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불안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s conflict on youth's 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5 no.6, 2014년, pp.1407 - 1418  

민대기 (덕성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최미경 (덕성여자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하루 중 대부분 시간을 학교에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지낸다.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기 때문에 학교생활의 적응 여부는 청소년의 학업성취도 및 생활만족도와 관계가 있고 길게는 사회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학교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로 청소년기의 심리적 불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청소년의 가정환경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졌으며, 그중 부부갈등이 가정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가정에서 부부가 심하게 싸울수록 자녀는 분노, 슬픔, 걱정 등 부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느꼈으며, 부부갈등의 문제가 자녀 자신에 관한 내용일수록 그 정도는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불안과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부갈등 강도와 부부갈등 내용은 청소년의 불안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불안감은 학교 교우들과의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부부갈등 해결은 불안감에 영향을 미치진 않았지만, 학교 교우적응과 수업적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youth spend tremendous time in school for preparing for college admissions.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ir lives are affected by how well they adapt to life in school. Successful adaptation to school is important enough to affect a student's future social li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가설1 : 부부갈등의 강도, 해결, 그리고 내용 등의 요인이 불안감에 영향을 미친다.
  • 가설2 : 부부갈등의 강도, 해결, 그리고 내용 등의 요인이 학교생활에서 교우와 수업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 가설1에 대한 결과를 보면 부부갈등요인 중 강도와 내용은 불안감에 직접으로 영향을 주었으나 부부갈등해결은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가설2에서는 부부갈등 요인 중 부부갈등해결만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쳤고, 부부갈등 강도와 내용은 불안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가설3의 불안감은 학교 교우적응에만 영향을 미쳤다.
  • 가설3 : 불안감은 학교생활에서 교우와 수업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 가설2에서는 부부갈등 요인 중 부부갈등해결만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쳤고, 부부갈등 강도와 내용은 불안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가설3의 불안감은 학교 교우적응에만 영향을 미쳤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어떤 요구 속에서 살아가는가?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입시 위주의 교육방식 안에서 가정 및 학교에서의 학업 성취감에 대한 요구가 크며, 이에 부응하기 위한 부담감으로 인하여 정서적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청소년기의 학교생활 적응 여부는 졸업 이후 사회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가정에서 부모의 갈등은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청소년의 가정환경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알려졌으며, 그중 부부갈등이 가정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가정에서 부부가 심하게 싸울수록 자녀는 분노, 슬픔, 걱정 등 부정적인 감정을 더 많이 느꼈으며, 부부갈등의 문제가 자녀 자신에 관한 내용일수록 그 정도는 더욱 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불안과 학교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청소년의 원만한 교우관계를 위해 가정에서 부부간의 갈등을 감소시켜야 하는 이유는? 가설3의 불안감은 학교 교우적응에만 영향을 미쳤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불안을 느끼는 청소년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어려워하였으며, 사회적 고립감을 느꼈다.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같이 지내는 교우들과의 관계가 청소년에게는 중요하다고 보인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그들의 구성원인 친구들과 원만하게 지내고 학업에 대한 충실도가 높기 위해서는 가정에서 부부간의 갈등을 감소시키도록 노력해야하며, 자녀 앞에서 갈등상황을 보였을 경우, 화해한 결과도 자녀에게 알리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derson, J. C. and Ga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2.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report and profile, University of Vermont, Burlington. 

  3. Barlow, D. H. (1988). Anxiety and its disorders, Guilford Press, NY. 

  4. Cha, G. A. (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thoughts and school adaptation in adolescents,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5. Choi, H. S. and Ha, J. (2012).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131-142. 

  6. Choi, M. K.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xiety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 levels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4, 65-81. 

  7. Cohen, J. (2002). Caring classrooms/intelligent school : The social emotional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eacher College Press, New York. 

  8. Cummings, E. M. and Cummings, J. L. (1988). The process-oriented approach to children's coping with adult's angry behavior. Developmental Review, 8, 296-321. 

  9. Davis, P. T. and Cummings, E. M. (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387-411. 

  10. Grych, J. H. and Fincham, F. D. (1990). Marital conflict and children's adjustment: A cognitive contextual framework. Psychological Bulletin, 108, 267-290. 

  11. Grych, J. H., Seid, M. and Fincham, F. D. (1992). Assessing marital conflict from the child's perspective: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Child Development, 63, 558-572. 

  12. Hong, M. S. (2014). The lmpact of parent's marital conflict pattern on self-concept of adolescent, Ph. D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Korea. 

  13. Kim, H. S. (2005). The effect of their anxiety and school related adjustment on the level of domestic violence perspective by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6, 109-132. 

  14. Kim, Y. L. (2000). The validation of school learning motivation(A) and school learning motivation(B) and analysis of the two scales. Educational Study Writing, 17, 3-37. 

  15. Lim, E. Y.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climate and parents' attitude on adolescents selfconcept, self-regulation, and positive thinking,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6. Lim, J. H. and Yoon, J. J. (2010). A review of interparental conflict in relation to child development outcomes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7, 263-284 

  17. Lee, J. M. and Park, C. (2012).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career matur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 333-342. 

  18. Min, D. K. (2014). The influence of parents'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friends attachment on mental health in childhood.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293-304. 

  19. Park, J. H.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manifest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 27-48. 

  20. Spielberger, C. D. (1983).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2nd Ed.,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CA. 

  21. Youn, E. J. and Kim, H. S. (2005). The relationship among types of life-style, mental health and schoolrelated adjustments of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s' Welfare, 7, 105-120. 

  22. Yu, J. P. (201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 & application, Hannarae Press,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