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권리 시대, 정부3.0의 위험과 과제
A Study on Government 3.0 in the Era of the Right to Know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4 no.4, 2014년, pp.37 - 62  

김유승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알권리제도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박근혜정부의 정부3.0이 당면한 과제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알권리와 정보공개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알권리의 개념을 협의와 광의로 구분하여 정의한다. 또한, 18세기부터 오늘에 이르는 알권리제도의 연혁을 고전적 자유주의 기반의 알권리 시대, 청구에 의한 수동적 정보공개시대, 적극적 정보공유의 시대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알권리제도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나라 정부3.0의 성과와 한계를 논하고, 결론에 갈음하여 정부3.0의 위험과 과제를 공공정보의 '품질', '수집과 활용을 통한 통제와 감시', '보안'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고찰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aradigm shift of the right to know and to analyze the government 3.0 policies of the Park Gun-Hae's administration. The study analyzes th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rights to know and freedom of information. It also defines the concept of the right to know in both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공 데이터의 품질 수준이 취약한 상황에서 데이터 베이스 개방을 위한 품질 개선에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수반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3년 공공데이터법이 제정 및 시행되었지만, 예산과 전문인력의 지원 없이 제도가 실효성을 가질 수 있을지 의문이다. 공공데이터의 품질로 인한 이용자 또는 제3자에게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담당 공무원의 민사상, 형사상의 면책권을 부여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법 제36조는 공공데이터의 높은 오류율과 낮은 품질관리에 대한 고육지책으로 읽힌다.
  • 3-4) 등이 알권리를 위한 주요 활동으로 꼽히는 4가지 유형이라 할 때, 정보 공개법의 절차와 규정은 ‘국가의 정보제공 의무’와 ‘국민의 공개청구권’에 중점을 두고 있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의무와 권리의 실현 도구로 작동하는 알권리 관련 제도의 연혁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책의 실행과정에서 단계적으로 보완해나가야 할 과제와 함께, 정책의 근간이 되는 지점에서 발생 하는 이와 같은 위험과 이에 대한 해법에 주목한다. 다음에서는 정부3.0의 위험과 과제를 공공정보의 품질, 공공정보의 수집, 활용으로 인한 통제와 감시, 보안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논하고자 한다.
  • 0이 지향하는 맞춤형, 지능형 서비스 정책 앞에는 정보 감시와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로부터, 공공정보의 품질과 사이버 보안에 이르기는 다양한 태생적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 본 연구는 정책의 실행과정에서 단계적으로 보완해나가야 할 과제와 함께, 정책의 근간이 되는 지점에서 발생 하는 이와 같은 위험과 이에 대한 해법에 주목한다. 다음에서는 정부3.
  • 이에 본 연구는 알권리 제도의 연혁을 18세 기로부터 2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를 ‘고전적 자유주의 기반의 알권리 시대’, 2차 세계대전 이후 각국에서 정보공개제도를 확립해나간 ‘수동적 정보공개의 시대’, 정부2.0과 함께 도래한 ‘능동적 정보공유의 시대’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참조).
  • 이에 본 연구는 알권리를 중심으로 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연혁적으로 고찰하고, 세계 최초로 닻을 올린 정부3.0의 당면 과제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UN 전자정부개발지수 (e-Government Development Index) 세계 1위에도 불구하고,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의 국가 경쟁력 지표는 26위, 국제투명 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 부패지수는 46위다. 3) 우리에게 정부3.0이 더욱 필요한 이유다. 정부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주주의가 지향하는 열린사회란 무엇인가? 그는 어느 누구도 법에 의하지 않고서 정보에 대 한 비밀의 장막을 씌울 수 없으며, 모든 시민이 정보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누릴 때민주주의는 비로소 작동한다고 천명하였다. 민주주의가 지향하는 열린사회란 알권리가 번성하고 보호받는 곳이며, 알권리가 민주주의를 작동 시키는 원동력이라는 것이다.
「대한민국헌법」 제21조 내용은? 「대한민국헌법」 제21조는 언론․출판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가 모든 국민의 헌법적 기본권임을 규정함으로써 알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헌법적 권리는 헌법재판소에 의해 다시 한 번 확인된 바 있다.
1989년 9월 4일 “검사의 공소권행사에 관한 헌법소원” 판결의 판시 내용은? “사상 또는 의견의 자유로운 표명은 자유로운 의사의 형성을 전제로 하는데, 자유로운 의사의 형성은 충분한 정보에의 접근이 보장됨으로써 비로소 가능한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 자유로운 표명은 자유로운 수용 또는 접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정보에의 접근ㆍ수집ㆍ처리의 자유 즉 ‘알 권리’는 표현의 자유에 당연히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 다. […] 이 권리의 핵심은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정보에 대한 국민의 알 권리 즉, 국민의 정부에 대한 일반적 정보공개를 구할 권리(청구권적 기본권)라고 할 것이며, 또한 자유 민주적 기본질서를 천명하고 있는 헌법 전문과 제1조 및 제4조의 해석상 당연한 것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 그 이외에도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국민주권을 실현하는 핵심이 되는 기본권이라는 점에서 국민 주권주의(제1조), 각 개인의 지식의 연마, 인격의 도야에는 가급적 많은 정보에 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제 10조) 및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제34조 제1 항)와 관련이 있다 할 것이다.” (헌재 1989. 9.4. 88헌마22, 판례집 1, 176, p. 18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2)

  1. 고승우 (2013). 박근혜 정부, 주요 사안에 대해 국민의 알권리 무시. 검색일자: 2014. 10. 20.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67041(Koh, Seung-U (2013). Bak Geunhye Government, Ignore the people's right to know about the key issues.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867041) 

  2. 구병삭 (1974). 표현의 자유와 알 권리. 사법행정, 15(1), 22-29.(Koo, Byeong-Sak (1974). Freedom of Information and Rights to Know. Sabeopaengjeong, 15(1), 22-29.) 

  3. 구병삭 (1981a). 국민의 알 권리와 국정의 정보공개. 법학논집, 19, 37-79.(Koo, Byeong-Sak (1981a).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freedom of information on government administration. Beopangnonjip, 19, 37-79.) 

  4. 구병삭 (1981b). 국민의 알 권리와 정보공개. 사법행정, 22(7), 32-38.(Koo, Byeong-Sak (1981b). The people's right to know and freedom of information. Sabeopaengjeong, 22(7), 32-38.) 

  5. 김미경 (2008). 굿 거버너스와정보공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1), 203-220.(Kim, Mee-Kyung (2008). Good Governance and Information Disclosure: Focus on the LAIIS (Local Administrati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1), 203-220.) 

  6. 김배원 (1989). 알 권리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Kim, Bae-Won (1989). A Study on the Right to Know.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7. 김배원 (1991a). 알 권리의 법적 성격에 대한 재검토. 법학연구, 32(1), 157-183.(Kim, Bae-Won (1991a). Legal Charater of the Right to Know. Law Review, 32(1), 157-183.) 

  8. 김배원 (1991b). 알 권리의 한계로서의 국가안보. 법학연구, 32(1), 185-208.(Kim, Bae-Won (1991b). National security as a limitation of the right to know. Law Review, 32(1), 185-208.) 

  9. 김배원 (1999). 미국의 정보자유법: 1996년 개정 전자정보자유법. 미국헌법연구, 10, 189-221.(Kim, Bae-Won (1999). The Electronic Freedom of Information Act Amendments of 1996. Study on The American Constiution Instiution of American Constiution, 10, 189-221.) 

  10. 김배원 (2001). 미국의 정보자유법(FOIA) 30년(1966-1996). 공법학연구, 3(1), 89-115.(Kim, Bae-Won (2001).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in the U.S. 30years(1966-1996). Journal of Korea Comparative Public Law Association, 3(1), 89-115.) 

  11. 김봉수 (2013). 정부3.0 시대, '정보공개율 95%'의 함정. 아시아경제. 검색일자: 2014. 10. 20.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70810494738241(Kim, Bong-Su (2013). Government 3.0 era, Pitfalls of information disclosure rate of 95%. Asia Economic.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70810494738241) 

  12. 김승태 (2009). 전자적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2(3), 51-82.(Kim, Seung-Tae (2009). Operations Evaluation of the electronic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2(3), 51-82.) 

  13. 김영호 (1973). 알 권리의 법적구성이론. 법조, 22(8), 27-38.(Kim, Yeong-Ho (1973). Legal Constitution Theory of the Right to Know. Beopjo, 22(8), 27-38.) 

  14. 김유승 (2010). 거버먼트 2.0 기반의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25, 197-231.(Kim, You-seung (2010). A Study on freedom of information in the Government 2.0 era.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5, 197-231.) 

  15. 김유승. (2014). 기록으로의 공공데이터 관리를 위한 제도적 고찰 -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1), 53-73.(Kim, You-seung (2014). A study on legal issues of public data management as records: Focused on analysis of the act on provision and use of public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ment, 14(1), 53-73.) 

  16. 김유승, 전진한 (2011). 거버먼트2.0 기반의공공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47-66.(Kim, You-seung & Jeon, Jin-Han (2011). A Study on Public Sector Information Services in the Government 2.0 Er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47-66.) 

  17. 김창조 (2006). 정보공개법상비공개사유. 법학논고, 25, 115-141.(Kim, Chang-Jo (2006). The Information of Non-Disclosure in the Act on Disclosure of Information by Public Agencies. Kyungpook Natl. Univ. Law Journal, 25, 115-141.) 

  18. 김철 (2013a). 공공기관의 정보공개 확대방안 비판: 정부3.0 혁신을 중심으로. 사회공공연구소. 검색일자: 2014. 10. 20. http://ppip.nodong.org/webbs/download.php?boardpds&id180&idx1(Kim, Cheol (2013a). Criticism on disclosure enlargement methods of public institutions: focus on innovation in government 3.0. Public Policy Institute for People.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ppip.nodong.org/webbs/download.php?boardpds&id180&idx1) 

  19. 김철 (2013b). 정부 1.0도 못하면서 정부 3.0 비전 선포식? 미디어스. 검색일자: 2014. 10. 20.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174(Kim, Cheol (2013b). Without government 1.0, Government 3.0 vision ceremony? MediaUS.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174) 

  20. 박성준 (2013). 지원 법률도 없고 공무원 이해 부족. '정부3.0' 구호뿐. 세계일보. 검색일자: 2014. 10. 20.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11/19/20131119005807.html(Bak, Seong-Jun (2013).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aw and no official support. 'Government 3.0' relief only. Segye Ilbo.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3/11/19/20131119005807.html) 

  21. 방민석 (2013). '정부3.0'에 대한 개념적 탐색과 법정책적 과제. 한국지역정보학회지, 16(3), 137-160.(Bang, Min-Seok (2013). Explore conceptual and law-policy challenges for 'government 3.0.'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6(3), 137-160.) 

  22. 방송통신위원회 (2009). 클라우드 컴퓨터 활성화 종합계획. 검색일자: 2014. 10. 20. http://www.kcc.go.kr/download.do?fileSeq26825(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09). Cloud computer activation comprehensive plan.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kcc.go.kr/download.do?fileSeq26825) 

  23. 배병호 (2008). 미국의 정보공개제도와 언론. 2008 조사분석 워크숍. 한국언론재단, 22-34.(Bae Byeong-ho (2008).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the media in the United States. 2008 Analysis Workshop. Korea Press Foundation, 22-34.) 

  24. 배병호 (2009). 미국의 정보공개제도와 언론. 2008 조사분석 워크숍: 정보공개제도와 언론보도. 한국언론재단, 22-53.(Bae, Byeong-Ho (2009). America's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the media. 2008 Analysis workshop: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press releases. Korea Press Foundation, 22-53.) 

  25. 배정근 (2009). 정보공개법을통한 권리 실현의 한계. 한국언론학보, 53(1), 368-454.(Pae, Jung-Kun (2009). Limits to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Know through the Official Information Disclosure Act: An Analysis of the Rulings of Supreme Court Related to Non-disclosure Claus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3(1), 368-454.) 

  26. 백욱인 (2013). 빅데이터의 형성과 전유체제 비판. 빅데이터와 위험 정보사회. 158-184.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Paik, Wook Inn (2013). The Critique of Big Data Formation and Appropriate System. Big Data and Risk Information Society. 158-184. Seoul: Communication Books.) 

  27. 서진완 (2012). 차세대전자정부(e-Gov)의 Locus와 Focus. 스마트정부추진전략 컨퍼런스. 스마트정부(Gov3.0)오픈 포럼.(Seo, Jin-Wan (2012). Next-generation e-government's Locus and Focus. Smart Government Strategies Conference. Smart Government (Gov3.0) Open Forum.) 

  28. 송효진, 황성수 (2014). 정부 3.0 추진에 따른 공공데이터 개방과 지방정부의 방향성 모색: 공공데이터법에 관한 이해와 개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학회지, 17(2), 1-28.(Song, Hyo-Jin & Hwang, Sung-Soo (2014). Seeking Strategies for Local Governments to Prepare for Public Data Ac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7(2), 1-28.) 

  29. 심성보 (2013). '정부 3.0' 정책기조와 기록관리 개선 방향. 2013년도 한국기록관리학회 춘계학술대회, 57-68.(Sim, Sung-Bo (2013). Government 3.0 policy stance and Records Management Improvement. 2013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pring Conference, 57-68.) 

  30. 심영섭 (2008). 북유럽 국가의 정보공개제도. 2008 조사분석 워크숍: 정보공개제도와 언론보도. 한국언론재단, 54-65.(Shim, Yeong-Seop (2008).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the Nordic countries. 2008 Analysis Workshop: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and Press Releases. Korean Press Foundation, 54-65.) 

  31. 안용교 (1974). 국민의 알권리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Ahn Yong-gyo (1974). Study on the public's right to know. Konkuk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32. 안용교 (1982a). 국민의 알 권리. 신문연구, 겨울호, 22-42.(Ahn, Yong-Gyo (1982a). People's Right to Know. Sinmunyeongu, Winter, 22-42.) 

  33. 안용교 (1982b). 악세스권의 행성배경과 전개. 고시연구, 3월호, 23-38.(Ahn, Yong-Gyo (1982b). Background and evolution of Access Rights. Gosiyeongu, March, 23-38.) 

  34. 안전행정부 (2014a). 2013 정부3.0 백서.(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4a). 2013 Government 3.0 White Paper.) 

  35. 안전행정부 (2014b). 2013년도 정보공개연차보고서.(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4b). 2013 Freedom of Information Annual Report.) 

  36. 엄기열 (2003). 알권리의 개념적 가능성과 한계: 알권리에 대한 1989년의 헌법재판소 판결 이전의 학설에 관하여. 언론과 법, 2, 409-442.(Uhm, Kiyul (2003). Conceptual Review and Limitation of the Right to Know. Media and Law, 2, 409-442.) 

  37. 오영균 (2013). 지방정부 3.0 이론과 과제. 지방행정연구, 27(2), 3-25.(Oh, Young-Kyun (2013). The Theory and Task of Local Government 3.0. Local Administration Review, 27(2), 3-25.) 

  38. 우윤석 (2013). 정부 3.0의 이론적 배경과 해외사례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16, 21-47.(Woo, Yoonseuk (2013). A Study on Theoretic Background and Foreign Cases of Government 3.0. Sahoegwahangnonchong, 16, 21-47.) 

  39. 유일상 (2003). 국민의 알권리와 개인의 사생활권. 한국방송학회세미나 및 보고서, 1-20.(Yoo, Ilsang (2003). Right to know the people and the individual's private life. Korean Association for Broadcasting & Telecommunication Studies Seminar and Report. 1-20.) 

  40. 윤종수 (2010). Government2.0 in Web 2.0 Era. 거버먼트2.0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검색일자: 2014. 10. 20. http://www.slideshare.net/iwillbe99/government-20-2932299(Yoon, Jongsu (2010). Government2.0 in Web 2.0 Era. How to pursue Government 2.0?,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slideshare.net/iwillbe99/government-20-2932299) 

  41. 이동훈 (2008). 유비쿼터스사회에서의 액세스쿼과 알권리 해석론. 공법학연구, 10(2), 81-104.(Lee, Dong-Hoon (2008). The New Paradigm to interpret the Right of Knowledge and Access in Ubiquitous Society. Journal of Korea Comparative Public Law Association, 10(2), 81-104.) 

  42. 이재완 (2014). 정부운영 패러다임과 정보공개 패러다임의 상응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정보학회지, 17(2), 147-172.(Lee, Jae Wan (2014). A Study on the Correspondence Between Government Paradigm and Information Disclosure Paradig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7(2), 147-172.) 

  43. 이재진 (2005). 저널리즘영역에 있어서의 알권리의 기원과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1), 231-264.(Lee, Jae-Jin (2005). The Origin and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Right to Know' in Journalism Field.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5(1), 231-264.) 

  44. 이주량 (2010). Government2.0 동향과과학기술분야의 대응방안. STEPI ISSUES & POLICY 2010-02, 과학기술정책연구원.(Lee, Ju-Ryang (2010). Government2.0 Trend and Countermeasures of Science and Technology. STEPI ISSUES & POLICY, 2010-02.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45. 임병국. (2002). 언론 법제와 보도. 서울: 나남.(Lim Byeong-guk (2002). Media Legislation and Report. Seoul: Nanam) 

  46. 장용 (1969). 언론과 인권- 한.미 언론법과 판례의 비교연구. 서울: 선명문화사.(Jang, Yong (1969). Media and human rights -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 and Media Law Cases. Seoul: Seonmyeongmunhwasa.) 

  47. 정윤희 (2013). 공공데이터 오류율, 전문인력 양성 시급. ZDNet Korea. 검색일자: 2014. 10. 20.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31025153533(Jeong, Yunhui (2013). Public data error rate, professional manpower urgently. ZDNet Korea.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31025153533) 

  48. 정진임 (2013). 정보공개청구에 '묻지마' 일관 인수위, 정부3.0 공약은? 미디어스. 검색일자: 2014. 10. 20.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6(Jung, Zin-Im (2013). 'Do not ask' consistently charged the committee on public information, 3.0 Government commitment is? MediaUs.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726) 

  49. 정진임, 김유승 (2014). 정부3.0 시대, 정보공개시스템의 개선 과제. 기록학연구, 39, 45-72.(Jung, Zin-Im & Kim, You-Seung (2014). Government 3.0 Era,Issues on Freedom of Information System.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39, 45-72.) 

  50. 정하명 (2009). 전자정보공개제도의현황과 문제점. 공법학연구, 10(3), 259-282.(Jeong, Ha-Myoung (2009). Current Legal Issues Relating to the Electronic Freedom of Information Program In Korea. Journal of Korea Comparative Public Law Association, 10(3), 259-282.) 

  51. 조규하 (1962). 취재의 제문제: 국민의 알권리. 신문연구, 봄호, 16-31.(Jo, Gyuha (1962). Problems of coverage: the public's right to know. Shinmunyeongu, Spring, 16-31.) 

  52. 조동원 (2013). 빅데이터 시대 정보 유출과 해킹 문화. 빅데이터와 위험 정보사회, 248-276.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Jo, Dong-Won (2013). Information leakage and hacking culture in the big data era. Big Data and Risk Information Society, 248-276. Seoul: Communication Books.) 

  53. 조영삼 (2009). 기록정보공개제도 개선 추진 현황과 방안. 기록학연구, 22, 77-114.(Zoh, Young-Sam (2009). The Promotion State and Measures to Improve the Record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The Korean Journalof Archival Studies, 22, 77-114.) 

  54.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 (1999). 정보공개청구운동백서 1998.5-1999.5. 참여연대.(Disclosure Agency of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1999). Freedom of Information Movement White Paper 1998.5-1999.5.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55. 최정민, 김유승 (2013). 국내 정보공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3(3), 1-25.(Choi, Jeong Min & Kim, You-seung (2013). A Study on the Reserch Trends of Information Freedom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ment, 13(3), 1-25.) 

  56. 최창섭 (1982). 정보공개의 요구권. 관훈저널, 37, 74-87.(Choi, Chang-sup (1982). Claims of information disclosure. Kwanhun Journal, 37, 74-87.) 

  57. 최창호 (2004). 미국의 정보자유법에 관한 연구. 법학논고, 20, 89-123.(Choi, Chang-Ho (2004). Study on the US Freedom of Information Act. Beopangnongo, 20, 89-123.) 

  58. 하승수 (1999). 정보공개청구운동 1년의 평가와 과제, 정보공개와 참여민주주의.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Ha, Seung-Su (1999). Assessment and Challenges of Information Disclosure charged Movement 1 years. Disclosure and Participatory Democracy.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5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정부 3.0: 새로운 대한민국을 꿈꾸다.(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3). Government 3.0: Dreaming of the new Republic of Korea.) 

  60. 한병구 (2000). 언론과 윤리법제.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Han, Byeong-gu (2000). Media law and ethic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61. 한상범 (1970). 표현의 자유와 알권리. 법조, 19(21), 13-24.(Han, Sang-Beom (1970).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right to know. Beopjo, 19(21), 13-24.) 

  62. 행정안전부 (2011). 국민과 하나되는 세계 최고의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스마트 전자정부(Smart Gov) 추진계획. 검색일자: 2014. 10. 20. http://blog.jinbo.net/attach/4749/1392027904.pdf(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11). The world's best e-Government Implementation (Smart Gov) Plans for Smart E-government.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blog.jinbo.net/attach/4749/1392027904.pdf) 

  63. 홍성찬 (1978).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한 고찰. 사회과학논집, 9, 49-63.(Hong, Seong-Chan (1978). Study on the rights of citizens to know. Sahoegwahangnonjip, 9, 49-63.) 

  64. 홍일표 (2009). 정보공개운동의 '이중적 전환'과 시민참여. 기록학연구, 22, 37-76.(Hong, Il-Pyo (2009). 'Dual Transformation' of Freedom of Information Movements and Civic Particip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22, 37-76.) 

  65. 홍필기 (2012). 전자정부서비스의 도전. 스마트추진전략 컨퍼런스. 스마트정부(Gov3.0)오프 포럼.(Hong, Pilgi (2012). Challenges of e-government services. Smart Strategies Conference. Smart Government(Gov3.0) Off Forum.) 

  66. 황주성 (2013). 빅데이터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문제의 재조명. 빅데이터와 위험 정보사회, 220-247.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Hwang, Joo-Seong (2013). Revisiting the privacy problem in big data environments. Big Data and Risk Information Society. 220-247. Seoul: Communication Books.) 

  67. Augustyn, Maja & Monda, Cosimo (2011). Transparency and access to documents in the EU: Ten years on from the adoption of regulation 1049/2001. European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eipa.eu/files/repository/eipascope/20110912103927_EipascopeSpecialIssue_Art2.pdf 

  68. Blasi, Vincent (1997). The checking value in first amendment theory. American Bar Foundation Research Journal, 2(3), 521-649. 

  69. EC (1992). Declaration on the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C191, Vol.35., 29 July 1992. Notice No. 92/C 191, 101. 

  70. EC (1993). Code of conduct concerning public access to council and commission documents.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L340. Vol. 35. 31 December 1993, 41-42. 

  71. EC (2001). Regulation (EC) No 1049/2001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30 May 2001 regarding public access to european parliament, council and commission documents.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L 145, 43-48. 

  72. Eggers, William (2005). Government 2.0: Using technology to improve education, cut redtape, reduce gridlock, and enhance democracy. Plymouth: 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Inc. 

  73. Government 2.0 Taskforce (2009). Engage: Getting on with Government 2.0. australian government information management office department of finance and deregulation.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finance.gov.au/publications/gov20taskforcereport/index.html 

  74. GOV.UK (2013). Open data charter.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open-data-charter 

  75. Johnson, Bobbie (2010). Privacy no longer a social norm, says Facebook founder. The Guardian.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theguardian.com/technology/2010/jan/11/facebook-privacy 

  76. Manninen, Juha (2006). Anders chydenius and the origins of world's first freedom of information act. The World's First Freedom of Information Act: Anders Chydenius' Legacy Today. Anders Chydenius Foundation. 

  77. Halstuck, M., & Chamberlin, B. (2006).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1996-2006: A retrospective on the rise of privacy protection over the public interest in knowing what the government's up to. Communication Law and Policy, 11(4), 511-564. 

  7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8). Concepts and features of Government 2.0 and 3.0.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mikekujawski.ca/ftp/Government2.0and3.0.pdf 

  79. OECD (2005). Digital broadband content: Public sector information and content. DSTI/ICCP/IE(2005) 2/FINAL 

  80. O'Reily, Tim (2009a). Do it Ourselves. Gov2.0 Summit 2009.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www.youtube.com/watch?v27IQu37oYks 

  81. O'Reily, Tim (2009b). Gov 2.0: It's all about the platform. TechCrunch. Retrieved October 20, 2014 from http://techcrunch.com/2009/09/04/gov-20-its-all-about-the-platform/ 

  82. Wiggins, James Russell (1956). Freedom or secrecy. Oxford University Press. (재인용) 유일상 (2003). 국민의 알권리와 개인의 사생활권. 한국방송학회세미나 및 보고서, 1-20.; (재인용) 이재진 (2005). 저널리즘영역에 있어서의 알권리의 기원과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5(1), 231-2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