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낙석방지망의 효율적 설계를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Efficient Design of Rockfall Prevention Netting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5 no.12, 2014년, pp.53 - 59  

이준대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myung University) ,  박수범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배우석 (NANO-GEO ENC Co., Lt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경험에 따라 비합리적으로 설계되고 있는 낙석방지망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기 위해 표준 단면을 결정하고 비탈면의 경사, 높이, 낙석의 무게, 이격거리 등의 매개변수가 도약높이나 운동에너지, 통과속도 등 낙석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낙석의 무게는 400, 700, 1,000 kg으로 변화하고 20 m 높이를 기준으로 낙석방호시설이 낙석의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0.5($63^{\circ}$), 1:0.7($55^{\circ}$)의 경사에 대해 수행하였으며, 낙석의 낙하높이를 3, 15, 20 m를 변경시켜가면서 해석을 실시하여 사면 하부에 발생하는 최대운동에너지의 변화를 분석 평가하였다. 해석결과, 낙석방지망의 설계 시 현행과 같이 일률적인 적용에서 벗어나 사면의 경사와 예상되는 낙석의 규모나 무게, 법면의 상황 및 낙석의 모양, 낙석 운동형태 등 다양한 조건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reasonable design of rockfall prevention net unreasonably being designed according to experiences, this paper determined a standard cross section and analyzed the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inclination and height of slope faces, rockfall weight, separation dis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낙석방지망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하여 낙석중량, 비탈면경사, 이격거리와 낙하예상위치를 변경시켜가면서 낙석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비탈면 하부에 발생하는 최대운동에너지의 변화를 분석하여 현행 낙석방지망의 설계기준을 평가하고 다양한 매개변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낙석방지망의 설치위치 변화에 따른 낙석 방호시설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낙석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해석조건은 Table 3과 같다. Tabl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낙석의 무게는 국내 도로 현장의 다양한 낙석 무게를 고려하기 위해 400, 700, 1,000 kg으로 변화하고 비탈면의 높이를 일반적으로 낙석방호시설이 포함될 수 있는 20 m 높이를 기준으로 낙석방호시설이 낙석의 거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1:0.
  • 본 연구에서는 낙석방지망의 설치위치 변화에 따른 낙석 방호시설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낙석의 발생위치를 현행 시공위치인 사면하부 기준 3 m로부터 일반적인 연암의 시공 높이인 20 m와 1소단 상부사면에서의 낙하를 모사한 30 m까지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이격거리, 비탈면경사, 낙석중량에 따라 발생되는 낙석에너지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석이란? 낙석이란 사면 기울기가 수직이거나 거의 수직에 가까워서 사면을 이루고 있던 암석이나 암괴가 크기나 규모에 상관없이 움직여 사면 아래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암반 내 불연속면의 이완현상에 의해 암편이 모암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며 규모면에서 Rochet(1987)이 제시한 ‘single block falls(10-2~102 m3 )’로 암편을 셀 수 있을 정도의 소량을 의미하고 Evans & Hungr(1993)이 발표한 ‘fragmental rock falls’로 낙하 블록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다(Kim et al., 2007).
낙석방지시설 관련 지침의 문제점은? 현재 낙석방지시설 관련 지침으로는 국토해양부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국토해양부, 2009a)이나 도로공사 표준 시방서편에 간략히 기술되어 있고 낙석방지 울타리와 낙석방지망의 병행 시공 시 적용 규정이 일률적으로 ‘망의 하단은 반드시 방지울타리 높이와 동일해야한다’로 규정되어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일방적으로 낙석이 비탈면의 정점이나 소단부에서 낙하함을 전제로 수행되고 있어 시공 시 낙석방지망과 병행 설치되는 특성을 간과하고 있는 상황이다.
낙석방지 시설은 무엇이 시공되고 있는가? 최근 비탈면 보강, 보호공법은 경제성, 시공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며, 그중 낙석방지 시설은 낙석방지 울타리, 낙석 방지 옹벽, 낙석방지망 등이 시공되고 있다. 비탈면의 낙석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인 낙석방지 울타리는 도로 비탈면의 보호공법 중 하나로 흡수가능 에너지를 계산하여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국토해양부, 2009b), 낙석방지망은 별도의 해석절차 없이 울타리의 상부지점을 기준점으로 설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국토해양부 (2009a),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 pp. 371-398. 

  2. 국토해양부 (2009b), 도로 안전 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제4편 낙석방지시설, pp. 447-515. 

  3. 高速道路調査會 (1974), 落石防護施設の設置に?する調査?究報告書, 財)高速道路調査會, 東京, p. 37. 

  4. Azzoni, A., La Barbera, G. and Zaninetti, A. (1995), Analysis and prediction of rockfalls using a mathematical model, International Journal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 Geomechanics Abstracts, Vol. 32, No. 7, pp. 709-724. 

  5. Bozzolo, D. and Pamini, R. (1986), Simulation of rock falls down a valley side, Acta Mechanica 63, pp. 113-130. 

  6. Brawner, C. O. (1994), Rockfall hazard mitigation methods participant workbook, National Highway Institute Course No.13219, FHWA SA-93-085,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Institution, Washington, DC., pp. 1-25. 

  7. Broili, L. (1973), In situ tests for the study of rockfall, Geologia Applicatae Idrogeologia, Vol. 8, No. 1, pp. 105-111. 

  8. Budetta, P. and Panico, M. (2002), Il metodo rockfall hazard rating system, Modificato per la valutazione del rischio da caduta massi, Geologia Tecnica ed Ambientale, 2, pp. 3-13 (in Italy). 

  9. Evans, S. G. and Hungr, O. (1993), The assessment of rockfall hazard at the base of talus slopes,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30, No. 4, pp. 620-636. 

  10. Hoek, E. (1998), Rock engineering, Evert Hoek Consulting Engineer Inc., pp. 115-136. 

  11. Hwang, Y. C., Kim, S. H. and Lee, S. H. (2010), Proposal for installation of rockfall protection fence considering rockfall trace, Proceedings of Korean Geo-Enviromental Society, Vol. 2010, pp. 351-357 (in Korean). 

  12. Jeong, N. S. (2000), Analysis of rockfall movement by initial motion mode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1-81 (in Korean). 

  13. Kim, D. H., Ryu, D. W., Kim, S. C., Yoon, S. K. and Lee, W. J. (2007), Estimation of weight distribution of rockfall block by joint measurement and study on its application to rockfall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3, No. 11, pp. 67-76 (in Korean). 

  14. Kim, K. S. (2010), Contemplation of rockfall simulation parameters and design of rockfall fence, Journal of Korean Geo-Enviromental Society, Vol. 13, No. 1, pp. 344-350 (in Korean). 

  15. Labiouse, V. and Heidenreich, B. (2009), Half-scale experimental study of rockfall impacts on sandy slopes, Natural Hazards and Earth System Sciences NHESS, Vol. 9, pp. 1981-1993. 

  16. Pfeiffer, T. J. and Bowen, T. (1989), Computer simulation of rockfalls, Bull. of the Assoc. of Engineering Geologists, Vol. 26, No. 1, pp. 135-146. 

  17. Pierson, L. A., Davis, S. A. and Van Vickle, R. (1990), Rockfall hazard rating system implementation manual,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Report FHWA-OR-EG-90-01, FHWA,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pp. 1-172. 

  18. Ritchie, A. M. (1963), The evaluation of rockfall and its control, Highway Research Board, Vol. 17, pp. 13-28 (in Italy). 

  19. Rochet, L. (1987), Application des modeles numeriques de propagation a l'etude des eboulements rocheux, Bulletin Liaison Pont Chaussee 150/151, pp. 84-95 (in French). 

  20. Spang, R. M. and Soner, T. H. (1995), Optimized rockfall protection by 'ROCKFALL', 8th International Congress on Rock Mechanics, Internation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Tokyo, Japan, Vol. 3, pp. 1233-1242. 

  21. Wu, S. S. (1985), Rockfall evaluation by computer simul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031, pp. 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