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티로폼 부자 해양쓰레기 대응 정책 개발과 우선순위 평가
Development and Priority Setting of Policy Measures on Styrofoam Buoy Marine Debris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6 no.3, 2013년, pp.171 - 180  

장용창 (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 ,  이종명 (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 ,  홍선욱 (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 ,  심원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유류.유해물질 연구단) ,  강대석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티로폼 부자는 한국의 해변 쓰레기 중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는 쓰레기 중의 하나이지만 정부 정책은 소극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개발할 목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연차별로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문제의 탐색과 공유,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정책 대안을 도출하고, 계층분석과정을 통해 정책 대안들의 우선순위를 평가하였다. 우선순위 평가에는 총 56명이 참가하였고 일관성 기준을 통과한 40명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16개 정책 대안들 중 지자체 공공근로 등을 활용한 해안정화 활동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대체 부자 및 양식법 개발 등 조사 연구 사업이 다른 사업들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정책 대안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서는 실행가능성, 효과성, 효율성, 수용가능성의 순서로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합리적인 정책 설계 절차에 따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함으로써 스티로폼 해양쓰레기 문제에 대해 보다 현실성 있는 정책 대안들이 발굴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n though styrofoam buoys represent a large portion of beached marine debris in Korea, efficient government actions have been lacking to address them. Three participatory workshops were organized from 2010 to 2012 to develop policy measures to manage styrofoam buoy marine debris. The first works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에 걸쳐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정책 개발 워크숍을 매년 개최하여 관련자들 사이의 문제의 심각성 및 현행 정책 및 기술적 동향 공유, 종합적 정책 대안 개발 및 우선 순위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지난 3년간 진행된 워크숍의 결과를 바탕으로 스티로폼 부자 해양쓰레기 정책 대안을 분석적으로 제시하고, 이해당사자 참여를 통한 정책 개발의 과정과 우선 순위 평가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AHP를 통해 이해관계자 집단 사이의 인식과 이해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상위와 하위로 평가된 정책 수단에 대해서는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중위로 평가된 정책 수단에 대해서는 집단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5).
  • 본 연구에서는 정책 수단의 평가 기준으로 효율성, 효과성, 실행가능성, 수용가능성의 4개 기준을 이용하였는데 평가자들이 각각의 의미와 차이를 완전히 이해하기는 힘든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기준에 대한 오해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설문 조사서에 용어들의 정의를 설명해 놓았으며, 워크숍 중에 이를 낭독하여 공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용어들이 매우 추상적이기 때문에 응답자들이 어떻게 평가 기준을 이해하고 정책들을 평가했는지에 대해서는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쓰레기의 가장 많은 부분은 어떤 물질인가? 물질의 종류별로 볼 때 해양쓰레기에는 유리, 금속, 가공된 목재 등도 포함되지만(Cheshire et al.[2009]), 많은 부분은 플라스틱이며, 세계적으로는 해양쓰레기의 약 60~80%가 플라스틱으로 조사되고 있다(Derraik[2002]).
우리나라 스티로폼 해양쓰레기 대응 정책에는 고밀도 부자 보급 지원사업과 어업용 폐스티로폼 감용기 보급사업이 있는데, 이 중 고밀도 부자 보급지원사업은 무엇인가? [2008]), 근본적 문제해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고밀도 부자 보급 지원사업은 연안 양식어장에서 사용 되는 부자를 규격 부자로 교체하는 데 정부가 지원금을 주는 사업이다. 제1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에 따르면 총 2천3백만개의 부자를 대상으로 교체하는데, 2009년부터 2013년까지 5년간 총 161억원을 투입하는 것으로 계획되어 있다(MLTM et al.
해양쓰레기는 무엇인가? 해양쓰레기가 최근 세계적으로 중요한 해양환경 문제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UNEP[2011]). 해양쓰레기는 “원인을 불문하고 해양환경에 유입된 것으로서, 제조되거나 가공된 고체(불활성)의 못쓰게 된 물질”(Coe and Rogers[1997])로 정의된다. 물질의 종류별로 볼 때 해양쓰레기에는 유리, 금속, 가공된 목재 등도 포함되지만(Cheshir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ndrady, A.L., 2011,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62, 1596-1605. 

  2. Cheshire, A., Adler, E., Barbiere, J., Cohen, Y., Evans, S., Jarayabhand, S., Jeftic, L., Jung, R., Kinsey, S., and Kinsui, E., 2009, UNEP/IOC guidelines on survey and monitoring of marine litter,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Regional Seas Programme, p. 120. 

  3. Coe, J.M. and Rogers, D.B. (ed.), 1997, Marine debris: sources, impacts and solutions, Springer, p. 432. 

  4. Davidson, T.M., 2012, Boring crustaceans damage polystyrene floats under docks polluting marine waters with microplastic, Marine Pollution Bulletin 64, 1821-1828. 

  5. Delgado, L.E., Marin, V.H., Bachmann, P.L., and Torres- Gomez, M., 2009, Conceptual models for ecosystem management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social actors: The Rio Cruces wetland conflict, Ecology and Society 14, 50. 

  6. Derraik, J.G.B., 2002, The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by plastic debris: a review, Marine Pollution Bulletin 44(9), 842-852. 

  7. Diehl, M. and Stroebe, W., 1987, Productivity loss in brainstorming groups: Toward the solution of a ridd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at 53(3), 497-509. 

  8. Dunn, W.N., 2003, Public policy analysis: An introduction, Third Edition, Prentice Hall, translated into Korean by Namgung, G., Lee, H.S., Kim. S.H., and Kim, J.W. at Beabmoon Publishing Company (법문사), p. 650. 

  9. Engler, R.E., 2012, The complex interaction between marine debris and toxic chemicals in the ocea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6(22), 12302-12315. 

  10. ERFGMA (Enforcement Rule of Fishing Ground Management Act, 어장관리법 시행규칙), 2011, Order No. 232 by Ministry of Farming, Forestry, and Fishery (농림수산식품부령 제232 호), Partially revised on 30th December, 2011 (2011년12월 30일 일부 개정). 

  11. FOS (Foundations of Success), 2009, Using Conceptual Models to Document a Situation Analysis: An FOS How-To Guide, Foundations of Success, Bethesda, Maryland, USA, p. 18. 

  12. Fossi, M.C., Panti, C., Guerranti, C., Coppola, D., Giannetti, M., Marsili, L., and Minutoli, R., 2012, Are baleen whales exposed to the threat of microplastics? A case study of the Mediterranean fin whale (Balaenoptera physalus), Marine Pollution Bulletin 64, 2374-2379. 

  13. Hare, M., Letcher, R.A., and Jakeman, A.J., 2003, Participatory modelling in natural resource management: A comparison of four case studies, Integrated Assessment 4, 62-72. 

  14. Hidalgo-Ruz, V. and Thiel, M., 2013,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small plastic debris on beaches in the SE Pacific (Chile): A study supported by a citizen science project.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87-88, 12-18. 

  15. Hinojosa, I.A. and Thiel, M., 2009, Floating marine debris in fjords, gulfs and channels of southern Chile, Marine Pollution Bulletin 58, 341-350. 

  16. Ingram, H. and Mann, D.E., 1989, Interest groups and environmental policy, in James P. L. (ed.), Environmental Politics and Policy: Theory and Evidence,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p. 400. 

  17. Jeong, J.G., Choi, J.W., Lee, S.W., and Jeong, J.G., 2003, Principles of Policy Studies (정책학 원론), Daemyoung Publishing Company (대명출판사), p. 996. 

  18. Kim, C.S., 2000,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 - focusing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 policies of the Han and the Naktong River basin, Ph.D thesis at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 347. 

  19. Kim, O.I., Chae, K.J., and Park, G.G., 2009, An exploratory survey on strategic priority of multi-cultural policy of the local government (다문화정책의 전략적 우선순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초자치단체 다문화 정책을 중심으로),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한국 사회와 행정 연구) 20(2), 115-135. 

  20. Kim, G.T., Choi, Y.R., Jang, J.Y., and Kim, W.S., 2012, The yellow sea ecoregion conservation project: the present situation and its implic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15(4), 337-348. 

  21. Konidari, P. and Mavrakis, D., 2007, A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policy instruments, Energy Policy 35, 6235-6257. 

  22. Kruskal, W.H. and Wallis, A., 1952, Use of ranks in one-criterion variance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47(260), 583-621. 

  23. Kusui, T. and Noda, M., 2003. International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stranded and buried litter on beaches along the Sea of Japan, Marine Pollution Bulletin 47(1), 175-179. 

  24. Lee, J.E., Kim, Y.P., Jeong, Y.S., and Kim, T.J., 2007, An analysis of recognition of comparative seriousness of social risk from different electric energy resources (발전원별 사회적 위험도에 대한 상대적 심각성 분석: AHP기법을 활용하여),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한국행정학보) 41(1), 113-132. 

  25. Lee, J., Jang, Y.C., Hong, S., and Lee, M.J., 2012, Report on Styrofoam Marine Debris Policy Workshop 2012 (2012 스티로폼 해양쓰레기 정책 워크숍 보고서), Our sea of East Asia Network (동아시아 바다공동체 오션), Korea Foam-Styrene Recycling Association (한국발포스티렌재활용협회), Yeongnam Sea Grant Center (영남씨그랜트센터), p. 176. 

  26. Mau-Crimmins, T., de Steiguer, J.E., and Dennis, D., 2005, AHP as a means for improving public participation: A pre-post experiment with university students, Forest Policy and Economics 7, 501-514. 

  27.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국토해양부), 2009a, The result report of the Korean National Marine Debris Monitoring in the first year (2008) (국가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1차년도(2008년) 결과 보고서), p. 234. 

  28.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국토해양부), 2009b, The result report of the Korean National Marine Debris Monitoring in 2009 (2009년 국가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 p. 93. 

  29.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국토해양부), 2010, The result report of the Korean National Marine Debris Monitoring in 2010 (2010년 국가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 p. 112. 

  30.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국토해양부), 2011, (The summary report of the Korean National Marine Debris Monitoring in 2011 (2011년 국가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결과 보고서(요약문)), p. viii. 

  31.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국토해양부), Ministry of Environment (환경부),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농림수산식품부), Korea Coast Guard (해양경찰청), 2008, The 1st Basic Plan on Marine Litter Management (제1차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 계획), p. 75. 

  32. Munger, M.C., 2000, Analyzing Policy: Choices, Conflicts, and Practices, New York: W. W. Norton, p. 448. 

  33. Namgung, G., 2012, Policy Studies(정책학), Second Edition (제2판), Beob Moon Publishing Company (법문사), p. 855. 

  34. Ng, K.L. and Obbard, J.P., 2006, Prevalence of microplastics in Singapore's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ine Pollution Bulletin 52, 761-767. 

  35. Osborn, A.F., 1957, Applied imagination (rev. ed.), New York: Scribner, p. 379. 

  36. Pak, S.l. and Oh, T.H., 2010, The Application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Clinical Medicine 27, 71-78. 

  37. Pascoe, S., Mary Dichmont, C., Brooks, K., Pears, R., and Jebreen, E., 2013, Management objectives of Queensland fisheries: Putting the horse before the cart, Marine Policy 37, 115-122. 

  38. Pirot, J.-Y., Meynell, P.J. and Elder, D., 2000, Ecosystem Management: Lessons from Around the World. A Guide for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Practitioners.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p. 132. 

  39. Pound, W.T., 2000, A Practical Guide to Futures Study, NCSL Task Force on Legislatures of the Future, p. 34. 

  40. Rho, W.J., 2003, Theories of Policy Analysis (기획과 결정을 위한 정책분석론), Second Edition (제2전정판), Bagyoung Publishing Company (박영사), p. 463. 

  41. Rochman, C.M., Browne, M.A., Halpern, B.S., Hentschel, B.T., Hoh, E., Karapanagioti, H.K., Rios-Mendoza, L.M., Takada, H., Teh, S., and Thompson, R.C., 2013, Policy: Classify plastic waste as hazardous, Nature 494, 169-171. 

  42. Roosens, L., Cornelis, C., D'Hollander, W., Bervoets, L., Reynders, H., Van Campenhout, K., Van Den Heuvel, R., Neels, H., and Covaci, A., 2010, Exposure of the Flemish population to brominated flame retardants: Model and risk assessment, Environment International 36, 368-376. 

  43. Saaty, T.L., 2008, Decision Making for Leaders: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for Decision in a Complex World, RWS Publications, Pittsburgh, PA., p. 343. 

  44. Saaty, T.L., and Kearns, K.P., 1985, Analytic Planning: The Organization of Systems, New York: Pergamon Press, Inc., p. 212. 

  45. Shim, W.J., Song, Y.G., Heo, N.W., Jang, M., Han, G.M., Hong, S.H., Lee, J., Hong, S., Jang, Y.C., and Lee, M.J., 2012,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icroplastic on beaches of eastern seashore of Geoje Island (거제도 동부 모래해변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조성 및 공간분포 특성), Proceedings of the 2012 Autumn Meeting,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012년도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요약집), 267-267. 

  46. Silveira, K., Shaffer, R., and Behr, C., 1993, A Summary of Citizen Participation Methods for the Waterfront Development Project in Oconto, Wisconsin, p. 45. 

  47. UNCE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92, Agenda 21, United Nations. 

  48. UNEP, 2011, UNEP Yearbook 2011: Egerging issues in our global environment,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Nairobi, p. 79. 

  49. Videira, N., Antunes, P., Santos, R., and Gamito. S., 2003, Participatory modelling in environmental decision-making: The ria Formosa natural park case study, Journal of Environmental Assessment Policy and Management 5, 421-4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