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산지역의 도시열섬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Urban Heat Island Structure in Busan Metropolitan Area,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3 no.11, 2014년, pp.1807 - 1820  

김현수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석현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김유근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the annual mean urban heat island(UHI) intensity were investigated using near surface temperature data measured at 16 automatic weather systems(AWS) in Busan metropolitan area(BMA) during the 11-yr period, from 2000 to 2010. For nighttime, the annual mean UHI i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계열 분석과 달리 공간분포 분석은 각 관측지점이 위치한 고도가 기온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관측지점의 지형적인 특성을 감안하기 위해 2010년을 기준으로 모든 관측지점의 고도를 조사하였으며 부산지역의 관측지점들은 모두 Table 3과 같이 100 m 이하의 저고도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100 m의 고도 상승 시, 습윤단열은 0.
  • 열섬강도는 동일한 시간에 도시와 시골의 기온차이로 정의되며 일반적으로 낮보다는 일몰 이후 야간시간에 강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서 이 같은 열섬의 일반적인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고 최근의 도시 구조 변화에 따른 열섬 구조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대상지역 내의 기상청 ASOS 및 AWS 지점의 1시간 간격 관측 자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열섬효과 분석을 위해 강수일은 분석에서 제외하였고 관측자료의 정확도 및 연속성 확보를 위해 장비 점검 및 고장 등으로 인한 결측일을 제외하고자 일 75 % 이상의 관측일(1일 24회 관측 중 18회 이상 관측된 날짜)에 대해서만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도시열섬 구조가 시•공간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인식하고자 하며 이러한 변화의 요인이 어떠한 도시 내부변화에 기인하였는지를 알기 위해, 토지피복, 인구밀도, 교통량 변화를 주요 원인으로 가정하여 각 원인의 시간에 따른 변화경향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지난 10여년의 기간 동안 부산광역시 주요 도심의 토지피복 분포를 분석해 본 결과 상당부분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Fig. 9는 부산 도심에 위치하고 있는 주요 AWS 관측지점의 2000년과 2010년의 위치와 2003년과 2007년의 토지피복의 공간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2003년과 2007년의 자료는 각각 2000년과 2010년을 대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토지피복 분포를 분석하였을 때, 2003년에 비하여 2007년은 도시 내부의 교통망이 보다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군사시설이 있었던 수영만과 해운대 신시가지 개발 등으로 도시 내부의 토지피복 변화가 뚜렷하였다.
  • 하지만 도시 내부의 열적 공간분포 분석에 있어 관측지점의 개수가 많을수록 분석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관측지점의 추가를 배제하지 않았다. 또한 이동된 관측지점은 기존 관측지점과 동일한 행정구역 내에서 이뤄졌고 이동 전후의 지점 모두가 각 행정구역의 대푯값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연속적인 시간에 대한 기온 분석 자료로 타당하다고 가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관측지점의 지형적인 특성을 감안하기 위해 2010년을 기준으로 모든 관측지점의 고도를 조사하였으며 부산지역의 관측지점들은 모두 Table 3과 같이 100 m 이하의 저고도에 위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100 m의 고도 상승 시, 습윤단열은 0.5도, 건조단열은 1도의 기온 하강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관측지점의 고도가 연평균 기온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과거와 현재의 열섬강도 차이를 분석할 때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관측된 기온에 대한 고도 보정은 추가로 실시하지 않았다. 공간분포 분석결과, 2000년은 부산진과 동래를 중심으로 주요 고온역이 형성되고 대연과 해운대로도 기온이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
  • 11은 지난 2000년과 2010년의 부산광역시 주요 교차로에서 측정된 차량 통행량 분포로서 부산 전 구역에 대해 관측되지 않아 원하는 지점에 대한 값을 구할 수가 없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열섬강도 분석을 위해 선정된 도심 U1과 U2 인근에 내성교차로와 대연교차로가 있어 두 지점이 각각 동래와 대연 AWS 기상관측값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였다. 내성교차로의 경우 지난 10여년의 기간동안 교통량이 14 % 감소하였으며 대연교차로의 경우는 부산 전역에서 가장 큰 폭으로 교통량이 증가(7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열섬은 무엇인가? 열섬은 도시에서 주로 발생하는 주요 기상현상의 하나로서 도시를 연구하는 다양한 학문에서 학제간 연구 주제로 다뤄져 왔다. Kolokotroni 등(2006) 은 동절기와 하절기의 잦은 냉 난방 수요에 따른 건물의 에너지 유출입이 도시 내부의 열섬현상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며 Miao 등(2013) 등은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WRF 기상모델과 건물 주변대기에 대한 전산유체해석이 가능한 CFD 모델을 접합하여 베이징에서의 공기의 순환과 확산을 열적인 관점에서 예측하였다.
도시열섬은 어떤 기상현상인가? 도시열섬은 앞서 언급되었던 연구들에서 밝혀진 것처럼 도시 내부 미세규모의 다양한 열적 상호작용이 밑바탕이 되지만 실제로는 미세규모보다 더 큰 도시규모 혹은 국지규모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대기경계층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요인에 따라 기온 및 바람 등의 기상요소에 변화를 일으키는 광역단위의 기상현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상학에서는 기상관측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 공간에 따라 분석해 왔으며 도시열섬을 발생시키는 다양한 인자들에 대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Jusuf 등, 2007; Kusaka와 Kimura, 2004; Dixon과 Mote, 2003).
도시열섬이 부각되는 이유는? 특히, 도시 내 오염물질의 확산과 축적, 강수와 바람 같은 기후 특성에 영향을 주는 도시열섬 혹은 도시 열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급변하는 기후로 인하여 폭염, 열파, 열대야 등의 발생 빈도가 급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J. S., Kim, H. D., 2006,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ccording to meteorological condition in Daegu, J. Environ. Science., 15(6), 527-532. 

  2. Akbari, H., Konopacki, S., 2005, Calculating energy-saving potentials of heat-island reduction strategies, Energy Policy, 33(6), 721-756. 

  3. Byon, J. Y., Choi, Y. J., Seo, B. G., 2010, Evaluation of urban weather forecast using WRF-UCM (Urban Canopy Model) over Seoul, Atmosphere, 20(1), 13-26. 

  4. Dixon, P. Grady, Thomas, L. Mote, 2003, Patterns and causes of Atlanta's urban heat island initiated precipitation. J. Appl. Meteor., 42, 1273-1284. 

  5. Gaffin, S. R., Rosenzweig, C., Khanbilvardi, R., Parshall, L., Mahani, S., Glickman, H., Goldberg, R., Blake, R., Slosberg, R. B., Hillel, D., 2008, Variations in New York city's urban heat island strength over time and space.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94, 1-11. 

  6. Golden, J. S., 2004, The Built Environment Induced Urban Heat Island Effect in Rapidly Urbanizing Arid Regions - A Sustainable Urban Engineering Complexity, Environ Sciences, 1(4), 321-349. 

  7. Hu, Y., Jia, G., 2010, Influence of land use change on urban heat island derived from multi-sensor data, Intl. J. Climatol., 30, 1382-1395. 

  8. Hwang, M. K., Kim, Y. K., Oh, I. B., Kang, Y. H., 2010, High-resolution Simulation of Meteorological Fields over the Coastal Area with Urban Buildings, J. Korean Soc. for Atmos. Environ., 26(2), 137-150. 

  9. Jiang J., Tian, G., 2010, Analysis of the impact of Land use/Land cover change on Land Surface Temperature with Remote Sensing, Procedia Environ. Sci., 2, 571-575. 

  10. Jusuf, S. K., Wong, N. H., Hagen, E., Anggoro, R., Hong, Y., 2007, The influence of land use on the urban heat island in Singapore, Habitat international, 31(2), 232-242. 

  11. Kolokotroni, M., Giannitsaris, I., Watkins, R., 2006, The effect of the London urban heat island on building summer cooling demand and night ventilation strategies, Solar Energy, 80(4), 383-392. 

  12. Konopacki, S., Akbari, H., 2002, Energy savings for heat -island reduction strategies in Chicago and Houston (including updates for Baton Rouge, Sacramento, and Salt Lake City), 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49638. 

  13. Kusaka, H., Kimura, F., 2004, Thermal effects of urban canyon structure on the nocturnal heat island: numerical experiment using a mesoscale model coupled with an urban canopy model, 43, 1899-1910. 

  14. Lee, H. W., Oh, E. J., Roh, S. A., Ban, S. J., 2003, Numerical Simulation for local circulation of urban area and deposition phenomenon, J. Korean Soc. for Atmos. Environ.,19(6), 773-787. 

  15. Masayuki, I., Hisaya, I., Kimiko, K., Akihiro, N., 2006, Evaluation of rooftop greening as a method of heat -island reduction based on actual measurement, J. of Environ. Engineering, 605, 47-54. 

  16. McCarthy, M. P., Best, M. J., Richard A. B., 2010, Climate change in cities due to global warming and urban effec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7, L09705. 

  17. Miao, Y., Liu, S., Chen, B., Zhang, B., Wang, S., Li, S., 2013, Simulating urban flow and dispersion in Beijing by coupling a CFD model with the WRF model, Advanced in Atmospheric Sciences, 30(6), 1663-1678. 

  18. Rosenzweig, C., Solecki, W. D., Parshall, L., Chopping, M., Pope, G., Goldberg, R., 2005, Characterizing the urban heat island in current and future climates in NewJersey, Environmental Hazards, 6, 51-62. 

  19. Stankowski, S. J., 1972, Population density as an indirect indicator of urban and suburban land-surface modifications. Professional Paper: Report 800B. (pp.B219 B224). U.S. Geological Survey 

  20. Yokobori, T., Ohta, S., 2009, Effect of land cover on air temperature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n intra -urban heat island, Clim. Res., 39, 61-73. 

  21. Yuan, F., Bauer, M. E., 2007, Comparison of impervious surface area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s indicators of surface urban heat island effects in Landsat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6, 375-3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