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 환기식 온실의 모델 기반 환기 제어를 위한 미기상 환경 예측 모형
Predictive Model of Micro-Environment in a Naturally Ventilated Greenhouse for a Model-Based Control Approach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3 no.3, 2014년, pp.181 - 191  

홍세운 (루벤대학교 바이오시스템학부 M3-BIORES) ,  이인복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rn commercial greenhouse requires the use of advanced climate control system to improve crop production an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s an alternative to classical sensor-based control method, this paper introduces a model-based control method that consists of two models: the predictive m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모델 기반의 온실 환경 제어에 활용될 수 있는 미기상 환경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다양한 기상 조건과 온실의 환기 구조에 따른 온실 내부의 미기상 변화와 환기창에서의 환기량 변화를 모의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수치 모형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실 내부의 국소 기온 분포에 따른 환기 작동 방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온실 외부의 기상환경 및 온실의 환기 방식에 따른 온실 내부의 위치별 기온 변화 분포를 수치적 모형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각 조건 인자들과 결과적인 기온 분포들과의 상관성을 Table 3와 같이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기상 환경은 온실 외부에서 측정된 기온, 지면 온도, 일사량 및 풍속 등 네 가지이며, 환기 구조는 천창의 개폐율의 한 가지 조건이다. 실제의 온실 운영에 비추어 볼 때 제어하는 조건의 수가 한정적이지만, 향후 대형 온실에 사용될 환기 제어 개발의 기초 연구로서 소규모 온실에 대하여 제한적인 요소에 대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온실의 환경 조절을 위해서는 온실 내부로 유출입되는 환기량을 측정하고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다양한 기상 조건과 천창 개폐 정도에 따라 각 천창을 통해 유출입되는 환기량을 도출하기 위한 수식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에 앞서 각 인자들과 각 천창들의 통한 환기량 간의 상관 계수를 구하였으며 이는 Table 5에 나타나 있다.
  • 온실의 환기 성능을 예측하기 위한 가상 온실 모델은 간단한 박스 모델부터 복잡한 수치해석 기법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중요한 점은 실시간 제어의 관점에서 충분히 짧은 시간 내에 예측 결과가 산출되어야 하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얻어진 온실 미기상 데이터에 기반을 두어 회귀 분석에 의한 가상 온실 환기 예측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필요한 데이터는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으로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예측 모형은 추후에 평가 모델과 함께 모델 기반의 온실 환경 조절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것이다.
  • 0m·s−1로 정하였다. 자연 환기식 온실에서 문제가 되는 상황은 외부의 풍속이 약하여 충분한 환기 작용을 유도할 수 없는 경우이므로, 낮은 풍속에 집중하여 시뮬레이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풍향은 온실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고 3구역에서 1구역으로 부는 풍향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가설 설정

  • 2차원의 100m × 100m 공간에 Table 1의 기온, 지면 온도, 평균 풍속 값을 경계 조건으로 설정하고 정상상태로 연산하여 지면 바닥면에서 공기 중으로 전달되는 발열량을 계산하였다. 단, 온실 내부의 지면에서의 발열량은 외부 지면 발열량의 60%로 가정하였는데, 이는 태양 복사가 지면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온실 내부에서의 온실 피복재, 작물 등에 의한 손실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계산된 발열량은 Table 1에 제시되어 있다.
  • 압력과 유속의 연계를 위해 SIMPL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모든 유체는 비압축성 이상기체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실과 같은 농업 시설의 내부 환경 조절은 어떤 요소인가? 온실과 같은 농업 시설의 내부 환경 조절은 효과적인 생산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농업 시설의 내부 환경 조절을 위한 방법으로 이전부터 센서 기반의 제어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센서 기반 제어 방법에서 제어시스템의 작동이란 어떻게 개발되었는가? 센서 기반 제어 방법은 시설 내부에서 온도와 같은 특정 인자를 실측한 후, 이를 목표로 하는 값과 비교하여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이다. 여기서 제어 시스템의 작동은 가장 단순한 On-Off 제어부터 PID 제어와 퍼지 제어 등 효과제인 제어를 위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Chung 등, 2001).
농업 시설의 내부 환경 조절을 위한 방법으로 무엇이 사용되어 왔는가? 온실과 같은 농업 시설의 내부 환경 조절은 효과적인 생산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농업 시설의 내부 환경 조절을 위한 방법으로 이전부터 센서 기반의 제어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센서 기반 제어 방법은 시설 내부에서 온도와 같은 특정 인자를 실측한 후, 이를 목표로 하는 값과 비교하여 제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lasco, X., M. Martinez, J.M. Herrero, C. Ramos and J. Sanchis. 2007. Model-based predictive control of greenhouse climate for reducing energy and water consumption.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55:49-70. 

  2. Bournet, P.E. and T. Boulard. 2010. Effect of ventilator configuration on the distributed climate of greenhouses: A review of experimental and CFD studies.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74(2):195-217. 

  3. Chung, T.S., Y.B. Min and G.K. Moon. 2001. Temperature control of greenhouse using ventilation window adjustments by a fuzzy algorithm.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0(1): 43-49. (in Korean). 

  4. Fisk, W.J. and A.T. De Almeida. 1998, Sensor-based demandcontrolled ventilation: a review, Energy and Buildings 29:35-45. 

  5. Mahdavi, A. and C. Proglhof. 2008. A model-based approach to natural ventilation. Building and Environment 43:620-627. 

  6. Hong, S.W., I.B. Lee, H.S. Hwang, I.H. Seo, J.P. Bitog, J.I. Yoo, K.S. Kim, S.H. Lee, K.W. Kim and N.K. Yoon. 2008. Numerical simulation of ventilation efficiencies of naturally ventilated multi-span greenhouses in Korea. Transaction of ASABE 51(4):1417-1432. 

  7. Kacira, M., S. Sase and L. Okushima. 2004. Effects of side vents and span numbers on wind-induced natural ventilation of a gothic multi-span greenhouse. Japan Agricultural Research Quarterly 38(4):227-233. 

  8. Lee, I.B., N.K. Yun, T. Boulard, J.C. Roy, S.H. Lee, G.W. Kim, S.W. Hong and S.H. Sung. 2006. Development of an aerodynamic simulation for studying microclimate of plant canopy in greenhouse - (2) Development of CFD model to study the effect of tomato plants on internal climate of greenhouse.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5(4):296-305. (in Korean). 

  9. Mahdavi, A. and C. Proglhof. 2005. A model-based method for the integration of natural ventilation in indoor climate systems operation. Proceeding of the $9^{th}$ International IBPSA Conference 2005:685-692. 

  10. Norton, T., D.W. Sun, J. Grant, R. Fallon and V. Dodd. 2007. Applications of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n the modelling and design of ventilation systems in the agricultural industry: A review. Bioresource Technology 98(12):2386-2414. 

  11. Ntoula, E., N. Katsoulas, C. Kittas, A. Youssef, V. Exadaktylos and D. Berckmans. 2011. Data based modeling approach for greenhouse air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cta Horticulturae 952:67-72. 

  12. Vranken, E., R. Gevers, J.M. Aerts and D. Berckmans. 2005, Performance of model-based predictive control of the ventilation rate with axial fans. Biosystems Engineering 91(1):87-98. 

  13. Youssef, A., J. Dekock, N. Katsoulas, S. Eren Ozcan, C. Kittas and D. Berckmans. 2011. Data-based approach to model the dynamic behaviour of greenhouse tempeature. Acta Horticulturae 893:931-9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