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
The Classification Ability with Naked Eye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Level about Rock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6, 2014년, pp.467 - 483  

박경진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예비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물과 암석에 대한 비과학적 개념과 관련된 설문지를 개발한 후 예비 과학교사 132명에게 응답하게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라쉬 모형을 이용하여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라 숙달 집단과 미숙달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집단의 육안분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17종(화성암 6종, 퇴적암 5종, 변성암 6종)을 제시한 후 각자의 기준에 따라 암석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은 주로 조직, 색깔, 입자 크기 등을 분류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화성암을 분류하는 것은 비교적 쉽게 해결하였지만 퇴적암과 변성암은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분류하는데 혼동하고 있었다. 한편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과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능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암석명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하지만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 능력과 암석명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assification ability with naked eyes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level about rock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concerning misconception about minerals and rocks. The participants were 132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ata w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비 과학교사들이 퇴적암을 구분할 때 주로 사용한 분류기준은 무엇인가? 한편 예비 과학교사들이 퇴적암을 구분할 때 주로 사용한 분류기준은 줄무늬의 유무와 입자의 크기였다.일반적인 퇴적암은 퇴적물의 기원에 따라 크게 쇄설성과 화학적·유기적 퇴적암으로 구분되고 쇄설성 퇴적암은 다시 입자의 크기에 의해 세분되며, 또한 입자 크기, 광물성분, 퇴적환경의 변화로 인해서로 다른 층들의 집합인 층리(beds)가 형성될 수 있다.
화성암을 분류할 때 예비 과학교사들이 주로 사용한 기준은 무엇인가? 화성암을 분류할 때 예비 과학교사들이 주로 사용한 기준은 입자 크기, 암석의 색깔과 겉보기 특성 등이었다. 일반적으로 화성암은 마그마의 SiO2 함량과냉각속도에 따라 암석의 색깔과 입자의 크기가 달라진다는 점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보인 화성암에 대한 분류 기준은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예비과학교사들의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에 따른 육안분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이렇게 구분된 집단의 육안분류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17종(화성암 6종, 퇴적암 5종, 변성암 6종)을 제시한 후 각자의 기준에 따라 암석을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과학교사들은 주로 조직, 색깔, 입자 크기 등을 분류기준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화성암을 분류하는 것은 비교적 쉽게 해결하였지만 퇴적암과 변성암은 동일한 기준을 사용하여 분류하는데 혼동하고 있었다. 한편 암석에 대한 이해수준과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능력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암석명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하지만 생성원인에 따른 분류 능력과 암석명을 정확하게 분류하는 능력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k, S.G. and Choi, I.H., 2006, The mastery leaner judgement consistency rate of Rasch model-based standard setting method: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raw-score and Angoff method.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19, 157-178. (in Korean) 

  2. Baker, F.B., 1985, The basic of item response theory. Heinemann, Portsmouth, USA, 131 p. 

  3. Bond, T.G. and Fox, C.M., 2001,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 Mahwah, New Jersey, USA, 288 p. 

  4. Cho, K.S., 2011, Petr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specimens in school rock garden in Jeonj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113-123. (in Korean) 

  5. Cho, K.S., Hwang, J.H., and Kim, C.B., 2003,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material and change of the earth's crus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 128-134. (in Korean) 

  6. Dyar, M.D., Gunter, M.E., Davis, J.C., and Odell, M.R.L., 2004, Integration of new methods into teaching mineralogy.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2, 23-30. 

  7. Finley, F.N., Stewart, J., and Yarroch, W.L., 1982,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t and difficult science content. Science Education, 66, 531-538. 

  8. Ha, M.S. and Lee, J.K., 2013, The item response, generalizability, and structural validity for the translation of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SMQ II).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 1-18. (in Korean) 

  9. Hammer, R., Brechmann, A., Ohl, F., Weinshall, D., and Hochstein, S., 2010, Differential category learning process: The neural basis of comparison-based learning and induction. NeuroImage, 52, 699-709. 

  10. Howe, A.C., 2001, Engaging children in science (3rd ed.). Prentice Hall, Ohio, USA, 334 p. 

  11. Jung, S.G., Choi, S.W., and Kim, H.S., 1999, Development of CBI CD-ROM on identification of rocks. Report of Science Education, 30, 291-298. (in Korean) 

  12. Kim, H.J., 2008, Item analysis of advanced progressive matrices for discrimination test of gifted based on Rasch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 121-144. (in Korean) 

  13. Kim, S.W., Yoon, M.H., and Zi, E.R., 1999,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tandard setting method for criterion-reference tes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7, 227-247. (in Korean) 

  14. Kim, Y.H., Chung, D.H., Cho, K.S., Choi, J., and Park, K.J., 2011, A perception of beginning earth science teachers on porphyritic textur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860-870. (in Korean) 

  15. Kwon, Y.K. and Kim J.Y., 2012,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rock specimens used fo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83-94. (in Korean) 

  16. Kwon, Y.J., Lee, J.K., and Lee, I.S., 2007, Development of the classification ability quotient equ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cience teachers' classification knowledge generated in the pollen classification task.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5, 21-43. (in Korean) 

  17. Lee, J.D., 1978, A study on the teaching plan of rock identification in earth science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3, 19-23. (in Korean) 

  18. Linacre, J., 1996, A standard setting exercise.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10, 521. 

  1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269 p. (in Korean) 

  20. Moon, B.C., Jeong, J.W., and Chung, C.H., 2005, The classifying ability of the igneous rocks with naked eye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630-639. (in Korean) 

  2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385 p. 

  22. Orion, N. and Hofstein, A., 199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learning environment of outdoor science activities. Science Education, 81, 161-171. 

  23. Park, G.H., 2000, The learning effect on the rock identifi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inquiry laboratory activities using the rock ke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95 p. (in Korean) 

  24. Rasch, G., 1981, Probabilistic model for some intelligence and attainment test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USA, 199 p. 

  25. Seol, H.S., 2013, Standard setting method using item response theory. Korean Education Inquiry, 31, 179-192. (in Korean) 

  26. Seong, T.J., 2001, The understanding and applyment of item response theory. Kyoyoobook, Gyeonggi, Korea, 147 p. (in Korean) 

  27. Shin, D.H., 1994, The learning effect on the rock identifi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nquiry laboratory activities using the rock ke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02 p. (in Korean) 

  28. Smith, R., 1997, Validating standard setting with modified Nedelsky procedure through common item test equating. Journal of Outcome Measurement, 1, 164-172. 

  29.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9, Dictionary of earth science. Bookshill, Seoul, Korea, 1235 p. (in Korean) 

  30. Wee, S.M. and Choi, J.K., 2002, High schol students' interest on minerals and roc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 625-631. (in Korean) 

  31. Wee, S.M., Cho H., Kim, J.S., and Kim Y.J., 2007,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bout minerals and roc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415-430. (in Korean) 

  32. Wright, B.D. and Stone, M.H., 2004, Making measures. The Phaneron Press, Chicago, USA, 140 p. 

  33. Wright, B.D., Linacre, J.M., Gustafson, J.E., and Martin-Lof, P., 1994, Reasonable mean-square fit values. Rasch Measurement Transactions, 8, 370. 

  34. Zi, E.L. and Chae, S.H., 2000, The theory and practices of Rasch model. Kyoyookbook, Seoul, Korea, 100 p.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