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한국군 군사력 건설방향에 대한 연구 - 북한 핵위협과 주변국 위협대비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direction of future Korean military force establishment -focus on North Korea's nuclear threat and neighboring countries' counter military threat operation-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4 no.1, 2014년, pp.11 - 21  

김연준 (용인대학교 군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은 과거처럼 국제관계의 예속자가 아니라 명실상부한 중견국으로서, 북한의 핵과 재래전 도발위협을 극복하고 동북아지역의 평화를 유지하는 '균형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군사력을 건설해야 한다. 군사력 건설을 통해 다양한 안보위협에 대한 억제력 발휘가 가능하다. 군사적 억제력 발휘를 위해 첫 번째로 '선제적 억제'(deterrence by preemptive)와 '응징적 억제'(deterrence by punishment)는 현재와 미래의 위협에 대비하여 '감시정찰체계와 지휘통제체계'(C41SR)를 공통전력으로 공격무기체계를 결합한 '공격체계 축'을 건설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거부적 억제'(deterrence by denial)는 공통전력과 방어무기체계를 결합한 '방어체계 축'을 건설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자주적으로 첨단전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방위산업연구개발 역량을 통합하여 '인프라 축'을 구축해야 한다. 우리는 미래 한국군의 군사력을 건설함에 있어서 정부의 균형자 역할에 대한 국가적 비젼, 이에 대한 국민적 합의를 토대로 본고에서 제시한 군사력 건설 모형에 따른 일관성 있는 정책적인 노력과 신념이 반드시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uth Korea should not be in subordinate posi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hips like the past. As the status of middle power. South Korea achieves peaceful unification through overcoming North Korea's nuclear and conventional threats, and builds military power in Northeast Asia as a 'balancer'.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군사력 건설은 정부나 국방전문가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국민적 지지와 동의가 토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문적인 핵 억제이론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토대로 핵과 재래식 위협에 동시 대비 가능한 미래 한국군 군사력 건설방향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며, 미래 한국군 군사력 건설 모형에 대한 전문가 그룹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시도하였다.
  •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이론적 틀인 핵억제 이론 검토를 토대로, 한반도의 전략 환경의 변화를 전망하고 한반도 안보에 시사점 도출하고, 미래 한국군 군사력 건설방향은 북한과 주변국가의 제반 위협요인과 대응방안을 정립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한국군 군사력 건설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군사력 건설은 정부나 국방전문가의 노력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국민적 지지와 동의가 토대가 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북한은 언제 핵실험을 했나요? 우리는 2014년 지난 4년간 무역규모 1조 달러를 달성하면서 국제사회에서 명실상부한 중견국(middle power)으로 성장하였다. 그런데 북한은 2006년 10월과 2009년 5월에 이어서 2013년 2월 12일 제3차 핵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핵무기를 미사일에 탑재할 정도로 소형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제 북한은 핵무장에 따른 자신감을 토대로 극단적인 방식으로 재래식 도발을 감행 하는 극단적인 상황도 더 이상은 배제할 수 없게 되었다.
힘의 대전환을 막기 위한 미국의 노력은? 한반도가 위치한 동북아지역은 미국ㆍ중국과 중국ㆍ일본 간에 세력경쟁, 해양 분쟁, 북한문제 등 안보의 불안정성이 매우 높은 상태이다. 미국은 중국의 강대국 위상 강화 노력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 일본, 동남아 국가들과 함께 새로운 지역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협력 하고 있다. 한편 중국은 급격히 성장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공세적인 외교 전략을 추구하면서 한국에 대하여 2010년 ‘천안함 피격’과 ‘연평도 포격’ 등 군사적 도발을 자행하는 북한을 후원하고 있으며, 2013년 11월 동중국해 일대에 자국의 ‘방공식별구역’(ADIZ: air defen ce identification zone)을 우리의 이어도를 포함하여 일방적으로 선포하면서 중국의 위협을 재인식하도록 하고 있다.
6ㆍ25전쟁 이후 한국은 어떻게 북한의 도발을 관리해왔나요? 한국은 지난 6ㆍ25전쟁 이후로 한미동맹의 강력한 억제전력 기반 하에 북한의 재래식 군사 도발 위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 국방과 경제건설을 병행하여왔다. 우리는 2014년 지난 4년간 무역규모 1조 달러를 달성하면서 국제사회에서 명실상부한 중견국(middle power)으로 성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박휘락, "핵억제이론에 입각한 한국의 대북 핵억제태세 평가와 핵억제전략 모색", 국제정치논총, 제53집, 제3호, pp. 154, 2013. 

  2. 권태영, '21세기 군사혁신과 미래전', 법문사, 2008, p.175-176. 

  3. 국방부, '국방백서 2012', 국방부, 2012, P. 24-26, p.288. 

  4. 박창희, '군사전략론', 플래닛미디어, 2013, p.358, p.611-612. 

  5. 육군교육사령부, '군사이론 연구', 육군교육사령부, 1987, p.428. 

  6. 필 윌리엄스, 최병갑 역, '현대 군사전략대강 II: 전략의 제원리', 국방대학원, 2006. p.56-61. 

  7.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동북아 전략균형 2013', 다와디자인, 2013, p.27-28. 

  8. 황진환 등, '군사학 개론', 양서각, 2011, p.104-105. 

  9. 주간동아, 2013. 1. 14. 

  10. Alexander L. Georgo & Richard Smoke, 'Deterrence in American Foreign Policy: Theory and Practi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4, p.11, p.21. 

  11. Glen H. Snyder, 'Deterrence and Defense: Toward a Theory of National Security', Princeton Univ. Press, 1961, p.14-16. 

  12. Lawrence Freedman, 'Deterrence' Cambridge Polity Press, 2004, p.26. 

  13. Michael Howard & Peter Paret ed & tr., 'Carl von Clausewitz, On War', Princeton Univ Press, 1984, p.8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