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텀 애시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사용하기 위한 활용성에 관한 연구
Bottom Ash on the Application for Use as Fine Aggregate of Concret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2 no.3, 2014년, pp.173 - 179  

김성수 (대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이정배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박승호 (대진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석탄을 사용하여 발전한 후 남은 폐기물인 석탄회를 콘크리트의 잔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이다. 석탄회는 크게 플라이 애시와 바텀 애시로 구분될 수 있다. 플라이 애시의 경우 콘크리트의 배합 시 시멘트를 대체하는 재료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반면 바텀 애시의 경우 대부분이 매립되고 있는 등 재활용률이 낮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률이 낮은 바텀 애시의 활용률을 증대시키고자 콘크리트의 잔골재로 일부 치환하였으며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콘크리트 배합물시멘트 비를 고정한 상태에서 바텀 애시의 사용량을 증가 시키게 되면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일정 수준이상 사용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카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배합하였고 콘크리트 비빔 직후 및 비빔 1시간 후 유동성 및 공기연행성을 비교하여 실제 레미콘이나 배치 플랜트에서 생산된 콘크리트가 현장에 타설되는 시간을 모사하였다. 연구 결과 바텀 애시를 잔골재의 30%정도 치환한 콘크리트 비빔 1시간 후 작업성과 공기연행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압축강도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바텀 애시를 콘크리트 잔골재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for recycling coal ash left over from coal use as a potential fine aggregate in concrete. Coal ash is generally divided into either fly ash or bottom ash. Fly ash has been utilized as a substitution material for cement in concrete mixes. On the other hand, bottom ash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플라이 애시의 경우 재활용률이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바텀 애시의 경우 다공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높은 흡수율과 굳지 않은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연행 공기 흡착 등의 열악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텀 애시 치환율 증가에 따른 유동성 저하의 문제점을 물시멘트비의 조절을 통해 보완하고자 하였고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콘크리트 생산 후 경시변화를 고려하여 비빔 후 1시간까지 굳지 않은 콘크리트성상을 확인함으로써 바텀 애시의 콘크리트 활용에 대한 실질적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2단계 실험에서는 바텀 애시의 치환율 증가에 따른 유동성저하를 물시멘트비의 조절로 보완하였다. 또한, 실제 콘크리트 타설 현장까지의 운송시간을 고려하여 초기 슬럼프 및 공기함유량을 높게 설정하고 비빔 후 1시간의 슬럼프와 공기량을 확인하여 적정한 유동성과 공기량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바텀 애시를 콘크리트의 잔골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바텀 애시를 잔골재로 치환한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유동성 및 공기함유량에 대한 경시변화를 검토하였고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력발전소의 증설에 따라 무엇의 발생도 증가하는가? , 2012). 이러한 화력발전소의 증설에 따라 석탄의 사용량과 석탄회의 발생량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재활용 되지 못한 잉여 석탄회는 회처리장에 매립하고 있어 처리비용 증가와 환경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재활용 되지 못한 잉여 석탄회는 어디에 매립되고 있는가? , 2012). 이러한 화력발전소의 증설에 따라 석탄의 사용량과 석탄회의 발생량도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재활용 되지 못한 잉여 석탄회는 회처리장에 매립하고 있어 처리비용 증가와 환경 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본연구에서 진행한 바텀 애시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활용하기 위한 검토를 위한 단계적 실험 계획에서, 1단계에선 무엇을 검토하였는가? 실험은 총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1단계 실험에서는 바텀 애시의 치환에 따른 유동성 저하를 확인하기 위하여 물시멘트비는 40%, 화학혼화제는 시멘트의 1%로 고정하여 바텀 애시의 치환율을 10% 단위씩 증가시켰으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유동특성과 굳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바텀 애시를 30% 이상 치환할 경우 콘크리트의 타설이 용이하지 않을 정도로 급격히 슬럼프가 낮아졌기 때문에 치환율 30%이상의 콘크리트는 제작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i, S.J., Jeong, Y., Oh, B.J., Kim, M.H. (2003).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Concrete according to W/C and Replacement Ratio of Bottom Ash,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15(6), 840-847 [in Korean]. 

  2. Jo, B.W., Park, S.K., Kwon, B.Y. (2004). Alkali-Activated Coal Ash(Fly Ash, Bottom Ash)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and Its Application of Concrete,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16(6), 751-757 [in Korean]. 

  3. Kim, J.M., Kwak, E.G., Cho, S.H., Kang, C.(2009). Decision of Optimized Mix Design for Lightweight Foamed Concrete Using Bottom Ash by Statistical Procedure,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21(1), 3-11 [in Korean]. 

  4. Kim, S.C., Ahn, S.K. (2009). Mix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Compressive Strengths for Foam Concrete Associated with the Application of Bottom Ash,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21(3), 283-290 [in Korean]. 

  5. Kwon, K,J.(2010). Utilization of Fly & Bottom Ash as Concrete Meterial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4(2), 46-49 [in Korean]. 

  6. Lee, J.H., Kim, J.H., Kim, Y.R., Kang, S.P., Choi, S.J., Kim, M.H. (2002).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Bottom Ash according to Water-Cement Ratio,"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1), 57-60. 

  7.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Recycling of Steel Slag and Coal ash Discharge Company Guidelines. 

  8.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Act on the Promotion of Saving and Recycling of Resources. 

  9. Park, S.G.(2012). Present Status and Recycling Technology for Bottom As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7(1), 9-12 [in Korean]. 

  10. Song, M.S., Kim, Y.D., Na, C.S., Choi, K.R., Kim, J.H., Kim, M.H.(2003). "An Experimantal Study on Properties of Mortar using Bottom Ash,"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3(1), 61-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