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압 처리가 꼬마칼라감자의 항산화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Small Colored Potatoes (Solanum tuberosum L.) by using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0 no.4, 2014년, pp.27 - 36  

박성진 (한림성심대학교 관광외식조리과) ,  권민수 (농업회사법인 록야 주식회사) ,  황영정 (한국국제대학교 외식조리학과) ,  최미숙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  나영아 (을지대학교 식품산업외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고압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기존 추출공정과 비교함으로써 초고압 추출공정에 의한 꼬마칼라감자의 항산화 활성 증진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고압 처리 추출물의 수율이 15분 처리시 2.10, 30분 처리시 2.41%로 추출 수율을 나타내어 일반 열수추출공정(1.73%)과 비교하여 약 1.2~1.4배의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초고압 공정에 따른 변화 비교에서는 초고압 공정을 병행하였을 시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초고압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것보다 다소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활성성분의 용출이 증진된 것으로 보인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30분 초고압 처리한 추출물이 1.0 mg/mL에서 76.2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 역시 전체적으로 초고압 공정을 실시하였을 때의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초고압 추출이 꼬마칼라감자 내부 조직까지 영향을 주어 세포벽이 깨어지면서 조직 및 구조가 변화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수율 및 활성 성분의 용출 증가가 이루어 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꼬마칼라감자의 초고압 추출공정의 최적화를 통한 활성물질의 추출 극대화를 통해 높은 경제적 가치를 이룰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a method to improv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lored potato extract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The colored potato was extracted by water at $60^{\circ}C$(WE) and 300 MPa for 15 min (High Pressure Extraction, $HPE_{15}$) and 30 min (High Pres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온의 열수를 이용하게 되면 목적하지 않는 성분의 용출로 식품이나 약용으로서의 이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재의 기존 추출공정의 단점을 극복하고 활성성분의 효과적인 용출을 가능하게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고압 공정을 꼬마칼라감자 추출에 적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고압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기존 추출공정과 비교함으로써 초고압 추출공정에 의한 꼬마칼라감자의 항산화 활성 증진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고압 처리 추출물의 수율이 15분 처리시 2.
  • 본 연구에서는 칼라감자와 같은 표면이 외피로 쌓인 조직으로 이루어진 소재의 추출에 있어서 단순 열수 추출 공정으로는 용매가 소재 조직으로의 효과적인 침투가 어려워 유용성분의 추출에 한계가 있다. 하지만, 고온의 열수를 이용하게 되면 목적하지 않는 성분의 용출로 식품이나 약용으로서의 이용에 한계가 있어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 추출공정의 단점을 극복하고 활성성분의 효과적인 용출을 가능하게하기 위해 초고압 공정을 꼬마칼라감자 추출에 적용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Values with different superscript with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천연물 추출에 사용된 전통적인 방법의 단점은? 이를 통하여 추출 시에 그 수율 증진을 위한 공정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Kim CH et al 2007). 기존의 천연물 추출에 사용된 전통적인 방법은 추출효율이 낮고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열로 인한 많은 유용성분의 파괴, 단백질의 변성, 성분의 손실, 가용성분 위주의 추출, 열에 대하여 불안정한 것 등의 단점을 드러내고 있다(Park JH et al 2004).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초고압 기술을 약용식물의 유용 성분을 추출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추출법을 초고압 추출이라고 한다.
유색감자의 특징은? 최근 감자는 식품산업의 발전과 함께 박피, 절단 등 소비자의 구매 요구에 맞는 1차 가공 형태로 단위 포장하여 저온 유통 및 판매되는 최소가공 가공품으로서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Hur J 2007). 유색감자는 수분함량이 높아 장기저장이 어려운 일반감자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일반감자보다 병충해에 강하고, 독특한 맛과 색을 함유하고 있어 기호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식욕을 증진시킨다. 또한 아린 맛이 덜해서 과일처럼 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리로 인한 영양성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유색감자 괴경의 육색은 적색 또는 보라색을 띠고 있는데 이것은 수용성 색소인 안토시아닌으로 과실류나 채소류, 꽃 그리고 낙엽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Lee JS 2012),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지닌다(Jang HL & Yoon KY 2012).
유색감자 괴경의 육색이 보라색을 띠게 하는 색소는 무엇인가? 한편, 유색감자 괴경의 육색은 적색 또는 보라색을 띠고 있는데 이것은 수용성 색소인 안토시아닌으로 과실류나 채소류, 꽃 그리고 낙엽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Lee JS 2012),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지닌다(Jang HL & Yoon KY 2012). 또한 적색 또는 보라색은 수용성 색소인 anthocyanin으로써 pH에 따라 주황색, 적색, 분홍색, 보라색 및 청색 등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며, 자연계에 약 300여종이 존재한다(Song ES et al 2005). 또한 anthocyanin이 지니는 항산화 및 항암 기작은 in vivo 및 in vitro 실험에서도 입증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Park YM et al 2012; Ahn GJ 2010; Choi HD et al 2008; Jeong JC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G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mount of purple sweet-potato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6(1): 127-136. 

  2. Ames BN (1984). Dietary carcinogen and anti-carcinogens. Clin Toxicol 22(3): 291-301. 

  3. Bennett PB, Marquis RE, Demchenko I (1998) High pressure biology and medicin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New York, USA, 1-428 

  4. Block G, Langseth L (1994). Antioxidant vitamins and disease prevention. Food Technol 48(7):80-84. 

  5. Choi, HD, Lee HC, Kim SS, Kim YS, Lom HT, Ryu GH (2008).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of new domestic potato cultivars. Kor J Food Sci Technol 40(4):382-388. 

  6. Fitzpatrick DF, Hirschfield SL, Coffey RG (1993).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ing activity of wine and other grape products. Am J Physiol 265(2): H774-H778. 

  7.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AOCS 58(11): 966-967. 

  8. Gutteridge JMC, Halliwell B (1994). Antioxidants In nutrition, Health, and Disease.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UK, 1-62. 

  9. Horie Y, Kimura K, Ida M, Yosida Y, Ohki K (1991). Jam preparation by pressurization. Nippon Nogeikagaku Kaishi 65(6): 975-980. 

  10. Hur J (2007). Effect of Citrate and Phosphate on the Inhibition of Browning in Minimally Processed Potatoes. Korean J Culinary Res 13(2): 254-259. 

  11. Jang HL, Yoon KY (2012). Biological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ethanol extracts of white and flesh-colored Solanum tubersum L. potato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8):1035-1040. 

  12. Jeong JC, Chang DG, Yoon YH, Park CS, Kim SY (2006). Effect of cultural environments and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the antocyanin accumulation of purple-fleshed potato. J Bio-Environ 15(2): 201-210. 

  13. Kalt W (2006). Effects of production and processing factors on major fruit and vegetable antioxidant. J Food Sci 70(1): 11-19. 

  14. Kim CH, Kwon MC, Syed AQ, Hwang B, Nam JH, Lee HY (2007). Toxicity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s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6): 411-416. 

  15. Kim CH, Kwon MC, Han JG, Na CS, Kwak HG, Choi GP, Park UY, Lee HY (2008). Skin-Whitening and UV 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on uitra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4): 255-260. 

  16. Kim HK, Kwon YJ, Kim YE, Nahmgang B (2004).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1(1): 88-95. 

  17. Kim JH, Kim JK, Kang WW, Ha YS, Choi SW, Moon KD (2003). Chemical composition and DPPH radical scavenger activity in different sections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5): 733-738. 

  18. Kim TK, Shin HD, Lee YH (2003). Stabilization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using inclusion complexation with cyclodextrin and their utilization as the fresh-food preservativ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 266-272. 

  19. Kromhout D (1987). Essential micronutrients in relation to carcinogenesis. Am J Clin Nutr 45(5):1361-1467. 

  20. Lee HH, Lee S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2): 79-85. 

  21. Lee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freeze-dried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ean J Culinary Res 18(5):279-292. 

  22. Lee OH, Lee BY, Lee J, Lee HB, Son JY, Park CS, Shetty K, Kim YC (2009). Assessment of phenolics-enriched extract and fractions of olive leav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ioresour Technol 100(23): 6107-6113. 

  23. 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D (2007).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2): 250-254. 

  24. Ling J, Han JG, Ha JH, Jeong HS, Kwon MC, Ahn JH, Kim JC, Choi GP, Chung EK, Lee HY (2008). Effect of immune activity on Berberis koreana Palibin by ultra high pressure low temperature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6): 439-445. 

  25. Macrae RG, Robinson RK, Sadler MJ (1993).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1: 607-171. 

  26.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ropharmacology 71(1-2): 109-114. 

  27.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6): 307-315. 

  28. Park SJ, Seong DH, Park DS, Kim SS, Gou J, Ahn JH, Yoon YB, Lee HY (2009).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J Korea Soc Food Sci Nutr 38(3): 396-400. 

  29. Park JH, Lee HS, Mun HC, Kim DH, Seong NS, Jung HG, Bang JK, Lee HY (2004). Effect of ultrasonification process on enhancement of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Ephedra sinica Stapf and Rubus coreanus Miq.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2): 113-117. 

  30. Park YM, Kim MH, Yoon H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c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Korean J Culinary Res 18(1):54-64. 

  31. Que F, Mao L, Zhu C,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s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Food Sci Technol 39(2): 111-117. 

  32. Reddivari L, Hale AL, Miller JC (2007). Determination of phenolic content, composition and their contribution to antioxidant activity in specialty potato selections. Am J Potato Res 84(4):275-282. 

  33. Roberta R, Nicoletta P, Anna P, Ana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9-10): 1231-1237. 

  34. Sato M, Ramarathan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1):37-41. 

  35. Song ES, Park SJ, Woo NRA, Won MH, Choi JS, Kim JG, Kang MH (2005). Antioxidant capacity of colored barley extracts by varieties. Kor J Soc Food Sci Nutr 34(10): 1491-1497. 

  36. Velioglu YS, Mazza G, G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10): 4113-4117. 

  37. Yamashita A, Soga Y, Iwamoto Y, Asano T, Li Y, Abiko Y, Nishimura F (2008). DNA microarray analyses of genes expressed differentially in 3T3-L1 adipocytes co-cultured with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in the presence of the toll-like receptor 4 ligand bacterial endotoxin. Int J Obesity 32(11): 1725-17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