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의 판 구조론에 대한 개념 분석
The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n Plate Tectonic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5 no.6, 2014년, pp.484 - 497  

이미숙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김형범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판 구조론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7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판 구조론에 대한 시각적 표상의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은 판 구조론을 학습한 후에도 용어 및 색상의 의미, 판의 이동, 판의 경계, 용융의 위치 및 원인, 맨틀의 물리적 상태 및 판 운동의 원동력과 관련된 대안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들이 가진 색상의 의미, 맨틀의 물리적 상태, 판 운동의 원동력 개념들은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었다. 또한 판 구조론 학습에 사용되는 시각적 표상은 용어, 판의 경계, 용융의 위치 및 맨틀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학생응답에 영향을 주었으며, 판 구조론 학습에서 학습자에게 대안 개념을 유발하는 시각적 표상의 요소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plate tectonics. Seventy students (N=70) in their 2 year of high schools in the province of Chungcheong-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took a conception test of visual representation. We conducted a semi-structured interv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 화산과 같은 현상을 판 구조론과 연계하여 설명하기 위해 알아야하는 것은? , 2012). 특히 지진, 화산과 같은 현상을 판 구조론과 연계하여 설명하기 위해서는 지구 내부 구조와 물리적 특성, 용융의 위치 및 원인, 판의 이동, 판의 경계, 판 운동의 원동력을 알아야 하며, 이러한 개념들이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 전체적인 이해가 요구된다. 최근까지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판 구조론 개념은 드로잉, 면담, 질문 조사 등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인 연구 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판 구조론의 특징은? 판 구조론은 지구과학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이론으로 지구 표면에서 일어나는 여러 지질 현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 학생들에게 지구에 대한 지식을 증대시키고 지질학적 현상에 대해서 많은 흥미를 유발시키는데 적합한 주제라 할 수 있다(Kim and Lee, 1991; Lee et al., 2012).
최근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판 구조론 개념은 드로잉, 면담, 질문 조사 등을 통해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Marques and Thompson (1997)은 16-17세 포르투갈 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대륙, 해양, 대륙의 이동, 지구자기장, 판과 판의 이동에 대한 학생 개념을 면담과 질문지를 통하여 연구한 결과 학생들이 판을 외부에서 관찰 가능한 부분으로 정의하거나 판이 지층이 쌓여 배열된 형태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지자기이동과 지구의 회전에 의해 판이 이동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Jeong and Jeong (2007)는 고등학생들의 암석, 지각, 판 구조론, 지구 내부의 대안 개념을 조사하고자 설문, 드로잉, 면담을 실시한 결과 일부 학생들은 판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답하였으며, 판의 원동력으로 지구의 자전과 공전, 해류 등 지구 외부의 영향으로 답하거나 맨틀의 대류를 판의 원동력으로 제시하지만 상세한 설명을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 (2009)은 판의 경계에 대한 고등학생의 정신 모형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정신모형 유형을 소박한 모형, 불안정 모형, 인과적 모형, 개념적 모형으로 분류하고 그 분석준거로 판과 맨틀에 대한 구분, 판의 이동에 대한 이해 여부, 판 경계 지형의 특징에 대한 이해 여부, 맨틀의 대류와 지형과의 관련성 파악 여부 등을 제시하였으며, 발산형 경계에서 다른 판의 경계보다 낮은 수준의 모형이 많다는 연구 결과를 제안한 바 있다. Smith and Bermea (2012)는 대학 입문 과정의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그림 그리기를 통해 판 구조론에 대한 개념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양한 대안 개념을 발견하였는데 학생들은 지구내부의 층상구조를 화학적, 물리적으로 구분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들의 연구에서 학생들은 지각을 암석권의 일부로 생각하기 보다는 그 위에 있다고 하거나 판은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였으며, 판이 연약권을 포함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학생들은 판 구조론 관련 개념을 학습한 후에도 대안 개념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으며(Jeong and Jeong, 2007; Park, 2009; Clark et al., 2011; Smith and Bermea, 2012), 학생뿐만 아니라 현장에 있는 과학교사들도 판 구조론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연구결과(King, 2000) 를 발표한 바 있다. 그러나 이상의 연구들은 판 구조론 개념연구에 한정되어 있으며(Choi and Ann, 2008), 학생들이 판 구조론에 사용되는 시각적 표상을 어떻게 해석하는지에 대한 연구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Clark et al. (2011)은 미국지질조사소(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 교육 홈페이지에 제시된 시각자료(Simkin et al., 1994), 즉 판 구조론의 도식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지구과학 입문 과정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념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판 구조론 관련 개념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용어, 판의 이동, 판과 관련된 지표 아래의 용융에 대한 다수의 대안 개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판 구조론 학습에 사용되는 이미지들의 일부 요소들이 학생들의 대안 개념을 강화 시키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Cl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rg, B.L., 2001,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Allyn & Bacon, Boston, USA, 413 p. 

  2. Bogdan, R.C. and Biklen, S.K., 2007, Qualitative research education: A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Allyn & Bacon, Boston, USA, 276 p. 

  3. Braune, R.F. and Foshay, W.R., 1983, Towards a practical model of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Task analysis and schema acquisition for complex problem-solving situation. Instructional Science, 12, 121-145. 

  4. Choi, S.C. and Ahn, K.S., 2008, A study on the mis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on magma and plate tectonic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 121-145. (in Korean) 

  5. Choi, B.G., Lee, H.S., Chu, B.S., Moon, B.K., So, Y.M., L, J.E., and Jo, M.A., 2011, Earth science I. Chunjae Education, Seoul, Korea, 320 p. (in Korean) 

  6. Clark, S.K. and Libarkin, J.C., 2011, Designing a mixedmethods research instrument and scoring rubric to investigate individuals conceptions of plate tectonic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s, 474, 81-96. 

  7. Clark, S.K., Libarkin, J.C., Kortz, K.M., and Jordan, S.C., 2011, Alternative conceptions of plate tectonics held by nonscience undergraduate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9, 251-262. 

  8. Conrad, C.P. and Lithgow-Bertelloni, C., 2002, How mantle slabs drive plate tectonics. Science, 298, 207-209. 

  9. Cook, M.P., 2006, Visual representations in science education: The influence of prior knowledge and cognitive load theory o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Science Education, 90, 1073-1091. 

  10. Jeong, K.J., Jeong, K.S., Moon, B.C., and Jeong, J.W., 2007, Misconceptions of the freshmen at high school about plate tectonic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762-774. (in Korean) 

  11. Jeong, K.S. and Jeong, J.W., 2007, Alternative con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crust and interior of the earth.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266-276. (in Korean) 

  12. Kang, H.S., 2007, Exploration of the methods for effective uses of external representations in science learning of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1, 97-108. (in Korean) 

  13. Kim, H.J. and Lee, K.S., 1991, The concept analysis and reconstruction of the plate tectonics in high schoo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2, 335-345. (in Korean) 

  14. King, C., 2000, The earth's mantle is solid: Teachers' misconceptions about the earth and plate tectonics. School Science Review, 82, 57-64. 

  15. King, C., 2010, An analysis of misconceptions in science textbook: Earth science in england and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 565-601. 

  16. Landis, J.R. and Koch, G.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 159-174. 

  17. Lee, H.Y., Cho, H.J., and Park, M.R., 2012, An analysis of 10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about the plates' moti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spatial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360-375. (in Korean) 

  18. Lee, K.Y.,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used in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of the 6th and 7th national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8, 811-824. (in Korean) 

  19. Lim, D.I., Park, K.E., and Ahn, K.S., 2004, Analysis of high school Sciencetextbook on the magma formation in the subduction boundary.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222-231. (in Korean) 

  20. Marques, L. and Thompson, D., 1997, Misconceptions and conceptual changes concerning continental drift and plate tectonics among portuguese students aged 16-17.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5, 195-222. 

  21. Noh, T.H., Yoon, M.S., and Han, J.Y., 2009, Students' comprehension and interpretation process of inscriptions representing the concept of atom and molecule.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3, 355-367. (in Korean) 

  22. Park, S.K., 2009,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mental models on the plate boundarie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0, 111-126. (in Korean) 

  23. Perini, L., 2005a, The truth in pictures. Philosophy of Science, 72, 262-285. 

  24. Perini, L., 2005b, Visual representations and confirmation. Philosophy of Science, 72, 913-926. 

  25. Pozzer, A.L., and Roth, W.M., 2003, Prevalence, function, and structure of photographs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089-1114. 

  26. Simkin, T., Ungar, J.D., Tilling, R.I., Vogt, P.R., and Spall, H., 1994, This dynamic planet: World map of volcanoes, earthquakes, impact craters, and plate tectonics. http://pubs.usgs.gov/publications/text/Vigil.html (March 5th 2014) 

  27. Smith, G.A. and Bermea, S.B., 2012, Using students' sketches to recognize alternative conceptions about plate tectonics persisting from prior instruction.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60, 350-359. 

  28. Vosniadou, S., 1994, Capturing and modeling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Learning and Instruction, 4, 45-69. 

  29. Yang, I.H., Lee, J.E., and Lim, S.M., 2007, How does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 illustrations in science textbo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 475-48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