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국제 방산협력 정책 변화와 한미 방산협력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of US Policy in International Defense Industry Cooperation and the Fure Korea-US Defense Industry Cooperation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4 no.3 pt.1, 2014년, pp.35 - 44  

김종열 (영남대학교 군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과 미국 간의 방산협력은 매우 저조하다. 상호 방산 수출입 규모에서도 심각한 역조현상은 지속되고 있고, 한국방위산업은 고질적인 취약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대안으로 미국과의 방산국제협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미국은 현재 방산분야 글로벌화의 추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방산 국제협력정책을 추구한다고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해외로부터 긴요한 방산물자의 공급 보장을 위한 6개 국가와의 협약, 방산물자와 방산기술의 수출 승인 면제를 위한 영국과 호주와의 방산무역조약, 방산물자와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여건을 부여하기 위하여 23개 국가와 체결한 방산양해각서, F-35 전투기사업의 체계개발, 양산, 후속 성능개량 단계에서 8개 국가와 국제협력 등이다. 이에 한국은 미국과 방산 국제협력 추진 방안으로, 우선 정부차원에서 미국과 포괄적인 방산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방산업체 차원에서는 공동 연구개발과 공동생산의 기회를 넓혀가야 한다. 한국 방위산업의 고질적인 취약점을 개선하고 방산수출의 경쟁력 강화에 효과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lack of sufficient defense industry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the US. The severe imbalance in defense trade between tow countries and Korea's weak defense industrial base has been a problem. This paper suggests the enhancement of defense industry cooperation with the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선 국방예산의 삭감이라는 예산압박 하에서도 핵심적인 방위산업의 기반과 능력을 보존 유지하려고 한다. 그리고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지키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안전을 보장하는데 소요되는 무기나 장비,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하게 될 사태를 미리 방지하고자 한다.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여 방위산업 정책이 수립되고 이행된다.
  • . 그리고 양국 정부의 공식 문서를 참조하여 한미간 국제 방산협력의 현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객관성과 현실성을 확보하려 한다.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방향의 도출 과정은 목표 달성을 위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데 초점을 두는 정책결정모형인 처방적 모형을 준용한다.
  • 따라서 본 논문은 한미 상호 방산협력 확대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에 그 정책방안 도출을 위한 선행연구이다. 한미 방산협력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이런 목적 달성을 위해여 방위산업 정책이 수립되고 이행된다. 미국의 방위산업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방산분야 국제협력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 방산물자는 군이 획득하여 사용하는 군수품 중에서 방위사업청장이 지정한 물자로 한정하고 있다[5]. 본 논문에서는 방산협력의 범주를 군이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무기체계 뿐만 아니라, 간접적,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군수물자에 대한 기술적, 생산적 분야에 대한 협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미국은 방위산업기반을 국가안보의 초석이라고 여기고, 현재 요구 전력의 유지와 미래 전력의 확보를 위하여, 어떠한 방위산업을 유지 발전시켜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국방예산의 삭감이라는 예산압박 하에서도 핵심적인 방위산업의 기반과 능력을 보존 유지하려고 한다. 그리고 미국이 자국의 이익을 지키고 외부 위협으로부터 안전을 보장하는데 소요되는 무기나 장비, 서비스의 제공이 불가능하게 될 사태를 미리 방지하고자 한다.
  • 정부의 방산수출 정책의 부족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국의 방산의 현상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국과 국제 방산협력이 필요하며, 그 정책 방향으로 두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 한미 방산협력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의 국제방산협력 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의 방위산업 현황과 미국의 방위산업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미국의 국제 방산협력정책과 국제방산협력 실태를 분석한다.
  • 따라서 본 논문은 한미 상호 방산협력 확대 방안이 요구되는 시점에 그 정책방안 도출을 위한 선행연구이다. 한미 방산협력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미국의 국제방산협력 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이 추구하는 방산 국제협력정책의 사례는? 미국은 현재 방산분야 글로벌화의 추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방산 국제협력정책을 추구한다고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사례로, 해외로부터 긴요한 방산물자의 공급 보장을 위한 6개 국가와의 협약, 방산물자와 방산기술의 수출 승인 면제를 위한 영국과 호주와의 방산무역조약, 방산물자와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여건을 부여하기 위하여 23개 국가와 체결한 방산양해각서, F-35 전투기사업의 체계개발, 양산, 후속 성능개량 단계에서 8개 국가와 국제협력 등이다. 이에 한국은 미국과 방산 국제협력 추진 방안으로, 우선 정부차원에서 미국과 포괄적인 방산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방산업체 차원에서는 공동 연구개발과 공동생산의 기회를 넓혀가야 한다.
한국방위산업이 고질적인 취약점을 벗어나기 위해 제안한 것은? 상호 방산 수출입 규모에서도 심각한 역조현상은 지속되고 있고, 한국방위산업은 고질적인 취약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대안으로 미국과의 방산국제협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미국은 현재 방산분야 글로벌화의 추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방산 국제협력정책을 추구한다고 분석하였다.
한국과 미국 간의 방산협력 수준은 어떠한가? 한국과 미국 간의 방산협력은 매우 저조하다. 상호 방산 수출입 규모에서도 심각한 역조현상은 지속되고 있고, 한국방위산업은 고질적인 취약점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미국방성 보고서, "Report to Congress on DODFY2011 Purchases from Foreign Entities", May 2012. 

  2. 정정길, 최종우, 이시원, 정준금, 정광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348-349쪽, 2014. 

  3. 정정길, 최종우, 이시원, 정준금, 정광호, 정책학원론, 대명출판사, 464-469쪽, 2014. 

  4. 정진태, 방위사업학 개론, 21세기북스, 11 7-119쪽. 2012. 

  5. 방위사업법(법률 제 11713호, 2013.3.23. 개정), 제34조 

  6. 대한민국 국방부 홈페이지, "한미안보정책협의", http://www.mnd.go.kr/user/boardList.action?commandview&page1&boardIdO_50719&boardSeqO_50743&titleIdnull&idmnd_010601020000, (검색일: 2014. 2. 27) 

  7. 최종섭, 홍종희, 송용준, "한미 정보화기술(ICT)협력 종합 발전 전략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19-22쪽, 2008. 

  8. Song H. White, "Defense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Cooperation Committee(DTICC) & Technology Cooperation Sub Committee(TCSC) Meeting Outbriefs", Joint United States Military Affairs Group-Korea, Nov 1, 2012. 

  9. 국방기술품질원, 2012 세계방산시장연감, 5-14쪽, 2012. 

  10. 안영수, 장원준, 신재영, 정경진, 2012 KIET 방위산업 통계 및 경쟁력백서, 산업연구원, 1-24쪽, 2013. 

  11. 미국방성 국방안보협력국, "Historical Facts Book", Financial Policy and Analysis Business Operations, 15쪽, Sep 2012. 

  12. 미 국무성 방산교역국(DDTC), "2011 Section 655 Annual Military Assistance Reports", 2011. 

  13. Under Secretary of Defense, "Annual Industrial Capabilities Report to Congress", 1쪽, October 2013. 

  14. Ashton B. Carter, " The Defense Industry Enters a New Era", Cowen Investment Conference, 1쪽, Feb 9, 2011. 

  15. 미 국방성 홈페이지, DPAC Overview, http://www.acq.osd.mil/mibp/overview.html, (검색일 : 2014. 3. 3) 

  16. 미 국방성 홈페이지, Security of Supply, http://www.acq.osd.mil/mibp/sec.supply.html (검색일 : 2014. 3. 4) 

  17. Sydney Pope, Mark Toupas, Mark Buffler, OUSD AT&L, "Defense Production Act", 37쪽, Jan 20, 2010. 

  18. Reciprocal Security of Supply Arrangement between the DOD of the USA and The DOD of Australia. 3-4쪽, Apr 15, 2011. 

  19. 미국무성 방산조약 홈페이지 : http://pmddtc.state.gov/treaties/index.html (검색일 2014. 3. 20) 

  20. 방위사업청, '미국의 국제무기거래규정(ITAR)', 2012. 

  21. 미 의회 증언, Andrew J. Shapiro, Assistant Secretary, US Department of State. "Defense Trade Cooperation Treaties Between the US, the UK, and Australia, The DISAM Journal, March 2010. 

  22. UK-US Defense Trade Cooperation Treaty: Eligible Cooperative Programs, As of April, 2012, US Department of State. 

  23. HMG Projects List for US-UK Defense Trade Cooperation Treaty, Last updated 01/07/14, US Department of State. 

  24. Australia-US Defense Trade Cooperation Treaty : US DOD/ADOD Eligible Cooperative Programs List current at 18 apr 2013, US Department of State. 

  25. Australia-US Defense Trade Cooperation Treaty: Government of Australia End-Use List current at 21 Feb 2014, US Department of State. 

  26. 미공법, 41 USC 10a. 

  27. John R. Lucky, "Domestic Content Legislation: The Buy American Act and Complementary Little Buy American Provisions", CRS report, 8-9쪽, 2012. 

  28. 미 국방획득규정, http://www.acq.osd.mil/dpap/dars/dfarspgi/current/index.html (검색일; 2013. 8. 20), subpart 225.0. 

  29. 미국방성 방산MOU 홈페이지: http://www.acq.osd.mil/dpap/cpic/ic/reciprocal_procurement_memoranda_of_understanding.html (검색일: 2014. 3.21) 

  30. Jeremiah Gertler, "F-35 Joint Strike Fighter Program", CRS Report for Congress, 14-15쪽, Feb 16, 2012. 

  31. 미 F-35 JSF 홈페이지, "International Participation", http://www.jsf.mil/program/prog_intl.htm (검색일: 2014. 2. 13). 

  32. Global Security Homepage, "F-35 Joint Strike Fighter(JSF) Lighting II", http://www.globalsecurity.org/military/systems/aircraft/f-35-int.htm (검색일 2014. 2.13). 

  33. 안영수, 장원준, 김정호, 김창모, 조은정, 방위산업의 글로별 환경변화와 경쟁력 평가,산업연구원, 43-44쪽, 2011. 

  34. 김진기, "탈 냉전기 미국과 일본의 방위산업 협력: 미일기술포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53권 제2호, 88-98쪽, 2010. 

  35. Richard A. Bitzinger, The Modern Defense IndustryPolitic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Issues, ABC CLIO, 160-162쪽,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