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산 잣나무 유래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제조 및 이를 이용한 강화 폴리우레탄 나노복합재료
Preparation of Lignocellulose Nanofibers from Korean White Pine and Its Application to Polyurethane Nanocomposite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6, 2014년, pp.700 - 707  

장재혁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이승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  김남훈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온증기 및 오존처리 전처리 후, 습식 고전단 해섬하여 국내산 잣나무로부터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고온증기 및 오존 전처리에 의해 헤미셀룰로오스리그닌 성분은 각각 약 40%, 42%의 감소효과를 보였으며, 무처리 목분에 비교하여 습식 고전단 해섬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섬유의 직경이 더욱 크게 감소하였으며, 좁은 치수분포를 나타냈다. 두 전처리 후 얻어진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평균직경이 각각 19 nm 및 12 nm로 매우 가느다란 것으로 관찰되었다. 얻어진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폴리우레탄 폴리머의 강화필러로 첨가한 결과, 첨가량 및 해섬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복합재료의 인장강도와 탄성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두 전처리 후 얻어진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경우가 전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복합재료의 인장강도 특성을 더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steam and ozone pretreatments on fibrillation efficiency by wet disk-milling was investigated. Hemicellulose (40%) and lignin (42%) of Korean white pine were partially removed by steam and ozone pretreatments,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wet disk-milling time, the diameter of fib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처리 공정이 단순한 고온증기 및 오존 전처리로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 성분을 일부 제거하여 세포벽 구조를 완화시킨 후, 습식 디스크밀로 해섬한 잣나무 LCNF의 특성 및 이를 강화필러로 첨가한 폴리우레탄 복합재료의 강도적 성질을 연구하였다. 고온증기 전처리에 의해서는 헤미셀룰로오스가, 오존 전처리에 의해서는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이 선택적 분해되었다.
  • 현재까지 발표된 대부분의 CNF 제조 관련 연구는 주로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을 제거한 순수한 CNF를 얻기 위한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식재량이 비교적 높은 잣나무로부터 고온증기 및 오존 전처리를 사용하여 목재 구성 성분을 부분적으로 분해한 후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LCNF)를 제조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폴리우레탄 에멀젼에 첨가하여 그 강화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는 셀룰로오스 분자가 분자 내 및 분자 간 수소결합에 의하여 강고하게 응집된 긴 쇄상의 다발로(Li 등 2012), 각종 식물자원은 물론이고 멍게껍질과 같은 동물류,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등으로부터 단리할 수 있다. CNF는 그 잠재적 양이 막대할 뿐만 아니라 높은 비표면적과 기계적, 전기적, 열적 성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존 석유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나노섬유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는 어디로부터 단리할 수 있는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는 셀룰로오스 분자가 분자 내 및 분자 간 수소결합에 의하여 강고하게 응집된 긴 쇄상의 다발로(Li 등 2012), 각종 식물자원은 물론이고 멍게껍질과 같은 동물류,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등으로부터 단리할 수 있다. CNF는 그 잠재적 양이 막대할 뿐만 아니라 높은 비표면적과 기계적, 전기적, 열적 성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존 석유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나노섬유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셀룰로오스 나노섬유가 기존의 합성나노섬유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유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는 셀룰로오스 분자가 분자 내 및 분자 간 수소결합에 의하여 강고하게 응집된 긴 쇄상의 다발로(Li 등 2012), 각종 식물자원은 물론이고 멍게껍질과 같은 동물류,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등으로부터 단리할 수 있다. CNF는 그 잠재적 양이 막대할 뿐만 아니라 높은 비표면적과 기계적, 전기적, 열적 성질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존 석유화학을 기반으로 하는 합성나노섬유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한, 각종 친환경 고기능성 재료로의 응용 가능한 첨단 소재로 알려져 있다 (Roohani 등 2008; Seydibeyoğlu와 Oksman 2008; Chun 등 2012; Park 등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e, K., Sasaki, T., Kokusho T., Shibata M., Uemura, Y., Hatate, Y. 2007. Obtaining cellulose nanofibers with a uniform width of 15 nm from wood. Biomacromolucules. 8: 3276-3278. 

  2. Ando, H., Sakaki, T., Kokusho, T., Shibata, M., Uemura, Y., Hatate, Y. 2000. Decomposition behavior of plant biomass in hot-compressed water.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39: 3688-3693. 

  3. Barros, R.R.O., Paredes, R.S., Endo, T., Bon, E.P.S., Lee, S.H. 2013. Association of wet disk milling and ozonolysis as pretreatment for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sugarcane bagasse and straw. Bioresources Technology. 136: 288-294. 

  4. Bondeson, D., Mathew, A., Oksman, K. 2009. Optimization of the isolation of nanocrystals from microcrystalline cellulose by acid hydrolysis. Cellulose. 13: 171-180. 

  5. Chang, F., Lee, S.H., Toba, K., Nagatani, A., Endo, T. 2012. Bamboo nanofiber preparation by HCW and grinding treatment and its application for nanocomposite.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6: 393-403. 

  6. Cherian, B.M., Leao, A.L., Souza, S.F., Thomas, S., Pothan, L.A., Kottaisamy, M. 2010. Isolation of nanocellulose from pineapple leaf fibers by steam explosion. Carbohydrate Polymers. 81: 720-725. 

  7. Chun, S.J., Choi, E.S., Lee, E.H., Kim, J.H., Lee, S.Y., Lee, S.Y. 2012. Eco-friendly cellulose nanofiber paper-derived separator membranes featuring tunable nanoporous network channels for lithium-ion batteries.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22: 16618-16626. 

  8. Deepa, B., Abraham, E., Cherian, B.M., Bismarck, A., Blaker, J.J., Pothan, L.A., Leao, A.L., Souza, S.F., Kottaisamy, M. 2011. Structure, morphology and thermal characteristics of banana nano fibers obtained by steam explosion. Bioresources Technology. 102: 1988-1997. 

  9. Gratzl, J.S. 1992. Die chemischen Grundlagen der Zellstoffbleiche mit Sauerstoff, Wasserstoffperoxid und Ozon-ein kurzer Uberblick. Das Papier 46(10A): V1-V8. 

  10. Jang, J.H., Kwon, G.J., Kim, J.H., Kwon, S.M., Yoon, S.L., Kim, N.H. 2012. Preparation of cellulose nanofibers from domestic platation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s and Technology. 40(3): 156-163. 

  11. Jang, J.H., Lee, S.H., Endo, T., Kim, N.H. 2013. Characteristics of microfibrillated cellulosic fibers and paper sheets from Korean white pine.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7: 925-937. 

  12. Jang, J.H., Lee, S.H., Kim, N.H. 2014. Effect of pMDI as coupling agent on the properties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reinforced PBS nanocomposite.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s and Technology. in press. 

  13.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1999. Testing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plastic films & sheets. JIS K 7127: 1999 (ISO 527-3: 1995). 

  14. Lee, S.H., Chang, F., Inoue, S., Endo, T. 2010. Increase in enzyme accessibility by generation of nanospace in cell wall supramolecular structure. Bioresources Technology. 101(19): 7218-7223. 

  15. Lemeune, S., Jameel, H., Chang, H.M., Kadla, J.F. 2004. Effects of ozone and chlorine dioxide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cellulose fibers.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93: 1219-1223. 

  16. Li, J., Wei, X., Wang, Q., Chen, J., Chang, G., Kong, L., Su, J., Liu, Y. 2012. Homogeneous isolation of nanocellulose from sugarcane bagasse by high pressure homogenizer. Carbohydrate. Polymers. 90: 1609-1613. 

  17. Park, B.D., Um, I.C., Lee, S.Y., Dufresne, A. 2014.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se nanofibril/polyvinyl alcohol composite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s and Technology. 42(2): 119-129. 

  18. Paakko, M., Ankerfors, M., Kosonen, H., Nykanen, A., Ahola, S., Osterberg, M., Ruokolainen, J., Laine, J., Larsson, P.T., Ikkala, O. Lindstrom, T. 2007. Enzymatic hydrolysis combined with mechanical shearing and high-pressure homogenization for nanoscale cellulose fibrils and strong gels. Biomacromolecules. 8: 1934-1941. 

  19. Renneckar, S., Zink-sharp, A., Esker, A.R., Johnson, R.K., Glasser, W.G. 2006. Cellulose Nanocomposites: Processing, Characterization and Properties, ACS Symposium Series 938, Ed. by Oksman, K. Sain, M.,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p. 78-96. 

  20. Roohani, M., Habibi, Y., Belgacem, N.M., Ebrahim, G., Karimi, A.N., Dufresne, A. 2008. Cellulose whiskers reinforced polyvinyl alcohol copolymers nanocomposites. European Polymer Journal. 44: 2489-2498. 

  21. Saito, T., Kimura, S., Nishiyama, Y. Isogai, A. 2007. Cellulose nanofibers prepared by TEMPO-mediated oxidation of native cellulose. Biomacromolecule. 8: 2485-2491. 

  22. Seydibeyoglu, M. O., Oksman, K. 2008. Novel nanocomposites based on polyurethane and micro fibrillated cellulose.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68: 908-914. 

  23. Wang, S., Cheng, Q. 2009. A novel process to isolate fibrils from cellulose fibers by high-intensity ultrasonication. Part 1. Process optimization.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113(2): 1270-1275. 

  24. Wise, L.E., Murphy, M., Addieco, A.A. 1946. Isolation of holocellulose from wood. Paper Trade Journal. 122: 35-43. 

  25. Zhang, Y., Kang, G., Ni, Y., van Heiningen, A.R.P. 1997. Degradation of carbohydrate model compounds during ozone treatment. Journal of Pulp and Paper Science. 23(1): J23-J27. 

  26. Zimmermann, T., Bordeanu, N., Sturb, E. 2010. Properties of nanofibrillated cellulose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and its reinforcement potential. Carbohydrate Polymers. 79: 1086-109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