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기술동향에서는 극저온 접착제의 요구 물성(Table 1 참조)에 대한 평가 방법과 대표적인 극저온 접착제인 에폭시와 폴리우레탄의 특징과 최근 연구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극저온 접착제의 특징과 물성 평가 방법, 최근 개발되고 있는 몇 가지 접착제의 예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극저온 접착제는 현재 실생활에 사용하기에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이지만 수소 및 액화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 버스 등의 기술의 발전이 진행됨에 따라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인트가 냉각 효율 및 폭발 가능성에 취약한 이유는? 가스 연료의 보관을 위한 구조물의 제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용접이나 조인트(joint)를 이용한 방식보다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부분을 고정시키는 방법이 고안되고 있다. 조인트는 통상 금속 재질이며,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냉각 효율 및 폭발 가능성에 취약하기 때문에 극저온 접착제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접착제 물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접착제의 물성을 평가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인장력(tensile strength) 및 박리강도(peel strength)를 측정하는 것이다. 물성 평가에 사용되는 기기로써 만능시험기(universal testing machine)를 사용하고 상온에서의 접착하는 기준을 따르게 된다.
극저온 접착제의 물성의 정확한 파악으로 어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가? 극저온 접착제 설계에 있어서 기존 접착제에 비해 특별히 고려해야 할 점은 극저온 환경에서의 피착제(substrate)와 접착제 간의 열 팽창계수(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차이로 인한 미소 균열, 층간 분리 등에 대한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평가를 통해 극저온 접착제의 물성을 정확히 파악하여야 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D. E. Glass, "Bonding and Sealing Evaluations for Cryogenic Tanks",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Langley Research Center, Hampton (1997). 

  2. R. Heydenreich, Cryogenics, 38, 125 (1998). 

  3. C. K. Schoff, K. Udipi, and J. K. Gillham,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s in Low-temperature Adhesives", Princeton University, Washington, D. C. (1977). 

  4. 김천곤, "위성발사체 경량 복합재 구조 개발", 과학기술부 (2005). 

  5. J. Schutz, Cryogenics, 38, 3 (1998). 

  6. K. S. Whitley and T. S. Gates, "Thermal/Mechanical Response and Damage Growth in Polymeric Composites at Cryogenic Temperatures", 43rd AIAA/ASME/ASCE/AHS/ASC Structures, Structural Dynamics, and Materials Conference, Denver, CO (2002). 

  7. C. E. Ojeda, E. J. Oakes, J. R. Hill, D. Aldi, and G.A. Forsberg, "Temperature effects on adhesive bond strengths and modulus for commonly used spacecraft stuctural adhesives", Jet Propulsion Laboratory,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Pasadena, CA (2011). 

  8. K. H. Lee and D. G. Lee, Compos. Struct., 86, 37 (2008). 

  9. S. G. Kang, M. G. Kim and C. G. Kim, Compos. Struct., 78, 440 (2007). 

  10. S. H. Yoon, B. C. Kim, K. H. Lee, and D. G. Lee, J. Adhes. Sci. Technol., 24, 429 (2010). 

  11. C. S. Lee, M. S. Chun, M. H. Kim, and J. M. Lee, Compos. Struct., 71, 1921 (2011). 

  12. C. Buckley and N. McCrum, J. Mater. Sci., 8, 1123 (1973). 

  13. J. F. Shackelford and W. Alexander, CRC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Handbook, 3rd Ed., CRC Press, Boca Raton, FL (2001). 

  14. Y. H. Yu, B. G. Kim, and D. G. Lee, Compos. Struct., 94, 462 (2012). 

  15. "Bonding handbook", E-248, GTT (Gaztransport & Technigaz Sas) (2012). 

  16. F. Sawa, S. Nishijima, and T. Okada, Cryogenics, 35, 767 (1995). 

  17. X. Hu and P. Huang, Int. J. Adhes. Adhes., 25, 296 (2005). 

  18. T. Ueki, S. Nishijima, and Y. Izumi, Cryogenics, 45, 141 (2005). 

  19. S. G. Prolongo, G. del Rosario, and A. Urena, Int. J. Adhes. Adhes., 26, 125 (2006). 

  20. K. M. Zia, H. N. Bhatti, and I. Ahmad Bhatti, React. Funct. Polym., 67, 675 (2007). 

  21. S. R. Sandler and F. R. Berg, J. Appl. Polym. Sci., 9, 3909 (1965). 

  22. J. P. Yang, Z. K. Chen, G. Yang, S. Y. Fu, and L. Ye, Polymer, 49, 3168 (2008). 

  23. 손민영, 이재광, 홍정락, 한국복합재료학회지(복합재료), 22, 13 (2009). 

  24. 손민영, 한국복합재료학회지(복합재료), 24, 39 (2011). 

  25. 서지호, 조일성, 김수현, 유희은, 김연희, 김상범, 한국공업화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7). 

  26. 조일성, 강성구, 김상범, 한국가스학회지, 12, 38 (2008). 

  27. C. C. M. Ma, H. C. Hsia, D. S. Chen, Y .S. Li, and M. S. Li, Polym. Int., 35, 361 (1994). 

  28. T. Shimoda, J. He, and S. Aso, "Study of Cryogenic Mechanical Strength and Fracture Behavior of Adhesives for CFRP Tanks of Reusable Launch Vehicles", Memoirs of the Faculty of Engineering, Kyushu University, 66, 55 (2006). 

  29. J. P. Yang, G. Yang, G. Xu, and S.Y. Fu, Compos. Sci. Technol., 67, 2934 (2007). 

  30. B. C. Ray, J. Appl. Polym. Sci., 102, 1943 (2006). 

  31. S. J. Park and J. S. Jin, J. Appl. Polym. Sci., 82, 775 (2001). 

  32. R. Praveen, S. Jacob, C. Murthy, P. Balachandran, and Y. Rao, Cryogenics, 51, 95 (2011). 

  33. X. J. Shen, Y. Liu, H. M. Xiao, Q. P. Feng, Z. Z. Yu, and S. Y. Fu, Compos. Struct., 72, 158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