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환자의 길찾기 향상을 위한 환경요소에 관한 연구 - 치매환자를 위한 노인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Environment-related Factors that Promote Wayfinding for People with Dementia - Focused on the Context of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mentia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0 no.4, 2014년, pp.27 - 38  

최여진 (AIA, School of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최영선 (Department of Architecture, Kyungi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ssess a body of research evidence that articulates the impact of environment-related factors on wayfinding for people with dementia who reside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study also aims at identifying design implications that can be incorpo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다른 연구도 방향을 결정하는 지점들(decision points)이 랜드마크와 같은 역할을 할 때 길찾기에 도움이 됨을 지적했다. 공동장소 입구나 침실들이 교차점에 위치할 때, 또는 식당이나 휴식공간들이 같은 장소에 위치할 때, 치매환자들에게 참고점이나 랜드마크로서 기억되었다(Netten, 1989:152).
  • 본 연구는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치매환자를 위한 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길찾기 향상을 위한 다양한 환경 및 계획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물리적 디자인 및 환경요소들을 적절히 설계에 접목할 때 치매환자의 길찾기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노인환자들의 안전 및 삶의질 향상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종합적, 체계적 문헌연구 및 디자인 가이드라인 도출을 통해 보다 원활히, 그리고 체계적으로, 실증적인 연구근거들이 설계에 적용되도록 도모하고, 이를 통해 치매환자 의료 환경의 개선하고, 궁극적으로 치매환자들의 길찾기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들을 위한 노인전문병원 및 노인요양시설 관련 연구문헌 분석을 통하여 치매노인 길찾기와 관련된다양한 환경요소들을 찾아내었다. 이러한 다양한 환경요소들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정리되었는데, 건축 구조적 요소, 환경 디자인, 그리고 테크놀로지로 정리되었다(Figure 1).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전문병원 및 노인요양시설 설계 시 어떠한 환경요소가 치매노인의 길찾기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는 선행연구문헌 (1990년부터 2014년 사이에 출간)을 찾아 분석 고찰하여 치매노인 길찾기 향상에 기여함이 증명된 환경 및 계획요소들을 도출해 내었다. 조사 대상 선행연구의 선정기준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연구의 목적은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문헌을 검토하여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길찾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 및 계획 요소를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근거들은 치매노인 의료 환경 설계 시길찾기 향상에 기여하는 설계 및 계획 요소들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실제 설계에 고려되어지고 적절히 적용될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본연구의 목적은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연구문헌을 검토하여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문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길찾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 및 계획 요소를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근거들은 치매노인 의료 환경 설계 시길찾기 향상에 기여하는 설계 및 계획 요소들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실제 설계에 고려되어지고 적절히 적용될수 있도록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 사용자-테크놀로지-건축공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치매환자 길찾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테크놀로지를 내용적 범주에 포함시켜 이러한 긍정적 테크놀로지를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통합적인 접근방법으로 길찾기에 용이한 환경을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가장 대표적으로 The Green House라 불리는 요양원 모델은 작은 규모 뿐 아니라 기존의 병원 환경을 떠올리게 하는 간호사실, 약물 카트 등을 피하고, 주택과 같은 환경(개인 방, 욕조가 갖추어진 욕실, 그리고 주택형의 주방)을 제공한다. 이를 통하여 최대한 보호 시설적인 이미지를 없애 주택과 같은 평범하고 편안한 거주공간으로서의 이미지를 주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작은집과 같은 형태의 요양원 (small-house nursing home)에 머무는 노인환자들이, 기존의큰 규모의 일반적인 요양원에 머무는 노인환자들에 비해, 자신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더 높게 평가했다(Kane et al.
  • , 1991: 67-74)에 따르면, 치매환자들은 기하학적 모양(geometric shapes)을 이용한 표지판 보다는 실제로 흔하게 볼 수 있는 물체를 이용한 그림/사진 표지판을 보다 잘 인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치매환자 의료 환경 디자인 시 실제로 흔하게 볼 수 있는 물체를 이용한 그림/사진 표지판을 이용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노인인구수가 급속하게 증가하는 배경은?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수는 지속적인 사회경제적 발전, 의료 기술의 발전 및 평균수명의 향상 등으로 인하여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1.
2010년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수는 지속적인 사회경제적 발전, 의료 기술의 발전 및 평균수명의 향상 등으로 인하여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0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1.0%, 2018년에는 노인 인구 비율이 14.3%로, 선진국 대비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에 도달할 전망이다.
치매 환자를 위한 공간을 디자인할 때 주변 환경의 적극적인 고려가 필요한 이유는? 환경에 대한 인식능력 저하와 적절한 행동을 위한 판단력 기능의 저하, 노인환자의 경우에는 노화에 따른 시력의 변화로 의하여 치매환자들은 공간에서 방향감각을 상실하기 쉽고 그로 인해 배회하거나, 길찾기 능력의 감소를 나타낸다 (Marquardt, 2011: 78-79). 이는 곧 치매환자들의 신체적 안전을 위협하고 심리적 불안감을 조성한다. 치매환자는 새로운 환경에서 길 찾기를 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으며 치매 거주자의 공간 방향감(orientation)과 길찾기의 성공적인 수행은 거주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Passini et al., 2000: 7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서울대학교 병원. 2008년 치매노인 유병률 조사 결과 보고서, 보건복지부, 2009. 

  2. 박진규(Park, J). "치유환경 연구문헌 고찰 및 근거중심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논문집 제17권 1호, 2011, pp 41- 51. 

  3. 최영선(Choi, Y). "노인환자의 안전, 삶의 질, 건강향상을 위한 치유 환경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제19권 3호, 2013, pp 7-19. 

  4. 강혜진, 박영기,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거주환경평가에 관한연구, 치매요양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제 22호, 2008, pp 69-74. 

  5. Annerstedt L., 1997, "Group-Living Care: An Alternative for the Demented Elderly.", Dement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8(2), pp 136-142. 

  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7, Practice guidelines for treatment of patient with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7. Brawley, E., 1992, "Alzheimer's disease: Designing the physical environment",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s, 7(1), pp 3-8. 

  8. Chang, Y., Tsai, S.; Chang, Y.; Wang, T., 2007, "A novel wayfinding system based on geo-coded QR codes for individuals with cognitive impairments", Proceedings of ASSETS'07, pp 231-232. 

  9. Chiu, Y.C., Algase, D.; Liang; J.; Liu, H.C.; Lin, K.N., 2005,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getting loss behavior in persons with early dementia",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 pp 760-768. 

  10. Cohen,U and Weisman G.D., 1991, Holding on to home; Designing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mentia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 Elmstahl, Solve, Annerstedt, Lena; Ahlund, Owe, 1997, "How should a group living unit for demented elderly be designed to decrease psychiatric symptoms?",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s, 11(1), pp 47-52. 

  12. Gulwadi, G. B., 2013, "Establishing continuity of self-memory boxes in dementia facilities for older adults: Their use and usefulness", Journal of Housing For the Elderly, 27(1-2), pp 105-119. 

  13. Helal, A.S., Moore, S.E.; Ramachandran, B., 2001, "Drishti: An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and Disabled", Proceedings of the 5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Wearable Computers (ISWC), pp 149-156. 

  14. Innes A, Kelly F; Dincarslan O, 2011, "Care home design for people with dementia: What do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rs value?", Aging and Mental Health, 15(5), pp 548-556. 

  15. Kane, R. A., Lum, T. Y.; Cutler, L. J.; Degenholtz, H. B.; Yu, T. C., 2007, "Resident outcomes in small-house nursing homes: A longitudinal evaluation of the initial green house program",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5(6), pp 832-839. 

  16. Kulyukin, V., Kutiyanawala, A; LoPresti, E.; Matthews, J.; Simpson, R., 2008, "iWalker: Toward a Rollator-Mounted Wayfinding System for the Elderly", The Proceedings of the 2008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FID, pp 303-311 

  17. Liu L, Gauthier L; Gauthier S., 1991, "Spatial disorientation in persons with early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91, 45(1), pp 67-74. 

  18. Margot-Cattin, I., and Nygard, L., 2006, "Access technology and dementia care: Influences on residents' everyday lives in a secure unit", Scandinav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3(2), pp 113-124. 

  19. Marquardt, G., Schmieg, P., 2009, "Dementia-friendly architecture: Environments that facilitate wayfinding in nursing homes",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 24(4), pp 333- 340. 

  20. Marquardt, G., 2011, "Wayfinding for people with dementia: A review of the role of architectural design", Health Environments Research & Design Journal (HERD), 4(2), pp 75-90. 

  21. Namazi, K. H., Johnson, B. D. N., 1991, "Physical environment cues to reduce the problems of incontinence in Alzheimer's disease units",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Care and Related disorders & research, 6(6), pp 22-28. 

  22. Namazi, K. H.,Rosner, T.T.; Rechlin L., 1991, "Long-term memory cuing to reduce visuo-spatial disorientation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n a special care unit ", Am J Alzheimers Dis Other Demen., 6(6), pp 10-15 

  23. Netten, A., 1989, "The effect of design of residential homes in creating dependency among confused elderly residents: A study of elderly demented residents and their ability to find their way around homes for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4(3), pp 143-153. 

  24. Nolan, B. A. D., Mathews, M. R.; Harrison, Melanie, 2001, "Using external memory aids to increase room finding by older adults with dementia", Am J Alzheimers Dis Other Demen., 16(4), pp 251-254. 

  25. Nolan, B. A. D., Mathews, M. R.; Truesdell-Todd, G.; VanDorp, A, 2002, "Evaluation of the effect of orientation cues on wayfinding in persons with dementia", Alzheimer's Care Quarterly, 3(1), pp 46-49. 

  26. Passini, R., Rainville, C.; Marchand, N.; Joanette, Y., 1998, "Wayfinding and dementia: some research findings and a new look at design",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15(2), pp 133-151. 

  27. Passini, R., Pigot, H.; Rainville, C.; Tetreault, M., 2000, "Wayfinding in a nursing home for advanced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Environment & Behavior, 32(5), pp 684-710. 

  28. Perritt, Mitzi R., McCune, E. D.; McCune, Sandra L., 2005, "Empirical findings suggest recommendations for carpet pattern and texture", Alzheimer's Care Quarterly, 6(4), pp 300-305. 

  29. Rabig, J. A., 2007, Elders of the Green Houses: in theirs words, Union Institute and University, Cleveland, OH 

  30. Schwarz, B., Chaudhury, H.; Brent Tofle, R., 2004, "Effect of design interventions on a dementia care setting",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 19(3), pp 172-176. 

  31. Sorri, L., Leinonen, E.; Ervasti M., 2011, "Wayfinding Aid for the Elderly with Memory Disturbances", The Proceedings of the 2011 ECIS(European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 137. 

  32. Strothotte, T., Petrie, H.; Johnson V.; Reichtert, L., 1995, "MoBIC: user needs and preliminary design for a mobility aid for blind and elderly travellers", The 2nd TIDE congress, pp 26-28. 

  33. Taiot PN, Mack JL; Patterson MB., 1995, "The behavior rating scale for dementia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The behavioral pathology committee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m J Psychiatry, 152, pp 1349-1357. 

  34. Thornburn JM, Mistretta CM., 1981, "Tactile sensitivity as a function of age", Journal of Gerontology, 36(1), pp 34-39. 

  35. Ulrich, R., Zimring, C.; Quan, X.; Joseph, A.; Choudhary, R. ,2004, The rol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hospital of the21st century: A once-in-a-lifetime opportunity, Concord, CA: The Center for Health Design. 

  36. Ulrich, R.S. Zimring, C.; Zhu, X.; DuBose, J.; Seo, H.; Choi, Y.; Quan, X.; Joseph, A., 2008,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 on evidence-based healthcare design", Health Environments Research & Design Journal, 1(3), pp 61-125. 

  37. Veldkamp, D., Hagethorn, F.; Krose, B.; de Greef, P., 2008, "The Use of Visual Landmarks in a Wayfinding System for Elderly with Beginning Dementia", Med-e-Tel 2008, pp 161-165 

  38. Zeisel, J. ,2005, "Environment, neuroscience, and alzheimers disease", Alzheimer's Care Quarterly, 6(4), pp 273-2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