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애주기비용 분석을 통한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fe Cycle Cost of Wall Type Apartment and Beam-Column Structural Apartmen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6, 2014년, pp.35 - 43  

이지희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규리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손정욱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준성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토교통부에서는 무분별한 재건축, 재개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고 주택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장수명 공동주택의 도입을 촉구하고 있다. 장수명 공동주택은 기존 아파트 건설에 적용되는 벽식 구조와는 달리 기둥과 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기 때문에 내구성, 가변성, 유지관리 및 리모델링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기존의 벽식 구조방식의 주택에 비해 초기 투자비가 다소 상승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장수명 공동주택의 보급 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의 총 생애주기 관점에서 기존의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일반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비해 초기 신축미용은 약 18% 정도 증가하지만, 50년간의 총 생애주기비용을 산정해보면 벽식 구조 공동주택에 비해 약 7% 정도 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장수명 공동주택의 도입이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충분히 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promote long-life housing to reduce social costs generated by poorly considered rebuilding and extend the life-span of housing. Long-life housing has advantages of durability, floor plan variability, efficient maintenance and ease of remodel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비용을 통한 경제성 분석을 위하여 두 가지 모델을 정의하여 연구절차에 따라 비용 산정을 하고자 한다. 모델의 정의는 생애주기비용분석을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며 이 기준이 변하게 되면 분석 내용 또한 변할 수 있다.
  • 이러한 상황에서 대두되고 있는 장수명 주택의 필요성은 국내 주택시장이 향후에는 신축보다는 유지관리, 리모델링으로 변화될 것임을 예상케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동주택에 적용되었던 벽식 구조방식이 아닌 기둥식 구조로 시공되는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을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비용분석의 영향요소 중 할인율과 신축비용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마감공사비용을 변동요소로 정하여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택의 장수명화가 향후 주택시장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이는 바, 건축물의 총 생애주기 관점에서 기존의 벽식 구조 공동주택과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제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일반 벽식 구조 아파트와 장수명 공동주택의 생애주기비용분석을 위해서는 경제성 분석을 위한 기초입력단가 산정이 중요한데, 이를 위한 정확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발표되어 있는 공인자료들을 참고하고,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존의 생애주기비용분석 연구를 바탕으로 비용단가를 산정하였다. 또한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실제 공사사례들을 바탕으로 축적된 공사비 자료 확보가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공동주택 비용단가에 장수명 공동주택의 특성을 반영한 값을 산정하여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공동주택의 재건축과 리모델링의 생애주기비용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의 생애주기와 재건축 및 리모델링의 발생시점이 중요 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재건축 및 리모델링 시점을 정의하기 위해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평균 교체주기와 최근 열린 아파트 장수명화 방안 공청회 자료를 근거로 하여 25년으로 가정하였으며, 총 생애주기는 50년으로 가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70~80년대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은 1970년대 경제성장과 더불어 대량 공급 위주로 건설되었으며, 1980년대 이르러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 아파트의 등장에 따라 양적 공급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졌다. 지금까지는 노후화된 공동주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모델링이 아닌 시공이 편리한 재건축이 이용되었으나 조기 재건축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의 급등, 교통난, 건설폐기물의 증가로 인한 국가적 자원낭비 등 사회적·환경적 문제가 크게 발생함에 따라 공동주택의 장수명화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이루어지고 있다(Hosing & Urban Research Institute 2006).
장수명 공동주택의 초기공사비용이 높지만 경제성 있는 대안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장수명 공동주택의 경우 라멘구조로 지어지거나 내장 부분에 경략벽체 등이 추가되기 때문에 벽식 구조로 시공될 경우보다 초기공사비용이 약 20% 정도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초기투자비용만을 가지고 경제성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성을 평가해본다면 구조체를 오래 지속할 수 있는 장수명 주택이 보다 경제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조기 재건축은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은 1970년대 경제성장과 더불어 대량 공급 위주로 건설되었으며, 1980년대 이르러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 아파트의 등장에 따라 양적 공급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졌다. 지금까지는 노후화된 공동주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리모델링이 아닌 시공이 편리한 재건축이 이용되었으나 조기 재건축으로 인한 부동산 가격의 급등, 교통난, 건설폐기물의 증가로 인한 국가적 자원낭비 등 사회적·환경적 문제가 크게 발생함에 따라 공동주택의 장수명화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이루어지고 있다(Hosing & Urban Research Institute 2006). 또한 우리나라 주택의 교체 수명이 미국과 유럽의 선진국에 비하여 20~40%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을 볼 때 장수명 주택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된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ousing and Urban Research Institute (2006). "Model Development of Long-Life Housing", HURI FOCUS 13, pp. 1-9. 

  2. Japanes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09). Long-life Housing Guidelines, Japan. 

  3. Jung, Y. S., and Seo, C. H. (2002). "A Study on the LCC Analysis for the Economic Comparative between Reconstruction and Remodeling of the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8(12), pp. 115-124. 

  4. KICT (2005).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for the Longlife Multi-Family Housing", KICT 2005-084. 

  5. KICT (2014). "Construction Cost Indices 2014-05", KICT. 

  6. Kim, S. A. (2013). "Characteristic and Systematic Direction for Facilitating Long-life Housing, KAB Real Estate Focus, KAB, 59, pp. 60-74. 

  7. Lee, J. S., Cho, G. H., Sohn, J. R. and Kim, J. J (2009). "Selection on the Order of Priority Factor of Construction Key Technology for Improving the Flexibility for a Long Life Apartment Housing at the Next Gener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0(2), pp. 84-92. 

  8. MOLIT (2009).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Long-life Housing with Durability and Flexibility",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R&D Report. 

  9. MOLIT, KICT and CERIK (2013). Public Hearing Report for the Long-life Housing Certification System, pp. 4-36. 

  10. Son, C. B. and Oh, C. D. (2005).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Optimum Remodeling Period for Apartment Building using Total Cos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6(2), pp. 111-119. 

  11. The Bank of Korea (2013). "Economic Statistics Yearbook 2013", The Bank of Korea, pp. 53-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