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Marine Debris Pollution Abatement Technology Program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7 no.4, 2014년, pp.274 - 282  

권영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박세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해양쓰레기에 대한 모니터링환경영향평가 등 과학적인 연구사업을 통해 해양쓰레기의 영향을 저감시키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의 시행을 고려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사업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책판단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제성 분석 지표인 순현재가치, 편익/비용 비율, 내부수익률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분석결과 순현재가치, 편익/비용 비율, 내부수익률은 각각 457억원, 2.72, 17.12%로 산정되어 각각 0, 1.0, 5.5%를 상회하므로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은 비용-편익 분석을 통과한다. 따라서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을 시행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바람직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government is conside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arine debris pollution abatement technology program (MDPATP) to mitigate the negative impacts of marine debris and systematically manage marine debris through scientific researches such as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2013년에 수립된 ‘제2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 계획(2014~2018)’에서는 해양쓰레기의 발생 최소화 및 국민공감형 수거사업 강화와 과학적이고 능동적인 해양쓰레기 정책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한다(KOEM[2013]).
  • 이를 위해 해양쓰레기의 양과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책 수립 및 이행에 따른 해양쓰레기 양과 영향의 저감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이 기획되었다. 이 사업은 궁극적으로 해양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수준으로 해양쓰레기 오염을 저감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이후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이 사업의 정책목표는 관리체계 구축을 통한 해양쓰레기 양과 영향의 20% 저감이다. 그에 따른 연구개발 목표3)는 해양쓰레기 오염과 영향을 관측하고 해양 쓰레기 평가 및 관리기술을 고도화하여 좋은 환경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양쓰레기를 저감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쓰레기의 양과 영향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정책 수립과 이행에 따른 해양쓰레기의 양과 영향의 저감효과를 평가한다.
  • 미세플라스틱의 오염과 독성평가는 미세플라스틱의 오염, 미세화, 흡착/첨가 오염물질 및 생물독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연안의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오염과 생태위해성을 평가한다. 해양쓰레기에 의한 환경적 및 경제적 영향 평가는 해양쓰레기에 의한 생물, 환경 및 경제적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연안에서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한다.
  • 편익 추정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편익의 개념이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5판)(KDI[2008]) 및 연구개발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연구(제1판)(KISTEP[2011a])에 부합해야 하는 것이며 편익 항목간 이중계산의 문제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므로 편익 추정에 있어서 이 2가지 원칙을 견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소 보수적인 접근을 위해 다음과 같이 사업기여율을 산정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사업기여율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서는 관련 사업을 파악해야 하는데, 해양수산부 R&D 사업 중에서는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사업이 없다.
  • 본 사업의 수행을 통한 결과물 중 일부는 해외로 진출하여 성과를 낼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다소 보수적인 접근을 취한다는 관점에서 국내에서 발생가능한 편익항목만을 대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따라서 추후 본 사업의 성과물로 해외 진출이 가능하다면 편익은 보다 커질 수 있을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양쓰레기로 인한 해양환경피해의 저감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는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해양쓰레기가 관련 해양산업에 미치는 피해비용을 추정한 후 여기에다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이 목표로 하는 피해저감률을 곱하여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의 경제적 편익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전자는 주로 산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있어서 절감되는 비용감소분을 평가하여 이를 편익으로 간주하는 방법이다. 비용감소분을 다른 생산적인 곳에 투자하면 최소한 비용감소분 만큼의 경제적 편익이 발생할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다. 피해비용 접근법은 R&D의 결과물로 인해 국민들의 피해가 줄어든다면 그 피해감소분이 바로 편익이라고 보는 것으로서 매우 직관적이다.
  • 편의상 이 값을 반올림한 9년으로 편익발생 기간을 산정한다. 즉 편익은 사업종료 다음 연도인 2024년부터 2032년까지 9년 동안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경제적 타당성 분석 대상 기간은 R&D 기간 및 편익발생 기간 모두를 포함한 2014년부터 2032년까지의 19년간이다.
  • 즉 본 R&D 사업의 사업기여율을 66.67%(=100/(100+50))라 가정한다.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관련 예산 정보의 구득 어려움을 감안하여, 본 R&D 사업의 예산이 100이라면 대응예산은 본 R&D 예산의 절반정도 수준이라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쓰레기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2009]). 해양쓰레기는 플라스틱류, 유리류, 고무류, 금속류, 나무류, 옷감류의 형태로 분류(Metar and Parida[2004])된다. 이 중에서도 해양쓰레기 생산량의 약 60~80%를 차지하는 플라스틱은 전세계적으로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2억 8천만톤에서 2050년까지 330억톤이 생산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ochman et al.
정부가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의 시행을 고려하고 있는 이유는? 정부는 해양쓰레기에 대한 모니터링 및 환경영향평가 등 과학적인 연구사업을 통해 해양쓰레기의 영향을 저감시키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해양쓰레기 오염대응 기술개발사업의 시행을 고려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사업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함으로써 정책판단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류의 양은 어느 정도인가? 해양쓰레기는 플라스틱류, 유리류, 고무류, 금속류, 나무류, 옷감류의 형태로 분류(Metar and Parida[2004])된다. 이 중에서도 해양쓰레기 생산량의 약 60~80%를 차지하는 플라스틱은 전세계적으로 195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에는 2억 8천만톤에서 2050년까지 330억톤이 생산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Rochman et al.[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llsopp, M., Walters, A., Santillo, D. and Johnston, P., 2006, "Plastic Debris in the World's Oceans", Greenpeace, pp. 1-43. 

  2. Chae, D.R., 2011, "The Problems and Reduction Schemes of Marine Litter in Fisheries Management", Environment & Transportation Division, The Journal of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Vol. 1, No. 1, pp. 125-134. 

  3. Cheshire, A., Adler, E., Barbiere, J., Cohen, Y., Evans, S., Jarayabhand, S., Jeftic, L., Jung, R.T., Kinsey, S., Kusui, E.T., Lavine, I., Manyara, P., Oosterbaan, L., Pereira, M.A., Sheavly, S., Tkalin, A., Varadarajan, S., Wenneker, B. and Westphalen, G., 2009, "UNEP/IOC Guidelines on Survey and Monitoring of Marine Litter", UNEP Regional Seas Reports and Studies, No. 186; IOC Technical Series, No. 83, pp. 1-120. 

  4. Cho, D.O., 2005, "Challenges to Marine Debris Management in Korea", Coastal Management, Vol. 33, No. 4, pp. 389-409. 

  5. Cho, D.O., 2009, "The Incentive Program for Fishermen to Collect Marine Debris in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8, No. 3, pp. 415-417. 

  6. Hall, K., 2000, "Impacts of Marine Debris and Oil-Economic and Social Costs to Coastal Communities", KIMO, pp. 1-97. 

  7. Hong, S.W., Lee, J.M., Jang, Y.C., Kim, Y.J., Kim, H.J., Han, D., Hong, S.H., Kang, D. and Shim, W.J., 2013a, "Impacts of Marine Debris on Wild Animals in the Coastal Area of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66, Issues 1-2, pp. 117-124. 

  8. Hong, S.W., Lee, J.M., Jang, Y.C., Kang, D.S., Shim, W.J. and Lee, J.S., 2013b, "The Honolulu Strategy and Its Implication to Marine Debri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Vol. 16, No. 2. pp. 143-150. 

  9. Jang, S.W., Park, J.M., Chung, Y.H., Kim, D.H. and Yoon, H.J., 2012, "A Study on the Inflow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Debris in the Coastal Area of the West S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5, No. 2. pp. 89-100. 

  10. Jang, Y.C., Hong, S., Lee, J., Lee, M.J. and Shim, W.J., 2014, "Estimation of lost tourism revenue in Geoje Island from the 2011 Marine debris pollution event in South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81, Issue 1, pp. 49-54. 

  11. Jang, Y.C., Lee, J.M., Hong, S.W., Shim, W.J. and Kang, D.S., 2013, "Development and Priority Setting of Policy Measures on Styrofoam Buoy Marine Debr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Vol. 16, No. 3. pp. 171-180. 

  12. Jang, Y.C., Lee, J.M., Hong, S.W., Mok, J.Y., Kim, K.S., Lee, Y.J., Choi, H.W., Kang, H.M. and Lee, S.H., 2014, "Estimation of the annual flow and stock of marine debris in South Korea for management purposes",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86, Issue 1-2, pp. 505-511. 

  13. Jung, R.T., Sung, H.G., Chun, T.B. and Keel, S.I., 2010, "Practical Engineering Approaches and Infrastructure to Address the Problem of Marine Debris in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60, No. 9, pp. 1523-1532. 

  14. KDI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8, "A Study on General Guidelines for Pre-feasibility Study (5th Edition)", pp. 303-312. 

  15. Kim, S.D. and Kang, W.S., 2012,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ost Estimation of Collection and Treatment of Deposited Marine Debris in Coastal Fisheries around the Southwestern Island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5, No. 4. pp. 330-336. 

  16. KIMST (Kore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 Technology Promotion), 2011, "A Planning Research for Marine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established and Analysis of the Role and Growth Prospects", pp. 18-20. 

  17. Kim, Y.J. and Yoon, J.S., 2009, "A Study on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and Fresh Water Diffusion According to Discharge of Namgang Dam",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23, No. 2, pp. 37-46. 

  18. KISTEP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2011a, "A Study on Standard Guidelines for R&D Pre-feasibility Study (1th Edition)", pp. 181-209. 

  19. KISTEP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2011b, "Development of Knowledge-Based Analysis System for R&D Feasibility Analysis", pp. 154-158. 

  20. KISTEP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2011c, "Feasibility Study by the Kistep in 2010", Available at www.kistep.re.kr. 

  21. KISTEP (Korea Institute of S&T Evaluation and Planning), 2012, "Feasibility Study by the Kistep in 2011", Available at www.kistep.re.kr. 

  22. KOEM (Korea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Corporation), 2013, "The Study of 2nd National Plan for Marine Litter Management (2014-2018)". 

  23. Koo, B.S., Kang, H. and Hur, S.H., 2000, "Study on the Marine Deris on the Seabed in Chinhae Ba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3, No. 4, pp. 91-98. 

  24. Lee, D.I., Cho, H.S. and Jeong, S.B., 2006,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arine Litter on the Sea Bed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South Sea of Korea, 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70, No. 1-2. pp. 187-194. 

  25. Lee, J.M., Hong, S.W., Song, Y.K., Hong, S.H., Jang, Y.C., Jang, M., Heo, N.W., Han, G.M., Lee, M.J., Kang, D.S. and Shim, W.J., 2013, "Relationships among the Abundances of Plastic Debris in Different Size Classes on Beaches in South Korea",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77, Issues 1-2, pp. 349-354. 

  26. Lee, J.M, Jang, Y.C., Hong, S.W. and Choi, H.W., 2012, "Features of Foreign Marine Debris on the Dune Beach of U-i Isl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8, No. 2, pp. 167-74. 

  27. Lee, Y.B., Park, S., Ryu, C.R., Kim, H.T. and Yoon, H.S., 2007, "Characteristics of Marine Debris collected from the Coastline of Sandba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0, No. 3, pp. 148-154. 

  28. Macfadyen, G., Huntington, T. and Cappel, R., 2009, "Abandoned, Lost or Otherwise Discarded Fishing Gear", FAO Technical Paper 523/UNEP Study 185, pp. 1-115. 

  29. McIlgorm, A., Campbell, H.F. and Rule, M.J., 2011, "The Economic Cost and Control of Marine Debris Damage in the Asia-Pacific Region",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54, No. 9, pp. 643-651. 

  30. Metar, S. and Parida, P., 2004, "Littering the Seas", Samudra, March, pp. 17-19. 

  31.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OE (Ministry of Environment),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CG (Korea Coast Guard), 2011, "The 4th Marine Environment Management Master Plan (2011-2020)", pp. 83-85. 

  32.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OE (Ministry of Environment),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CG (Korea Coast Guard), 2008, "The 1st National Plan for Marine Litter Management (2009-2013)", p. 75. 

  33.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A Planning Research of Marine Debris Pollution Abatement Technology Program", pp. 1-188. 

  34. Moore, C.J., 2008, "Synthetic Polymers in the Marine Environment: A Rapidly Increasing, Long-Term Threat", Environmental Research, Vol. 108, No. 2, pp. 131-139. 

  35. Mouat, J., Lopez Lozano, R. and Bateson, H., 2010, "Economic Impacts of Marine Litter", Kommunernes Internationale Milioorganisation. 

  36.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 United Nations Environmental Program, 2011, "The Honolulu Strategy: A Global Framework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Debris", 이종수, 장용창, 이종명, 홍선욱, 이미정 번역(2012), 해양쓰레기 예방과 관리를 위한 호놀룰루 전략, (사)동아시아 바다공동체 오션, pp. 1-60. 

  37. Ofiara, D.D. and Seneca, J.J., 2006, "Biological Effects and Subsequent Economic Effects and Losses from Marine Pollution and Degradations in Marine Environments: Implications from the Literature", Marine Pollution Bulletin, Vol. 52, pp. 844-864. 

  38. Rochman, C.M., Browne, M.A., Halpern, B.S., Hentschel, B.T., Hoh, E.H., Karapanagioti, H.K., Rios-Mendoza, L.M., Takada, H., The, S. and Thompson, R.C., 2013, "Policy: Classify Plastic Waste as Hazardous", Nature, Vol. 494, pp. 169-171. 

  39. Song, M.S., Lee, J.M., Lee, M.J. and Yu, J.S., 2001, "An Experimental Study on Drifting and Sinkage of Marine Debr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4, No. 1, pp. 47-62. 

  40. Takehama, S., 1990, "Estimation of Damage to Fishing Vessels Caused by Marine Debris, Based on Insurance Statistics", in Shomura, R.S., Godfrey, M.L., Ed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rine Debris, 2-7 April 1989, Honolulu, Hawaii, US Department of Commerce, pp. 792-809. 

  41. Ten Brink, P., Lutchman, I., Bassi, S., Speck, S., Sheavly, S., Register, K., Woolaway, C., 2009, "Guidelines on the Use of Marketbased Instruments to Address the Problem of Marine Litter", Institute for European Environmental Policy (IEEP), Brussels, Belgium, and Sheavly Consultants, Virginia Beach, VA, USA, pp. 1-60. 

  42. Yoo, C.I., Yoon, H.S. and Kim, G.T., 2007, "The Behavior of Floating Debr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Using a Simple Numerical Particle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3, No. 4. pp. 9-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