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내 유해세균을 억제하는 양돈용 프로바이오틱스 개발을 위한 비피도박테리아 탐색
Screening of Bifidobacteria for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Inhibiting 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2 no.3, 2014년, pp.211 - 218  

이재연 (수원대학교 바이오산업연구소) ,  신영오 (수원대학교 바이오산업연구소) ,  김근 (수원대학교 바이오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물유래 시료들로부터 양돈 사료첨가용 유산균을 개발하기 위하여 enterotoxigenic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Clostridium perfringens 등 양돈산업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인수공통 병원성 세균들과 Clostridium jejun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와 같은 식중독균을 강하게 저해하는 Bifidobacterium 유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의 반추위 내용물, 닭 창자 내용물, 돼지 분변 등의 시료들로부터 총 65주의 혐기성미생물을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항병원세균활성이 가장 높은 4주를 선별하였는데, 이들은 16S rDNA 염기서열 분석방법에 의하여 3주의 B. boum과 1주의 B. thermophilum으로 동정되었다. 특히 B. thermophilum는 분리주들 중에서 가장 높은 돼지 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성을 보였고, 여러 인수공통병원세균들과 식중독균들에 대한 높은 항균력, 산과 담즙내성을 보여 양돈용 생균제 후보균주로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solate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possessing high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porcine and zoonotic pathogens, such as enterotoxigenic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Clostridium perfringens, a total of 65 anaerobic strains were initially isolated from a variety of sources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유래 시료로부터 양돈 사료첨가용 유산균을 개발하기 위하여 ETEC, Salmonella spp., C. perfringens 등 양돈산업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을 강하게 저해하는 Bifidobacterium 유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리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돼지 소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력 등을 조사하여 양돈 사료첨가용 프로바이오틱스로써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 perfringens 등 양돈산업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을 강하게 저해하는 Bifidobacterium 유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리 유산균의 내산성, 내담즙성, 돼지 소장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력 등을 조사하여 양돈 사료첨가용 프로바이오틱스로써 적합한 균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물유래 시료들로부터 양돈 사료첨가용 유산균을 개발하기 위하여 enterotoxigenic E. coli, Salmonella Typhimurium, Clostridium perfringens 등 양돈산업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인수공통 병원성 세균들과 Clostridium jejuni,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와 같은 식중독균을 강하게 저해하는 Bifidobacterium 유산균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의 반추위 내용물, 닭 창자 내용물, 돼지 분변 등의 시료들로부터 총 65주의 혐기성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독소성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ETEC)의 특징은 무엇인가? 장독소성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ETEC)은 특히 이유 후 스트레스로 인하여 1주일 경에 작은창자에 주로 감염되어 대장균증을 일으키며 증상은 장관에 부착하여 독소를 생산하며 설사, 탈수, 부종 등을 일으킨다[2, 5, 6]. 이유 후 ETEC로 인한 질병발병률이 평균 25% 이상이며 최고 80%에 달한다[15].
항생제 대체제로 프로바이오틱스를 사용할 시 이점은 무엇인가? 양돈 산업이 대규모로 산업화되면서 세균에 의한 설사방지를 위하여 항생제의 사용으로 질병감소 및 가축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져왔으나 항생제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 및 축산물 잔류독성의 문제가 야기되면서 국내에서 항생제의 사료첨가 사용을 금지하기 시작하였다. 항생제 대체제로서 프로바이오틱스는 소화, 미생물경쟁, 면역방어 등의 기능을 통하여 증체 및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국내에서 사료에 사용할 항생제 대체제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양돈 산업이 대규모로 산업화되면서 세균에 의한 설사방지를 위하여 항생제의 사용으로 질병감소 및 가축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져왔으나 항생제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 및 축산물 잔류독성의 문제가 야기되면서 국내에서 항생제의 사료첨가 사용을 금지하기 시작하였다. 항생제 대체제로서 프로바이오틱스는 소화, 미생물경쟁, 면역방어 등의 기능을 통하여 증체 및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dams MR, Nicholaides L. 1997. Reviews of the sensitivity of different foodborne pathogens to fermentation. Food Control. 8: 227-239. 

  2. Alexander TJL. 1994. Neonatal diarrhea in pigs, pp. 151-170. In Gyles CL (ed.), Escherichia coli in Domestic Animals and Human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3. Altschul SF, Madden TL, Schaffer AA, Zhang J, Zhang Z, Miller W, et al. 1997. Gapped BLAST and PSI-BLAST: A new generation of protein database search programs. Nucleic Acids Res. 25: 3389-3402. 

  4. Backstrom, L. 1973. Environment and health in piglet production. A field study of incidences and litter number on behaviour and physiological responses related to welfare status of individual and group housed pigs. Appl. Anim. Behaviour Sci. 17: 229-243. 

  5. Bertschinger HU, Fairbrother JM. 1999. Escherchia coli infections, Sec. 3, Bacterial diseases, pp. 431-468. In Taylor DJ (ed.), Diseases of swine, 8th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6. Beutin L, Geiser D, Steinruck H, Zimmermann S, Scheutz F. 1998. Prevalence and some properties of verotoxin (shiga-like toxin)-producing E. coli in seven different species of healthy domestic animals. J. Clin. Microbiol. 31: 2483-2488. 

  7. Bjork AKK, Christensson E, Olsson NG, Martinsson KB. 1984. The clinical effect of amperozide in pig production. I. Effect of amperozide on aggression and performance in weaners. XV. p. 335. Proc. Int. Vet. Soc. 8th Congress, Ghent. Belgium, 27-31 August, 1984. 

  8. Carghill CF 1982. Control of E. coli infections in pigs. Austral. Adv. Vet. Sci. pp. 206-207. 

  9. Chang YH, Kim JK, Kim HJ, Kim WY, Kim YB, Park YH. 2001. Selection of a potential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 and subsequent in vivo studies. Antonie van Leeuwenhoek 80: 193-199. 

  10. Chou LS, Weimer B. 199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id- and bile-tolerant isolates from strain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J. Dairy Sci. 82: 23-31. 

  11. Coconnier M, Lievin HV, Lorrot M, Servin AL. 2000. Antagonistic activ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B against intracellular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infecting human enterocyte-like Caco-2/TC-7 cells. Appl. Environ. Microbiol. 66: 1152-1157. 

  12. De Angelis M, Siragusa S, Berioco M, Caputo L, Settanni L, Alfonsi G. 2006. Selection of potential probiotic lactobacilli from pig feces to be used as additives in pelleted feeding. Res. Microbiol. 157: 792-801. 

  13. Dicks LM, Botes M. 2010.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health benefits, safety, and mode of action. Benef. Microbes 1: 11-19. 

  14. Dunne C. 2011. Adaptation of bacteria to the intestinal niche: Probiotics and gut disorder. Inflam. Bowel Dis. 7: 136-145. 

  15. Fahy VA, Connaughton D, Driesen SJ, Spicer EM. 1987. Post-weaning colibacillosis, pp. 189-201. In APSA Committee (eds.), Manipulating Pig Production, Australian Pig Science Association, Werribee, Victoria, Australia. 

  16. FAO/WHO. 2001. Health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robiotics in food, including powder milk with live lactic acid bacteria. Report of a joint FAO/WHO expert consulation on evaluation of health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probiotics in food, including powder milk with live lactic acid bacteria. FAO, Cordoba, Argentina. 

  17. Fontana L, Bermudez-Brito M, Plaza-Diaz J, Munoz-Quezada S, Gil A. 2013. Sources,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probiotics. British J. Nutrition. 109: S35-S50. 

  18. Fuller R, Gibson GR. 1997. Modification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using probiotics and prebiotics. Scand. J. Gastroenterol. 222: 28-31. 

  19. Gueimonde M, Salminen S. 2006. New methods for selecting and evaluating probiotics. Dig. Liver Dis. 38: S242-247. 

  20. Hartemink, R, Kok BJ, Weenk GH, Rombouts FM. 1996. Raffinose-Bifidobacterium (RB) agar, a new selective medium for bifidobacteria. J. Microbiol. Methods. 27: 33-43. 

  21. Havenaar R, Brink BT, Veid JHJI. 1992. Selection of strains for probiotic use, pp. 209-224. In Fuller R (ed.), Probiotics : The scientific basis. Chapmann & Hall, London. 

  22. Hudault, S, Lievin V, Bernet-Camard MF, Servin AL. 1997. Antagonistic activity exerted in vitro and in vivo by Lactobacillus casei (strain GG)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C5 infection. Appl. Environ. Microbiol. 63: 513-518. 

  23. Jonsson E, Conway P. 1992. Probiotic for pigs, pp. 209-224. In Fuller R. (ed.), Probiotics : The scientific basis. Chapmann & Hall, London. 

  24. Lahteinen, T, Malinen E, Koort JMK, Mertaniemi-Hannus U, Hankimo T, Karikoski N, et al. 2010.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isolates originating from porcine intestine and feces. Anaerobe. 16: 293-300. 

  25. Lee DY, Seo YS, Rayamajhi N, Kang ML, Lee SI, Yoo HS. 2009.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 evaluation of wild isolates of Lactobacillus reuteri from pig feces. J. Microbiol. 47: 663-672. 

  26. Lee JY, Hwang KY, Kim HS, Kim K. 200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gastro-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of domestic animal.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0: 129-134. 

  27. Lee JY, Hwang KY, Kim K, Park YS, Paik MJ, Kim KR. 2002. Characteristics of antimicrobial organic acids produced by Lactobacillus pentosus K34 isolated from small intestines of Korean native chicke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0: 241-246. 

  28. Minocha, A. 2009. Probiotics for preventive health. Nutr. Clin. Pract. 24: 227-241. 

  29. Nissen L, Chingwaru W, Sgorbati B, Biavati B, Cencic A. 2009. Gut health promoting activity of new putative probiotic/protective Lactobacillus spp.strains: A functional study in the small intestinal cell model. Int. J. Food Microbiol. 135: 288-294. 

  30. Nousianen J, Javanainen P, Setala J, von Wright A. 2004. Lactic acid bacteria as animal probiotics, pp. 547-580. In Salminen S, von Wright A, Quwehand A. (eds.) Lactic acid bacteria. Microbiological and functional aspects. 3rd Ed. Marcel Dekker. New York. 

  31. Petinaki E, Spiliopoulou I. 2012.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mong companion and food-chain animals: impact of human contacts. Clin. Microbiol. Infect. 18: 626-634. 

  32. Pletinckx LJ, Verhegghe M, Crombe F, Dewulf J, De Bleecker Y, Rasschaert G, et al. 2013. Evidence of possibl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T398 spread between pigs and other animals and people residing on the same farm. Prev. Vet. Med. 109: 293-303. 

  33. Rodriguez E, Arques JL, Rodriguez R, Nunez M, Medina M. 2003. Reuterin production by lactobacilli isolated from pig faeces and evaluation of probiotic traits. Lett. Appl. Microbiol. 37: 259-263. 

  34. Sanders ME, Kondo JK, Willrett DL. 1991. Ap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p. 433-459. In Goldberg I. Williams R (eds.), Biotechnology and Food Ingredient,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35. Schillinger U, Lucke F. 1989.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sake isolated from meat. Appl. Environ. Microbiol. 55: 1901-1906. 

  36. Schwartz KJ. 1999. Salmonellosis, Sec. 3, Bacterial diseases, pp.535-551. In Taylor DJ (ed.), Diseases of swine, 8th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37. Smith HW. 1965. The development of the flora of the alimentary tract in young animals. J. Pathol. Bacteriol. 90: 495-513. 

  38. Taylor DJ. 1999. Clostridial infections, Sec. 3, Bacterial diseases, pp. 395-412. In Taylor DJ (ed.), Diseases of swine, 8th Ed.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39. Wang JQ, Yin FG, Zhu C, Yu H, Niven SJ, deLange CFM, et al. 2012. Evaluation of probiotic bacteria for their effe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biota of newly-weaned pigs fed fermented high-moisture maize. Livestock Sci. 145: 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