과 위치비정에 있어서 어떤 문제점을 안고 있는가? 경주지역에 분포하는 사찰(사지) 중에는 『三國遺事』나 『三國史記』 등의 문헌기록으로 寺名과 그 위치를 알 수 있는 곳도 있으나, 아직 많은 수의 사지 및 폐사지들이 그 명칭과 위치비정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2). 또한 조선시대 지리지인 『東國輿地勝覽』이나 『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하여 경주지역의 향토지인 『東京雜記』, 『東京通誌』 등에서도 경주지역의 사찰에 대해 일부 소개하고는 있지만, 대략적인 위치와 사명만 나와 있을 뿐 내용은 매우 제한적이라 각 사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알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Gaisiro Hukusima, 1982, History of Korean architecture, Gyeongin culture company. 

  2. Park eun gyeong, 1988, Study on the chronology of the roofend tile design in Goryeo dynasty, archaeological history academic journal vol. 4, DongA university museum. 

  3. Shin chang soo, 1995, Temple and city planning of Royal District in middle old time, Shila cultural assets workshop presentation file vol. 16, No. 1. 

  4. Kim joo hwan, 1996, Geological & geographical position of building a temple in the Unified Silla Periods, National Geographic workshop presentation file vol. 28, No. 1. 

  5. Park bang yong, 1999, Temple construction of Silla Royal District, Art history vol. 13, No. 1. 

  6. Hwang sang ju, 2001, Study on the Silla temple in Geongju region, Doctoral dissertation of Dang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University of tokyo in japan, 2005, Korean architecture & archeological materials in university collection of tokyo in japan. 

  8. Kim bok soon, 2006, The distribution & system of Temple in the Silla Royal District, Shila cultural assets workshop presentation file vol. 27, No. 1, Dong gook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Silla Culture. 

  9. Lee geun jik, 2010,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illa Royal District and temple, DongAhk Art history vol. 11, No. 1, DongAhk Art history society. 

  10. National Gyeongju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2, III.The history of excavation to the ruins of temple in Geongju region, The basic investigation research to the ruins of temple in Geongju region. 

  11. Ulsan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2, report on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the archaeological site within Geumcheok-ri zone that it is the 5th section of construction for the double track railway from Ulsan to Pohang. 

  12. Kim hana, 2013, Focus on the character of Uljoo Cheonjeon-ri sructure ruins in Goryeo dynasty, Moonmul vol. 3. 

  13. Yeongnam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3, The archaeological site within section of construction for the connection line of the south part of the East Sea Korail in Geongju(The secondary excavation), The excavation to the Geongju Moryang-ri remains of city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information package for excavation field fair. 

  14. Ulsan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3, report on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the archaeological site within the zone that there are train's power source equipment for the first opening section(ShinGeongju-Pohang) in the double track railway from Ulsan to Poha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