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8인승 승강기 제동장치의 유한요소해석
FEM Analysis of a 38 Person Elevator Bra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1, 2014년, pp.6458 - 6463  

이종선 (대진대학교 컴퓨터응용기계설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38인승 승강기 제동장치의 설계 및 유한요소해석이다. 최근 승강기의 안전성이 부각되면서 비상 제동장치의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라 새로 개발된 제동장치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lid Works를 활용하여 모델링 하였으며 유한요소해석 코드인 ANSYS를 활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로서 총변형량, 응력, 변형률을 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FEM analysis of a 38 person elevator brake. Recently, an emergency brake was newly developed to improve elevator safety. A 3D design was developed using Solid Works and FEM analysis using analysis code ANSYS. The total deformation, stress and strain were obtain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승강기 제동장치에 대한 구조해석은 재료의 등방성, 정상상태라 가정하고 ANSYS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시에는 정원인 38명이 탑승을 하였다고 가정하였고 본체와 브래킷의 기울기는 45˙로 고정하였다.
  • 승강기 제동장치에 대한 구조해석은 재료의 등방성, 정상상태라 가정하고 ANSYS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시에는 정원인 38명이 탑승을 하였다고 가정하였고 본체와 브래킷의 기울기는 45˙로 고정하였다. 대기 상태와 제동 상태 두 가지 해석을 수행하여 재료의 허용응력과 안전기준에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8인승 승강기 제동장치에 대한 구조해석에서 최대응력은 허용응력의 최대 몇% 이내인가? 본 연구에서는 38인승 승강기 제동장치에 대한 구조해석 결과 최대응력이 허용응력의 최대 83.411% 이내이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적임을 알 수 있으며 최대응력이 발생한 부위는 대기 상태에서 상부판, 제동 상태에서 스프링뭉치이다. 이 부위는 재질을 열처리하여 강도를 높여 안전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기 제동장치에 대한 구조해석에서 몇 명이 탑승하였다고 가정하였는가? 승강기 제동장치에 대한 구조해석은 재료의 등방성, 정상상태라 가정하고 ANSYS를 이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시에는 정원인 38명이 탑승을 하였다고 가정하였고 본체와 브래킷의 기울기는 45˙로 고정하였다. 대기 상태와 제동 상태 두 가지 해석을 수행하여 재료의 허용응력과 안전기준에 적합한지를 알아보았다.
승강기 제동장치란 무엇인가? 이러한 분위기는 고층빌딩이 늘어나는 현실에 비추어 승강기 제동장치[1-2]에 대한 안전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으며 비상사태시 승강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동장치의 중요성이 대단히 높다고 할 수 있다. 승강기 제동장치는 운행 시에 메인로프의 마모로 인해 도어가 열린 채로 급상승하거나 고장에 의한 과속 운행 시 메인로프를 고정시켜 승객과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로써 사고방지 및 안전대책의 최종 장치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E. Vlahovic, "Rationale for New Rules in CSA-B44 Safety Code for Elevators", Elevator World, 1989. 

  2. Korea Machinery Meter and Petrochemical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the Technical safety Rules of Rope Brake use for Elevator", pp.167, 1999. 

  3. T.R.Chandrupatla and A.D.Belegundu, "Introduction to Finite Elements in Engineering", Prentice Hall, 1991. 

  4. William Weaver, Jr. and R. Johnston, "Finite Elements for Structural Analysis". PRENTICE HALL, INC. 1993. 

  5. ANSYS User's Manual Revision 14.0, Swanson Analysis System, Inc., 2012. 

  6. Jongsun Lee, "A Study on the Optimum Shape of Rope Brake", TRANSACTIONS of KSMTE, Vol.14, No.1, pp.101-107, 2005. 

  7. Jongsun Lee, "Design and Analysis of Dual Rope Brake By Spring Typ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7, No.3, pp.319-324, 2006. 

  8. James shakelford and William Alexander, "Material Science and Engineering Hand Book", CRC Press,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