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마산만, 행암만, 고현만, 원문만, 진동만 등을 포함하는 진해만 해역의 장기적 수질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진해만 해역 내 9개 조사 정점에서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유기물 오염 지표인 화학적산소요구량(COD)과 부영양화와 관련이 많은 영양염류(DIN, DIP) 및 클로로필 a (Chl.-a)의 평균농도는 육상 유역으로부터의 오염부하가 큰 마산만이 대체로 높았다. 특히, 마산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st.1 정점은 육상 오염원에 인접해 있고, 해수의 유동이 원활치 않은 특성 등으로 인해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특성은 요인분석에서도 확인되었는데, 마산만 st.1 정점은 표층수와 저층수 모두 유기물과 영양염류 증가 요인에 대한 영향이 주된 특징으로 나타났다. 진해만 외해 경계부 정점(st.5)과 고현만(st.6), 원문만(st.7), 당항만(st.8), 진동만(st.9) 정점들은 표층수와 저층수 모두에서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증가 요인에 대한 영향이 마산만(st.1, st.2, st.3)이나 행암만(st.4) 정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해만 해역 수질의 장기변동 특성을 살핀 결과, 표층 COD 농도는 뚜렷한 감소경향이 없었지만, 저층 COD 농도는 마산만 st.1 정점을 제외한 나머지 8개 정점에서 뚜렷한 감소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영양염류(DIN, DIP) 농도의 경우, 표층과 저층 모두 그리고 9개 정점 모두에서 두드러진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마산만에서의 감소추세는 특별관리 해역 지정 이후 시행된 오염총량제 등이 수질 개선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더불어 진해만 해역이 전반적으로 함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reveal the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Jinhae Bay, water qualities had been monitored at 9 survey stations of Jinhae Bay during 2000~2012. The surface and bottom waters concentrations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dissolved inorganic 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산만을 포함하는 진해만 해역 전체를 대상으로 한 모니터링은 Yoon and Lee[2004]에 의해 1989년~1994년에 수행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을 포함하는 진해만 해역을 대상으로 마산만 특별관리해역 지정 이후 최근 10여 년 동안의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중심으로 수질 변동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해만 해역이 포함하고 있는 만은 어떤 곳들이 있는가? 진해만 해역은 마산만, 행암만, 고현만, 원문만, 당항만, 진동만 등의 여러 만(灣)들을 포함하고 있고, 거제도 동북쪽 해역에서 외해와 주로 연결되나 외해수의 유입이 약하여 반폐쇄성 해역에 속한다. 특히, 진해만 해역 내 마산만은 1970년 대 이후 주변 유역의 도시화 및 산업화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해양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다(Cho and Chae[1998]).
마산만의 해양 환경이 지속해서 악화된 이유는? 진해만 해역은 마산만, 행암만, 고현만, 원문만, 당항만, 진동만 등의 여러 만(灣)들을 포함하고 있고, 거제도 동북쪽 해역에서 외해와 주로 연결되나 외해수의 유입이 약하여 반폐쇄성 해역에 속한다. 특히, 진해만 해역 내 마산만은 1970년 대 이후 주변 유역의 도시화 및 산업화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해양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다(Cho and Chae[1998]). 이에 마산만은 2000년에 해양오염방지법에 근거하여 연안육지부를 포함한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되었다.
마산만의 해양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됨에 따라 어떤 조치 및 연구가 시행되었는가? 특히, 진해만 해역 내 마산만은 1970년 대 이후 주변 유역의 도시화 및 산업화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해양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왔다(Cho and Chae[1998]). 이에 마산만은 2000년에 해양오염방지법에 근거하여 연안육지부를 포함한 특별관리해역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해수 수질의 종합적 관리를 위해 2007년에 화학적산소요구량(COD)에 대한 1단계 오염총량제가 시행되었고, 2012년부터 질소와 인을 추가하여 2단계 오염총량제가 시행 중이다. 또한 이러한 정책 시행과 더불어 해수 수질 특성이나 수질관리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ek, S.H. and Kim, Y.O., 2010, "The Study of Summer Season in Jinhae Bay - 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and Horizont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 Korean J. of Environ. Bio., Vol. 28, No. 3, 115-124. 

  2. Chang, W.K., Ryu, J.S., Yi, Y.J., Lee, W.C., Lee, C.W., Kang, D.S., Lee, C.H., Hong, S.J., Nam, J.H. and Khim, J.S., 2012, "Improved Water Quality in Response to Pollution Control Measures at Masan Bay, Korea", Mar. Pollut. Bull., Vol. 64, 427-435. 

  3. Cho, H.Y. and Chae, J.W., 1998,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 Load in Chinhae-Masan Bay", Korean Soc. of Coast. and Ocean. Eng., Vol. 10, No. 3, 132-140. 

  4. Cho, H.Y., Chae, J.W. and Jeong, S.T., 2000, "Pollutant Budget Change Due to Constructio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Masan Bay", Korean Soc. of Coast. and Ocean. Eng., Vol. 12, No. 3, 149-155. 

  5. Cho, K.J., Choi, M.Y., Kwak, S.K., Im, S.H., Kim, D.Y., Park, J.G. and Kim, Y.E., 1998, "Eutrophic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Masan-Jinhae Bay", The Sea, J. of the Korean Soc. of Oceanogr., Vol. 3, No. 4, 193-202. 

  6. Choi, H.W., Park, J.M., Kim, H.W. and Kim, Y.O., 2007, "Identifying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Using Spatial Autocorrelation Index and Pearson's r", Ocean. and Polar Res., Vol. 29, No. 4, 391-400. 

  7. Danielsson, A., 2014, "Influence of hypoxia on sillicate concentration in the Baltic Proper (Baltic Sea)", BOREAL ENVIRONMENT RESEARCH, Vol. 19, online preprint. 

  8. Hong, S.J., Lee, W.C., Jung, R.H., Oh, H.T., Jang, J.H., Goo, J.H. and Kim, D.M., 2007, "Ecosystem Modelling for Improvement Summer Water Quality of JinHae Bay in 2003", J. of the Korean Soc. of Mar. Environ. and Saf., Vol. 13, No. 2, 103-110. 

  9. Hyun, B.G., Shin, K., Kim, D.S., Kim, Y.O., Joo, H.M., and Baek, S.H., 2011, "Understanding of Phytoplankton Community Dynamics Through Algae Bioassay Experiment During Winter Season of Jinhae Bay, Korea", The Sea, J. of the Korean Soc. of Oceanogr., Vol. 16, No. 1, 27-38. 

  10. Jeong, D.H., Shin, H.H., Jung, S.W. and Lim, D.I., 2013, "Variations and Characters of Water Quality during Flood and Dry Seasons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Sea, Korea", The Korean J. of Environ. Bio., Vol. 31, No. 1, 19-36. 

  11. Jung, S.W., Lim, D., Shin, H.H., Jeong, D.H. and Roh, Y.H., 2011, "Relationship between Physico-Chemical Factors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Surface Water of Mansan Bay: Bi-Daily Monitoring Data", The Korean J. of Environ. Bio., Vol. 29, No. 2, 98-106. 

  12. Kim, C.K. and Lee, P.Y., 2000,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ing of Chinhae Bay", J. of Korean Soc. of Coast. and Ocean. Eng., Vol. 12, No. 1, 1-10. 

  13. Kim, D.S., Lee, C.W., Choi, S.H. and Kim, Y.O., 2012, "Long-term Changes in Water Quality of Masan Bay, Korea", J. of Coast. Res., Vol. 28, No. 4, 923-929. 

  14. Kim, J.H. and Lee, I.C., 2011, "A Numerical Prediction of Residence Time According to Freshwater Influx in Enclosed Bay", J. of the Korean Soc. of Mar. Environ. & Saf., Vol. 17, No. 4, 339-343. 

  15. Kim, S.S., Lee, D.Y., Han, H.J., Oh, H.R. and Moon, B.H.,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ollutant Load Duration Curve for Stream Water Quality Management to Masan Bay", Korean Soc. of Water and Wastewater & Korean Soc. on Water Environ., Fall Academic Meeting Proceedings, 547-548. 

  16. Kwon, J.N., Lim, J.H., Shim, J., Lee, J. and Choi, T.J., 2014, "The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J. of the Korean Soc. for Mar. Environ. and Energy, Vol. 17, No. 3, 212-223. 

  17. Lee, B.H., 2006, "Anlysis of Non- 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 in Jinhae-Masan Basin", The J. of Eng. Paichai University, Korea, Vol. 8, No. 1, 107-118. 

  18. Lee, C.W., Kwon, Y.T., Yang, K.S., Jang, P.G. and Han, S.D., 1998, "Loading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Closed Coastal Water", J. of the Korean Soc. for Mar. Environ. Eng., Vol. 1, No. 2, 60-70. 

  19. Lee, D.I. and Park, C.K., 2003, "The Ecological Modeling for Estimation of Total Allowable Pollutant Loading Capacity in Masan Bay", J. of Korean Soc. on Water Qual., Vol. 19, No. 5, 575-583. 

  20. Lee, J. and Han, M.S., 2007, "Change of Blooming Pattern and Population Dynamics of Phytoplankton in Masan Bay, Korea", The Sea, J. of the Korea Soc. of Oceanogr., Vol. 12, No. 3, 147-158. 

  21. Lee, M.K., Hwang, J.W. and Choi, Y.K., 1996, "Water Quality Evaluation on the Bottom Water of Masan Bay by Multivariate Anaysis", J. of the Korean Environ. Sciences Soc., Vol. 5, No. 1, 15-23. 

  22. Lee, W.L. and Moon, S.W., 2007,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nd Management of Masan Bay Using a Water Quality Model", Environ. Res. Inst., Kyungnam University, Vol. 30, 35-42. 

  23. Lehtroranta, J. and A.S. Heiskanen, 2003, "Dissolved iron : phosphate as indicator of phosphate release to oxic water of the inner and outer coastal Baltic Sea", Hydrobiologia, Vol. 492, 69-83. 

  24. Lim, D.L., Kim, Y.O., Kang, M.R., Jang, P.K., Shin, K. and Jang, M., 2007,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and Limiting Factor for Primary Production in Semi-enclosed Masan Bay, South Sea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Vol. 29, No. 4, 349-366. 

  2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Standard Method of Oceanic Environment, 3-495(국토해양부, 2010,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3-495). 

  26. Oh, H.T., Goo, J.H., Park, S.E., Choi, Y.S., Jung, R.H., Choi, W.J., Lee, W.C. and Park, J.S., 2005, "Analysis of Water Quality Caused by Improvement of Sewage Treatment Plant in Masan Bay", J. of the Environ. Sci., Vol. 14. No. 8, 777-783. 

  27. Shin, S.Y., Lee, C.I., Hwang, S.C. and Cho, K.D., 2004, "Relationship between Pollution Factors and Environmental Variation in Waters around Masan Bay", J. of the Korean Soc. of Mar. Environ. & Saf., Vol. 10, No. 2, 69-79. 

  28. Sohn, J.H., Ahn, T.Y. and Kim. S.J., 2000,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Hetero trophic Bacteria and Chlorophyll a Content in the Water Column of Masan and Haengam Bays, Korea", J. of the Korean Soc. for Mar. Environ. Eng., Vol. 3, No. 4, 66-75. 

  29. Son, M.H., Kim, D.S. and Baek, S.H., 2014,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and Nutrient Limitation during Spring Season in Jinhae Bay",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Vol. 15, No. 5, 3345-3350. 

  30. Yoo, M.W., Kim, Y.D., Lyu, S.W. and Seo, I.W., 2008a, "A Study on Mixing Behavior of Pollutants by Tide in Masan Bay", Korean Soc. of Water and Wastewater & Korean Soc. on Water Environ., Spring Academic Meeting Proceedings, 81-82. 

  31. Yoo, M.W., Kim, Y.D., Lyu, S.W. and Seo, I.W., 2008b, "A Study on Advection and Diffusion of Pollutants Considering Tidal Elevation in Masan Bay",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Korean Soc. on Water Environ., Fall Academic Meeting Proceedings, 516-517. 

  32. Yoon, S.J. and Lee, I.C., 2004, "Water Quality Variations in Jinhae Bay by Dredging & Operating the Sewage Disposal Plant", Korean Soc. of Ocean. Eng., Spring Academic Meeting Proceedings, 117-1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