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사탐침열파현미경을 이용한 1 차원 나노구조체의 정량적 열전도도 계측기법
Quantitative Method to Measure Thermal Conductivity of One-Dimensional Nanostructures Based on Scanning Thermal Wave Microscopy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B, v.38 no.12 = no.351, 2014년, pp.957 - 962  

박경배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  정재훈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  황광석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  정의한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  권오명 (고려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나노스케일의 공간 해상도를 가지는 주사탐침열파현미경(scanning thermal wave microscopy, STWM)을 이용하여 1 차원 나노구조체의 열전도도를 정량적으로 계측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먼저, 1 차원 나노구조체의 열확산도를 계측하기 위한 STWM 의 원리를 설명한 후, 정량적인 열확산도 계측을 위한 이론적 해석 과정을 설명한다. STWM 을 이용한 본 계측기법은 열파가 이동한 거리에 따른 상대적인 위상지연만을 가지고 열확산도를 계측하여 열전도도를 구하기 때문에 탐침과 나노구조체 사이의 열접촉저항 및 나노구조체와 열원간의 열접촉저항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나노구조체에 인가되는 정확한 열유속을 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존의 측정 기법들에 비해 계측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정량적인 계측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sent a method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one-dimensional nanostructures by utilizing scanning thermal wave microscopy (STWM) at a nanoscale spatial resolution. In this paper, we explain the principle for measuring the thermal diffusivity of one-dimensional nanostr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나노스케일의 공간해상도로 열파(Thermal wave)의 진폭 및 위상지연(Phase lag)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한 주사탐침열현미경(Scanning thermal wave microscopy, STWM)의 원리를 설명한 후, 이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샘플의 열적 설계 및 정량적인 열확산도 계측을 위해 열파의 주파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이론적 해석 과정을 설명한다.(10)

가설 설정

  • 2 를 보면 열원과 나노선이 접촉되어 있는 부분, 나노선 브릿지 부분, 나노선이 기판과 접촉되어 있는 부분으로 총 3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 구간을 1 구간(-L1< x < 0), 2 구간(0 < x < L2), 3 구간(L2< x3)으로 명명한다. 1 구간과 3 구간은 열원과 기판에 접촉에 인한 열유속이 존재하고 있으며, 2 구간의 나노선은 브릿지가 주변 열적환경과 충분히 유격되어있어 공기를 통한 열전달이 없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열적 환경을 고려한 지배 방정식과 경계조건들은 다음과 같다.
  • 나노선의 총길이(L1+L2+L3)를 20µm, 나노선의 지름을 200nm라고 일 때 각 구간의 길이(L1, L2, L3,)를 각각 3µm, 8µm, 9µm 로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노선의 경우 지름이 포논평균자유행로 작아지면 어떻게 되는가? 나노선의 경우 지름이 포논평균자유행로(Phon-on mean free path)보다 작아지면 소재 내부에서 포논 산란 효과가 커져 열전도도가 벌크값과 달라지게 된다. 또한 표면적 대 체적비(Surface-to-Volume Ratio)가 비약적으로 커져 소재의 표면효과의 영향으로 인해 열전도도가벌크값과 다르게 된다.
나노스케일에서의 저차원 구조체들의 열전도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인 이유는? 나노선의 경우 지름이 포논평균자유행로(Phon-on mean free path)보다 작아지면 소재 내부에서 포논 산란 효과가 커져 열전도도가 벌크값과 달라지게 된다. 또한 표면적 대 체적비(Surface-to-Volume Ratio)가 비약적으로 커져 소재의 표면효과의 영향으로 인해 열전도도가벌크값과 다르게 된다.(5) 따라서, 나노스케일에서의 저차원 구조체들의 열전도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STWM은 어떻게 열전도도를 구하는가? STWM은 열파가 이동한 거리에 따른 위상지연의 상대적인 차이만을 이용하여 열확산계수(Thermal diffusivity)를 계측하며, 이를 통해 열전도도(Thermal conductivity)를 구하게 된다. 따라서 나노선에 인가되는파워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탐침과 나노선 접점에서의 열접촉저항 등에 의해 측정 결과가 교란 받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Freitag, M., Steiner, M., Martin, Y., Perebeinos, V., Chen, Z., Tsang, J.C. and Avouris, P., 2009, "Energy Dissipation in Graphene Field-Effect Transistor," Nano Lett., Vol.9, pp. 1883-1888. 

  2. Tong, T., Zhao, Y., Delzeit, L., Kashani, A., Meyyappan, M. and Majumdar, A., "Dense Vertically Align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Arrays as Thermal Interface Materials," IEEE Trans. Compon. Pack. Manuf. Technol., Vol. 30, pp. 92-100. 

  3. Chen, Z.G., Han, G., Yang, L., Cheng, L. and Zou, J., 2012, "Nanostructured Thermoelectric Materials: Current Research and Future Challenge," Prog. Nat. Sci., Vol. 22, 535-549. 

  4. Kim, W.C., Zide, J., Gossard, A., Klenov, D., Stemmer, S., Shakouri, A. and Majumdar, A., 2006, "Thermal Conductivity Reduction and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Increase by Embedding Nanoparticles in Crystalline Semiconductors," Phys. Rev. Lett., Vol. 96, 045901. 

  5. Rojo, M. M., Calero, O.C., Lopeandia, A. F., Rodriguez-Viejo, J. and Martin-Gonzalez, M., 2013, "Review on Measurement Techniques of Transport Properties of Nanowires," Nanoscale, Vol. 5, 11526. 

  6. Christofferson, J., Maize, K., Ezzahri, Y., Shabani, J., Wang, X. and Shakouri, A., 2008, "Microscale and Nanoscale Thermal Characterization Techniques," J. Electron. Packag., Vol. 130, 041101 

  7. Zhou, J., Jin, C., Seol, J. H., Li, X. and Shi, L., 2005,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Individual Electrodeposited Bismuth Telluride Nanowires," Appl. Phys. Lett., Vol. 87, 133109. 

  8. Mavrokefalos, A., Moore, A.L., Pettes, M.T., Shi, L., Wang, W. and X. Li, 2009, "Thermoelectric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s of Individual Electrodeposited Bismuth Telluride Nanowires," J. Appl. Phys., Vol.105, 104318. 

  9. Ocariz, A., Sanchez-Lavega and Salazar, A., 1997, "Photothermal Study of Subsurface Cylindrical Structures.II.Experimental Results," J. Appl. Phys., Vol.81, 7561. 

  10. Kwon, O., Shi, L., Majumdar, A., 2004, "Scanning Thermal Wave Microscopy," J. Heat Transf.-Trans. ASME., Vol. 125, 156. 

  11. Chung, J. Kim, K., Hwang, G., Kwon, O., Lee, J., Park, S. and Choi, Y., 2010, "Nanoscale Range Finding of Subsurface Structures by Measuring the Absolute Phase Lag of Thermal Wave," Rev. Sci. Instrum., Vol. 81, 053701. 

  12. Arpaci, V.S, 1966, "Conduction Heat Transfer", pp. 324-335 

  13. Rojo, M.M., Grauby, S., Rampnoux, J.M., Caballero-Calero, O., Martin-Gonzalez, M. and Dilhaire, S., 2013, "Fabrication of $Bi_2Te_3$ Nanowire Arrays and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by $3{\omega}$ Scanning Thermal Microscopy," J. Appl. Phys., Vol. 113, 054308. 

  14. Gorbachuk, N. P., Bolgar, A. S., Sidorko, V. R. and Goncharuk, L. V., 2004, "Heat Capacity and Enthalpy of $Bi_2Si_3\;and\;Bi_2Te_3$ in the Temperature Range 58-1012K", Powder Metall. Met. Ceram., Vol. 43, pp. 284-290. 

  15. Yu, C., Saha, S., Zhou, J., Shi, L., Cassell, A. M., Cruden, B. A., Ngo, Q. and Li, J., 2006, "Thermal Contact Resistance and Thermal Conductivity of A Carbon Nanofiber," J. Heat Transf.-Trans. ASME, Vol. 128, pp.234-2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