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 내 삽관환자의 의도적 자가발관 위험요인
Risk Factors for Deliberate Self-extub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5, 2014년, pp.573 - 580  

조영신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외과계 중환자실) ,  여정희 (동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intubation survival rat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affecting deliberate self-extub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patients' electronic medical reports from one hospital in B city. Participants were 450 pat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도적 자가발관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기관 내 삽관이 계획적 발관까지 유지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이 목적이었다. 따라서, 논의는 삽관된 튜브가 계획된 발관까지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을 해결하거나 완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기술하였다.
  • 기관 내 삽관은 중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 주된 시술로 이를 계획된 발관 시기까지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존분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기관 내삽관 생존율의 차이를 파악하고, 의도적 자가발관의 위험요인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삽관 환자 중 60세 이상 연령이거나, 신경계 중환자실에 입원 중이며, 흥분상태 또는 의식이 있거나, 억제대를 하고 있는 경우 그리고 밤시간이거나, 간호사 대 환자 비율이 1:2명 이상인 환경에서, 삽관은 계획된 발관까지 유지하지 못하고 환자에 의해 발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생존분석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인 환자와 삽관, 간호 관련 특성에 따른 기관 내 삽관 생존율의 차이를 파악하고, 의도적 자가발관의 예측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기관 내 삽관을 계획적 발관시기까지 유지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기관 내 삽관 환자의 의도적 자가발관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상관성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도적 자가발관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기관 내 삽관이 계획적 발관까지 유지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이 목적이었다. 따라서, 논의는 삽관된 튜브가 계획된 발관까지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요인을 해결하거나 완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기술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도적 자가발관의 위험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기관 내 삽관이 계획적 발관까지 유지하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진이 기관 내 튜브의 발관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기준은 무엇인가? 의료진은 중환자실 환자가 기관 내 삽관을 통해 충분한 치료를 받은 후 더 이상의 환기보조가 필요하지 않고, 환자 스스로 기도 분비물을 제거할 능력이 있거나, 기관 내 튜브를 제거한 후 호흡을 방해하는 후두 손상이 없다면 기관 내 튜브의 발관을 계획한다[5]. 이러한 발관이 성공적으로 시행된 후 대부분의 환자는 중환자실에서의 퇴실이 계획되므로 계획된 발관까지 기관 내 삽관 유지는 환자의 빠른 회복 및 치료기간 단축, 중환자실의 효율적인 활용에 중요한 부분이다[6].
기관 내 삽관은 어떤 시술인가? 최근 중환자실 환자의 중증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환자실 환자의 60-82%가 기관 내 삽관을 하고 있다[1-4]. 기관 내 삽관은 폐의 환기 유지, 기도 폐쇄 예방, 인공호흡기를 통한 환기 보조, 위 내용물로부터의 기도 보호 등 중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 주된 시술이다[2].
비계획적 발관 중 이들을 구분하는 차이점은 무엇인가? 또한, 비계획적 발관은 의도적 자가발관과 우발적 발관으로 구분되나, 대부분의 선행 연구[1,3,11-13,18]는 이를 구분하지 않았다. 우발적 발관은 무의식상태에서 환자 이송이나 다른 시술로 우연히 발관되는 경우로, 유발요인과 환자 상태의 측면에서 자기 스스로 발관하는 의도적 자가발관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에 선행 연구[1,3,11-13,18]에서 나타난 결과를 의도적 자가발관의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JS. Nursing for prevention of unplanned extubation of endotracheal tube patients. 2005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Fall Symposium; 2005 November 10-11; Hotel Inter-Burgo, Daegu. 2005. p. 664-665. 

  2. The Korean Society of Critical Care Medicine. Critical care medicine. 2nd ed. Seoul: Koonja; 2001. 

  3. de Groot RI, Dekkers OM, Herold IH, de Jonge E, Arbous MS. Risk factors and outcomes after unplanned extubations on the ICU: A casecontrol study. Critical Care. 2011;15(1):R19. http://dx.doi.org/10.1186/cc9964 

  4. Birkett KM, Southerland KA, Leslie GD. Reporting unplanned extuba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05;21(2):65-75. http://dx.doi.org/10.1016/j.iccn.2004.07.012 

  5. Marino PL. The ICU book. 3rd ed.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ranslator. Seoul: Shinheung MedScience; 2008. 

  6. Rhee KY, Jeon YS, Eom WS, Do SH, Kim CS, Kim KW. Postoperative intubation time in 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1997;33(4):660-663. 

  7. Christie JM, Dethlefsen M, Cane RD.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1996;8(4): 289-293. 

  8. Boulain T. Unplanned extubations in the adult intensive care unit: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Association des Reanimateurs du Centre-Ouest.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998;157(4 Pt 1):1131-1137. http://dx.doi.org/10.1164/ajrccm.157.4.9702083 

  9. Bambi S. Accidental extubation in intensive care units: What implications for nursing care? Assistenza Infermieristica e Ricerca. 2004;23(1):36-47. 

  10. Yeh SH, Lee LN, Ho TH, Chiang MC, Lin LW. Implications of nursing care in the occurrence and consequences of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4;41(3):255-262. http://dx.doi.org/10.1016/s0020-7489(03)00136-6 

  11. Kim HJ.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xtubation in MICU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05. 

  12. Choi YK.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in ICUs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13. Chevron V, Menard JF, Richard JC, Girault C, Leroy J, Bonmarchand G. Unplanned extubation: Risk factors of development and predictive criteria for reintubation. Critical Care Medicine. 1998;26(6):1049-1053. 

  14. Listello D, Sessler CN. Unplanned extubation. Clinical predictors for reintubation. Chest. 1994;105(5):1496-1503. 

  15. Ayllon Garrido N, Rodriguez Borrajo MJ, Soleto Paredes G, Latorre Garcia PM. Unplanned extubations in patients in the ventilator weaning phase in the intensive care unit: Incidence and risk factors. Enfermeria Clinica. 2009;19(4):210-214. http://dx.doi.org/10.1016/j.enfcli.2009.02.006 

  16. da Silva PS, Fonseca MC.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Systematic review, critical appraisal, and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Anesthesia and Analgesia. 2012;114(5):1003-1014. http://dx.doi.org/10.1213/ANE.0b013e31824b0296 

  17. Curry K, Cobb S, Kutash M, Diggs 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unplanned extubation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8;17(1):45-51. 

  18. Lee JJ, Lee KM, Lee YB, In BM, Um DJ, Choi R. Unplanned extubation and factors affecting reintubation in ICU patients.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1996;11(2):179-183. 

  19. Ahn JO. Statistical analysis of biomedical data using SPSS 18.0: In EMR & PHP system.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0. 

  20. Cho YA, Shin HJ, Cho JK, Jung MK, Lee BN, Song KJ.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workload management system for critical care nurses (WMSCN) using WMS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5;11(1):71-84. 

  21. Kim JS, Lee ES. The effect of nursing intervention on communication improvement for patients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3):7-17. 

  22. Park SI, Yun HY, Chon HK, Lee JH, An SM, An HC, et al. The effects of using computer-based communication methods for intubated patients.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65-77. 

  23. Moon KJ, Lee SM.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protocol for preventing delirium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3):175-186. 

  24. Bray K, Hill K, Robson W, Leaver G, Walker N, O'Leary M, et al. British association of critical care nurses position statement on the use of restraint in adult critical care units. Nursing in Critical Care. 2004;9(5):199-212. 

  25. Kim JS, Lee ES, Park JH. Effects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of new method to secure endotracheal tub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3):49-59. 

  26. Koh SO, Park PH, Kong MH, Kim YL. The distribution of medical personnel and medical equipm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2001;16(2):138-143. 

  27. Berger AM, Hobbs BB. Impact of shift work on the health and safety of nurses and patient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6;10(4):465-471. http://dx.doi.org/10.1188/06.cjon.465-47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