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부갈등과 남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chool Adjustment for Adolesc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2, 2019년, pp.175 - 183  

이형실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녀 청소년 48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부갈등과 학교생활적응에서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부부갈등은 자아존중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남녀 청소년 집단 모두에서 부부갈등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남자 청소년 집단에서 부부갈등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 개인과 가족관계에 대한 개입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used data collected from 482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 자녀가 인식하는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개인내적 요인및 학교생활적응의 관련 과정에 대한 확인을 통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부모 간 부부갈등에 대한 개입을 통하여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며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청소년의 학교 생활적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청소년 자녀의 가족경험과 개인 내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필요 성과, 또한 성별 차이를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남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부부갈등이 청소년의 학교환경에서의 적응과 관련되는 과정을 규명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자아존중감 같은 개인 내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개인 내적 요인은 가족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녀 청소년 482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자아존중감 같은 개인 내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며, 개인 내적 요인은 가족경험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족경험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학교생활적응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하 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 자녀가 인식하는 부부갈등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소년의 가족관계와 개인내적 요인및 학교생활적응의 관련 과정에 대한 확인을 통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부모 간 부부갈등에 대한 개입을 통하여 청소년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며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청소년의 학교 생활적응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청소년 자녀의 가족경험과 개인 내적 요인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필요 성과, 또한 성별 차이를 고려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생활적응의 포괄적인 개념은? 학교는 청소년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머물며 생활하는 곳이자 청소년의 인격형성 및 성격발달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으로[1], 학교생활적응은 학교환경에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환경을 변화시키고, 학교환경의 요구에 따라 자신을 변화시킴으로써 학교환경과 조화를 이루려는 적극적인 상호작 용이다[2]. 이러한 학교생활적응은 적응의 여러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데, 학교생활적응은 학업성취와 학습노력을 포함한 학업적 적응뿐만 아니라, 행동적 적응, 사회 ㆍ정서적 적응, 그리고 학교에 대한 태도, 학교환경에 대한 지각정도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3].
학교란? 학교는 청소년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머물며 생활하는 곳이자 청소년의 인격형성 및 성격발달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으로[1], 학교생활적응은 학교환경에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환경을 변화시키고, 학교환경의 요구에 따라 자신을 변화시킴으로써 학교환경과 조화를 이루려는 적극적인 상호작 용이다[2]. 이러한 학교생활적응은 적응의 여러 가지 측면을 포함하는데, 학교생활적응은 학업성취와 학습노력을 포함한 학업적 적응뿐만 아니라, 행동적 적응, 사회 ㆍ정서적 적응, 그리고 학교에 대한 태도, 학교환경에 대한 지각정도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3].
부정적 가족 경험이 자녀의 행동패턴에 미치는 영향은? 자녀가 가족 밖의 학교환경에서의 새로운 도전을 인식하고 반응하는데 부부갈등의 부정적 가족 경험이 지침으로 작용한다[9]. 높은 수준의 부부갈등에 노출되는 자녀는 부모의 행동을 모방하여 갈등적 행동패턴을 발달시킴으로써 자신이 맺는 다른 관계에서 갈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자녀의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S. H. Hong & G. H. Chung (2014). The impact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conflict on school adjustment and self-identit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father/mother- adolescent closeness gap.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4), 269-290. 

  2. K. L. Bierman (1994). School adjustment. In R. J. Corsini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John Wiley & Sons. 

  3. H. R. Kim & S. H. Choi (2009).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s and school-related factor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0, 159-182. 

  4. W. Troop-Gordon & G. W. Ladd (2005). Trajectories of peer victimization and perceptions of the self and schoolmates: Precursors to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Child Development, 76, 1072-1091. 

  5. M. L. Sturge-Apple, P. T. Davies, M. A. Winter, E. M. Cummings, & A. Schermerhorn (2008). Interparental conflict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explanatory role of children's internal representations of interparen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44(6), 1678-1690. 

  6. P. T. Davies, G. T. Harold, M. C. Goeke-Morey & E. M. Cummings (2002). Child emotional security and interparental conflict.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7(3). 

  7. E. M. Cummings & P. T. Davies (1994). Maternal depression and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35(1), 73-122. 

  8. C. Buehler, C. Anthony, A. Krishnakumar, G. Stone, J. Gerard, & S. Pemberton (1997). Interparental conflict and youth problem behaviors: A meta-analysi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6, 233-247. 

  9. J. Cassidy, S. Kirsch, K. Scolton, & R. D. Parke (1996). Attachment and representations of peer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32, 892-904. 

  10. H. A. Turner & K. Kopiec (2006). Exposure to interparental conflict and psychological disorder among young adults. Journal of Family Issues, 27(2), 131-158. 

  11. Y. S. Kwon & S. H. Jang (2019). The influences of student’s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social support, and career though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in middle schools. Counseling Psychology Education Welfare, 6(1), 61-73. 

  12. J. H. Cho (2009). The effects of adolescents' perceived parental conflict on an their adjustment in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g University, Seoul. 

  13. Y. J. Jung (1999). Related variables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W. H. Kim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oping with the stress and youth training acti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ungji University, Seoul. 

  15. J. H. Grych & F. D. Fincham (1993). Children's appraisals of marital conflict: Initial investigations of the cognitive contextual framework. Child Development, 64(1), 215-230. 

  16. J. H. Grych. (1998). Children's appraisals of interparental conflict: Situational and contextual influenc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2, 437-453. 

  17. P. R. Amato (1986). Marital conflic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child self-esteem. Family Relations, 35(3), 403-410. 

  18. C. McNeal & P. Amato (1998). Parents’ marital violence. Journal of Family Issues, 19, 123-139. 

  19. A. G. Kim (2003). The effects of parental conflicts, social supports, locus of control orientation on early adolescents’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3), 351-372. 

  20. J. Y. Kim & Lee H. S. (2010). The effects of family and peer relationships on adolescents’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22(1), 21-32. 

  21. Y. R. Park & H. R. Choi (2002).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child’s self-esteem, attachment and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4(3), 741-755. 

  22. A. W. Pope, S. M. McHale, & W. E. Craighead (1988). Psychology practitioner guidebooks: Self-esteem enhancement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Elmsford, NY, US: Pergamon Press. 

  23. A. Di Paula & J. D. Campbell (2002). Self-esteem and persistence in the face of fail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 711-724. 

  24. A. Caspi (1998). Personality development across the life course. In W. Dam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5th ed., pp. 311-388). New York: Wiley. 

  25. H. B. Kaplan (1975). Self-attitudes and deviant behavior. Pacific Palisades, CA: Goodyear. 

  26. K. Trzesniewski, B. Donnellan, T. Moffitt, R. Robins, R. Poulton & A. Caspi (2006). Low self-esteem during adolescence predicts poor health, criminal behavior, and limited economic prospects during adulthood. Developmental Psychology, 42, 381-390. 

  27. Y. C. Kim & M. S. Jung (2012).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social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3, 51-70. 

  28. Y. A. Park (2018). Th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5(2), 275-298. 

  29. J. H. Park & H. M. Yoon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family communication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9, 149-175. 

  30. Y. Jeong & Y. Chun (2010). The pathways from parents' marital quality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Family Issues, 31(12), 1604-1621. 

  31. K. S. Jung (2004). Impact of social relations on youth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1). 235-252. 

  32. J. Juvonen, A. Nishina, & S. Graham (2000). Peer harassment,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school functioning in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2), 349-359. 

  33. H. S. Jwa (2012).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factors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6), 1-28. 

  34. S. H. Park & C. H. Yoon (2013). The effects of personal and family variable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6 and 9th grade Korean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4(3), 147-169. 

  35. H. Y. Jun (2006). Influence of familial environment variable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36. C. R. Seo (2005). The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37.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ce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Y. R. Kim. (1993). An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contribution variables toward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kuk University, Seoul. 

  39.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40. K. Y. Kim (2017). The effects of general family and single parent families on adolescent self-esteem and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won University, Seoul. 

  41. Y. J. Lee & K. J. Park (2005), Stressful life experience and protective factors of resilient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1), 329-345. 

  42. J. M. Lee & H, J, Kim (2011). Effects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ego-resiliency on school adjustment: Perceived by the adolescents child.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8(4), 97-120. 

  43. D. L. DuBois, S. K. Eitel & R. D. Felner (1994). Effects of family environmen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on schoo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6(2), 405-414. 

  44. N. Krause, G. Jay, & J. Liang (1991). Financial strai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American and Japanese elderly. Psychology and Aging, 6(2), 170-181. 

  45. H. R. Choi (2019). Analysis of stress and coping style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steem of adolescents. Culture and Convergence, 41(3), 997-1024. 

  46. J. M. Gottman & L. F. Katz. (1989). Effects of marit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73-381. 

  47. E. M. Cummings, C. Zahn-Waxler & M. Radke-Yarrow. (1981). Young children’s responses to expressions of anger and affection by others in the family. Child Development, 52(4), 1274-12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