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트윗 행위의 동기, 이유와 가치: 요인 분석
An Efficient Dynamic Workload Balancing Strategy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19 no.11, 2014년, pp.137 - 147  

김효동 (아주대학교 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 사용자들의 리트윗 행위의 기반이 되는 이유와 동기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리트윗 행위가 메시지가 가진 속성, 트위터 사용자의 이유와 내면적 가치가 반영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주장하고, 다음의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우선 리트윗 동기에 관한 선행연구가 제시한 34개 항목을 이용하여 리트윗행위와 연관된 메시지 속성, 이유, 가치를 묻는 설문문항을 만든 후, 트위터 이용자들(N=171)에게 자신이 리트윗한 다섯 개의 메시지들에 대해 답하도록 하였다 (5개 메시지 ${\times}$ 34 문항 = 170). 이를 바탕으로 34개의 동기와 이유, 가치들이 어떻게 군집화 되는가를 요인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리트윗을 하는 대표적 요인으로 (1) 공공적 성격, (2) 재미와 즐거움, (3) 공동체적 도움, (4) 소식과 정보 등이 나타났다. 요인 2와 4는 전통적 저널리즘적 성격을, 1과 3은 대체적 (대안) 저널리즘 성격을 띈 동기로 파악하였다. 요인 1과 3이 기존의 저널리즘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온라인에서의 의견 양극화와 이어질 수도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이 외에도 (1) 내재적 가치와 공동체적 (2) 동질감, (3) 소속감 등이 리트윗 행위의 기반이 되는 이유와 가치라고 파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at exploring motivation, rationale, and values in twitter users' retweet behavior. It proposes that diffusion of message is based on the complex interactional relationships among attributes of original message, user's rationale, and values. Based on a pilot study, we constructed a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일반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이 리트윗하여 정보나 소식을 퍼 나르는 행위에 대한 동기와 이유 그리고 가치체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트위터를 이용하여 정보나 소식을 퍼나른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리트윗 메시지가 어떤 속성과 특징을 가졌는지, 그리고, 리트윗을 한 이유와 가치관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탐색적인 조사를 함으로써, 트위터 상에서 회자되는 소식과 정보가 정말 뉴스가치가 있다고 믿어지는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재미와 유희가 주 목적과 동기가 되는 전파행위에 불과한지 판단해 보고자 한다.
  • 연구문제 1 : 온라인상에서 다른 사람의 메시지를 다시 퍼나르는 리트윗 행위를 촉발하는 메시지의 속성들은 어떻게 요약될 수 있는가?
  • 연구문제 2: 온라인상에서 다른 사람의 메시지를 다시 퍼나르는 리트윗 행위가 제시하는 결과(consequence)와 가치(value)는 어떻게 요약될 수 있는가?
  • 이 연구는 위의 연구가 밝힌 48항목을 차용하여, 34 항목의 리트윗 동기와 이유, 가치관을 정리하고 이를 구조적으로 설문화한 후, 설문 응답을 토대로 34개의 동기와 이유들이 어떻게 묶이는가를 요인분석을 통해서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트위터 사용자가 실제로 리트윗에 사용했던 메시지 다섯 개를 Twiter사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구조화된 설문문항에 응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이 연구는 위의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34개의 항목들이 어떤 개념적인 차원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래의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는 일반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이 리트윗하여 정보나 소식을 퍼 나르는 행위에 대한 동기와 이유 그리고 가치체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트위터를 이용하여 정보나 소식을 퍼나른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리트윗 메시지가 어떤 속성과 특징을 가졌는지, 그리고, 리트윗을 한 이유와 가치관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탐색적인 조사를 함으로써, 트위터 상에서 회자되는 소식과 정보가 정말 뉴스가치가 있다고 믿어지는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사용자들 사이에서도 재미와 유희가 주 목적과 동기가 되는 전파행위에 불과한지 판단해 보고자 한다.
  • 이미나 등은[17] 합리적 행동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에 기초하여 트위터에 대한 태도와 주관적 규범 인식 변인과 리트윗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태도와 인식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며, 이것이 다시 실제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 과정에 대한 모델링을 확립하려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여기서 이미나 등은 리트윗의 동기로 기존 트위터 연구에서 밝혀진 정보추구, 사회적 관계, 상호작용, 그리로 표현의 욕구 등으로 들었고, 이런 동기가 태도, 행동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밝히는 과정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 특히 이 연구는 김효동[10]의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래더링 기법을 바탕으로 파악된 34개의 리트윗의 동기와 이유에 대한 항목이 어떤 개념과 구성으로 요약이 될 수 있는가를 파악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트위터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서베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리트윗의 동기와 이유, 가치를 정리하도록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위터의 확산에 영향을 준 것은 무엇인가? 친구들과의 실시간 연결 및 소통으로 대중에게 소개된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이제 소소한 개인적 정보에서부터 속보성, 시의성 등의 뉴스 특징을 가진 정보와 소식을 접하고 실어 나르는 대표적인 매체가 되었다. 특히 트위터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급속히 확산된 테크놀로지인데, 팔로워와 팔로위로 이루어지는 관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가 생성, 유통, 확산이 되면서 사회적인 영향력을 더하고 있다. 특히 많은 팔로워를 가지는 유명인 혹은 영향력 있는 개인의 메시지는 기존 매스미디어가 사회구성원에게 메시지를 뿌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고 하여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1-3].
소셜미디어 서비스의 변화는 어떠한가? 친구들과의 실시간 연결 및 소통으로 대중에게 소개된 소셜미디어 서비스는 이제 소소한 개인적 정보에서부터 속보성, 시의성 등의 뉴스 특징을 가진 정보와 소식을 접하고 실어 나르는 대표적인 매체가 되었다. 특히 트위터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급속히 확산된 테크놀로지인데, 팔로워와 팔로위로 이루어지는 관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가 생성, 유통, 확산이 되면서 사회적인 영향력을 더하고 있다.
트위터의 사회적인 영향력을 보여주는 예는 무엇인가? 특히 트위터는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급속히 확산된 테크놀로지인데, 팔로워와 팔로위로 이루어지는 관계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메시지가 생성, 유통, 확산이 되면서 사회적인 영향력을 더하고 있다. 특히 많은 팔로워를 가지는 유명인 혹은 영향력 있는 개인의 메시지는 기존 매스미디어가 사회구성원에게 메시지를 뿌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고 하여 많은 주목을 받아 왔다[1-3]. 소셜 미디어가 뉴스매체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인데, 그 정보원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새로운 소식과 정보를 발굴, 가공 하여 대중(mass)에 유통시키는 신문, 방송사의 뉴스 미디어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관심을 받아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S. Min, "Study on Twitter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 12, pp. 274-303, June 2012. 

  2. H. Shin and J. Woo, "An Exploratory Study on Twitter As a Sphere Of Political Discussion: Content Analysis Of Tweets During The 6/2 Local Election in 2010," Media and Society, Vol. 19, pp. 45-76, Sep. 2011. 

  3. J. Hong and C. Lee, "The Study on the Public Typology based on Twitter's Political Opinion Analysis: Focusing on 10.26 By-Election of Mayor of Seou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pp. 138-161, Aug. 2012. 

  4. K. H. Kim, "Is Twitter a News Media?," in Reports in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Seoul, pp. 111-113. 2013 

  5. K. S. Kim, "News Values in Twitter Us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7, pp. 154-184, April 2013. 

  6. J. N. Jeon, "Twitter Users' Perception about News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via Twit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pp. 195-216, Dec. 2012. 

  7. K. Kim, "News Values among Twitter Us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7, pp. 154-184, April 2013. 

  8. K. H. Kim. (2012, 12/30) Acceleration of Digital Media Revolution in 2013. Han Kyung Magazine. Available: http://goo.gl/zRDcn0 

  9. K. Kim, "Online News Production in the New Journalism Environment,"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 49, pp. 7-37, Feb. 2012. 

  10. H. Kim, "Message Attributes, Consequences, and Values in Retweet Behavior: Based on Ladder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pp. 131-140, March 2013. 

  11. D. C. Mutz, "Cross-Cutting Social Networks: Testing Democratic Theory in Practi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96, No. 1, pp. 111-126, March 2002. 

  12. P. Song, J. Paik, and S. Kim, "Study of Agenda Setter in Online Political Environment," Reports in Korean Society of Broadcasting Engineers, pp. 339-365, Nov. 2008. 

  13. S. T. Kim, Y. J. Kim, H. G. Choi, and H. J. Kim, "Communication Channel Expans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Piece Research, Vol. 19, pp. 5-38, April 2011. 

  14. S. C. Ahn and K. H. Song, "The Power of Retweet," in Hangyerae, ed. Seoul: Hangyerae Newspaper, 2012. 

  15. H. J. Shim and Y. Hwang, "Micro-blogging on Uses and Gratification Perspectives - Twitter,"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4, pp. 192-234, March 2010. 

  16. S. Lee and G. Nai, "Audience Activity in Micro-blog - Exploring Production Activity in Twitter and Me2day," Journal of Broadcasting Research, Vol. 73, pp. 171-200, Jan. 2011. 

  17. M. Lee, H. Kim, and O. Kim, "Psychological Motivations to Retweeting: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Communicative Motivation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6, pp. 137-172, July 2012. 

  18. E. M.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 New York: Free Press, 2003. 

  19. R. W. Cobb and C. D. Elder, "Participation in American Politics: The Dynamic of Agenda Building," K. Che (trans). Seoul: Dongyoung Press. 1972. 

  20. R. C. MacCallum, K. F. Widaman, K. J. Preacher, and S. Hong,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The Role of Model Erro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 36, pp. 611-637, June 2001. 

  21. R. C. MacCallum, K. F. Widaman, S. Zhang, and S. Hong,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Vol. 4, No. 1, pp. 84-99, March 1999. 

  22. A. S. Veenstra, N. Iyer, C. S. Park, and F. Alajmi, "Twitter as a Journalistic Substitute? Examining #wiunion tweeters' Behavior and Self-perception," Journalism, pp. 1-18, Feb. 2014. 

  23. S. Yardi and D. Boyd, "Dynamic Debates: An Analysis of Group Polarization Over Time on Twitter,"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Vol. 30, pp. 316-327, Oct. 2010. 

  24. M. A. Bekafigo and A. McBride, "Who Tweets About Politics?: Political Participation of Twitter Users During the 2011 Gubernatorial Elections,"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Vol. 31, pp. 625-643, Oct. 2013. 

  25. S. Meraz and Z. Papacharissi, "Networked Gatekeeping and Networked Framing on #Egypt,"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Vol. 18, pp. 138-166, April 2013. 

  26. S. Turkle, "Life on the Screen: Identity in the Age of the Internet," New York: Simon & Schuster, 1995. 

  27. A. Hermida, "Tweets and Truth: Journalism as a Discipline of Collaborative Verification," Journalism Practice, vol. 6, pp. 659-668, Oct. 2012. 

  28. M. Bunz, "Twitter - Is It a Help or a Hindrance to Journalism?" The Guardian, Nov. 11 2009, http://goo.gl/ppGLe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