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대학병원 근무자의 신체 부담과 근골격계 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Burden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n Job Stress in Hospital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1, 2014년, pp.6782 - 6792  

김동현 (호서대학교 나노바이오트로닉스학과) ,  채유미 (단국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김희광 (호서대학교 나노바이오트로닉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근무자 679명을 대상으로 신체 부담과 근골격계 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는 여성, 저연령층, 미혼, 교대근무자, 8시간 이상 근무자, 근무 경력이 낮은 군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은 비흡연(p=0.000), 운동을 하지 않는다(p=0.022) 및 비음주(p=0.038)에서 높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로 정신적 피로, 근골격계 증상, 피로수준 및 결혼상태가 직무스트레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육체적 작업부담과 직무스트레스간의 쌍방향성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the burden of the body on work stress in a university hospital workers. The research surveyed 679 subjects. The relevant factors affecting the job stress were found to be female, young people age group, unmarried, shif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 근무자 전체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경험하는 작업부담, 근골격계 증상 경험, 및 피로 수준 등 기존에 알려진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포괄하여 실제 병원 근무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함으로써 실제 병원 근무자의 정신건강증진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직무 특성, 행동 특성, 신체 및 심리적 요인 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신체 부담, 다음으로 정신적 피로, 근골격계 증상 및 피로도 임을 확인하였다.
  • 조사대상자의 성, 연령, 근무부서, 직종 등 기본 인적사항은 설문지 기재 내용과 직원 명부 내용을 대조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 외 결혼상태, 근무형태, 교대근무, 근무시간, 근무경력 등 근무특성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 근무자 전체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뿐만 아니라, 근로자가 경험하는 작업부담, 근골격계 증상 경험, 및 피로 수준 등 기존에 알려진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을 포괄하여 실제 병원 근무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간의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함으로써 실제 병원 근무자의 정신건강증진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원 근무자가 정신사회적으로 고위험군인 이유는? 병원 근무자는 여성이 과반수를 차지하며, 환자와 보호자를 직접 대면접촉하고, 다양한 직종간의 역할 모호와 갈등, 인간관계에 의한 갈등과 같은 직무와 관련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등 정신사회적으로 고위험군이다[5-6].
근골격계 질환 유발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근골격계 질환 유발요인들로는 반복성, 작업자세, 힘과 같은 작업특성요인, 작업이력이나 질병력 같은 작업자 특성요인 뿐만 아니라 직무스트레스와 같은 사회심리적 요인들이 거론되고 있다[3]. 근골격계 부담작업이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높이는 요인이라는 보고가 있으나[4], 실제 근골격계 증상이 직무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드물다.
병원 근무자의 피로도 감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 피로도는 직무스트레스를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었다(Jin 2003, Kwon 2004, 이경희, 2011)[25-27]. 피로는 스트레스와 강한 연관이 있고, 피로도와 직무스트레스는 동작, 판단 및 대인관계 등에 영향을 미쳐 간호사뿐 아니라 환자간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kim & Cho, 2002, Kwon 2004)[26,28]. 또한 이경희(2011)[27]는 간호사의 피로도는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는 피로도와 이직의도 간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혀 피로도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병원 업무는 무형의 서비스 업무이며, 교대근무와 감정노동을 함께하는 특성으로 인해 피로도가 가중될 환경을 갖추었다고 볼수 있다. 따라서 병원 근무자의 이직을 줄이고, 직무 만족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도 이러한 피로도 감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Martin K. Chen, "The epidemiology of self-perceived fatigue among adults", Preventive Medicine, 15(1), p.74-81, 1986. DOI: http://dx.doi.org/10.1016/0091-7435(86)90037-X 

  2. Anthony David, Anthony Pelosi, Elizabeth McDonald, David Stephens, David Ledger, Richard Rathbone, Anthony Mann, "Tired, weak or in need of rest; a profile of fatigue among general practice attenders", British Medical Journal, 301, p. 1199-1120, 1990. DOI: http://dx.doi.org/10.1136/bmj.301.6762.1199 

  3. Sang Ho. Kim and Hong Tae. Lee, "Standardization of the Ergonomics Kit for Evaluating Musculoskeletal Hazards in the Work System",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7(1), p. 57-76, 2005. (Korean) 

  4. Seok-Ho Park, Jin-Soo Kim, Sang-ho Kim,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Musculoskeletal Workload and Job Stress", Journal of the Ergonomics of Korea, p. 130-133. 2006. (Korean) 

  5. Jung-Yeon Hong and Jung-Wan Ko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occupational injuries in health care worker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6), p. 446-453, 2010. (Korean)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0.53.6.446 

  6. Sang Baek Koh, "The work related psychosocial factor and disease among health professional",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6), p. 467-473, 2010. (Korean)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0.53.6.467 

  7. Kenshu Suzuki, Takashi Ohida, Yoshitaka Kaneita, Eise Yokoyama, Takeo Miyake, Satoru Harano, Yuko Yagi, Eiji Ibuka, Akiyo Kaneko, Takako Tsutsui, Makoto Uchiyama, "Mental Health Status, Shift Work,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Hospital Nurses in Jap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Health, 46, p.448-454, 2004. DOI: http://dx.doi.org/10.1539/joh.46.448 

  8. Myoung-soon. You and Won-sup Cho, "A Review and Analysis of Research on Job Stress : Current Challenges and New Direc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2011(1), p.521-553, 2011. (Korean) 

  9. Sei-Jin Chang, Sang-Baek Koh, Dongmug Kang, Seong-Ah Kim, Myung-Geun Kang, Chul-Gab Lee, Jin-Joo Chung, Jung-Jin Cho, Mia Son, Chang-Ho Chae, Jung-Won Kim, Jung-Il Kim, Hyeong-Su Kim, Sang-Chul Roh, Jae-Beom Park, Jong-Min Woo, Soo-Young Kim, Jeong-Youn Kim, Mina Ha, Jungsun Park, Kyung-Yong Rhee, Hyoung-Ryoul Kim, Jeong-Ok Kong, In-Ah Kim, Jeong-Soo Kim, Jun-Ho Park, Sook-Jung Huyun, Dong-Kook Son,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4), p 297-317, 2005. (Korean) 

  10.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Guide for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eas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Ulsan, 2003. 

  11. Joseph E. Schwartz, Lina Jandorf, Lauren B. Krupp,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rarch, 37(7), p. 753-62, 1993. DOI: http://dx.doi.org/10.1016/0022-3999(93)90104-N 

  12. Chang SJ. Fatigue. The Korean Society of Preventive Medicine, Standardiza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Gyechook Press. Seoul. 2000. p 144-81.(Korean) 

  13. Soon-Young Kim, In-Sun Kwon, Young-Chae Cho,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Nurse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4), p.1759-1768, 2012.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2.13.4.1759 

  14. J. Andrew Morris1 and Daniel C. Feldman,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 labor",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p. 111-126,1996. 

  15. G.E. Hardy, D.A. Shapior, C.S. Borrill, "Fatigue in the workforce of national health service trust: Levels of symptomatology and lings with minor psychiatric disorder, demographic, occupational and work role factor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3(1), p. 83-92,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022-3999(97)00019-6 

  16. Hyun-Lim Kang, "A study of Occupational Satisfaction, Stress and Customer Orientation of Upper-scale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p. 268-277, 2010. 

  17. An-Sook Park, Mi-Kyung Son, Young-Chae Cho, "Factor Related to Psychosocial Stress and Fatigue symptom Among Nurses Working at Ward And Operating Room in University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4), p.1781-1791, 2013. 

  18. Woo-Chun Lee, Occupational stress of hospital worker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sis for a degree, 1997. 

  19. Mi-sun Shim, Kang-Sook Lee, Hyun-Sook Hong, Kyung-Sook Lee, "Job stress Level of an hospital Workers by Three Professional Group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39(4), p.159-168, 2000. 

  20. Jin-Joo Chung, "The Effect of Hospital Environment on Employee's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28(3), p.72-76, 2002. 

  21. Kuem-Sun Han, Hee-Su Lim, Young-Hee Park, Mi-Young Choi, Sun-Kyung Cha, Eun-Mi Lee,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Health Care Provider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3), p.209-220, 2012. 

  22. Cary L. Cooper and Judi Marshall, "Occupational sources of str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lating to coronary heart disease and mental ill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49, p.11-28, 1979. DOI: http://dx.doi.org/10.1111/j.2044-8325.1976.tb00325.x 

  23. Seok-Ho Park, Jin-Soo Kim, Sang-ho Kim,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Musculoskeletal Workload and Job Stress",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p.130-133, 2006. 

  24. Kawano Yuri, "Association of Job-related Stress Factors with Psychological and Somatic Symptoms among Japanese Hospital Nurses : Effect of Departmental Environment in Acute Care Hospitals", Japan Society for Occupational Health, 50(1), p.79-85, 2008. 

  25. Yeong-Jin Jin, "A study on fatigue and job stress of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Kang-neung. 2003. 

  26. Su-hyeon Kwon,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level of job stress and fatigue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master's thesis, Cho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004. 

  27. Kyoung-Hee Lee, Ji-Young Kim, "Effect of Shiftwork Nurses' Fatigue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p.74-82, 2011. DOI: http://dx.doi.org/10.5807/kjohn.2011.20.1.074 

  28. Yeong-Hie Kim & Soo-Hyun Cho, "A study on the fatigue of hospital nurses in Gwangju and Jeonnam reg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6(2), p.272-279, 2002. 

  29. J. Wahlstrom, M. Hagberg, A. Toomingas, E. Wigaeus Tornqvist, "Perceived muscular tension, job strain, physical exposure, and associations with neck pain among VDU users; a prospective cohort stud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1(6), p.523-528, 2004. DOI: http://dx.doi.org/10.1136/oem.2003.009563 

  30. Lindsay M Hannan, Carolyn P Monteilh, Fred Gerr, David G Kleinbaum, Michele Marcus, "Job strain and risk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a prospective conhort of occupational computer user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and Environmental Health, 31(5), p.375-386, 2005. DOI: http://dx.doi.org/10.5271/sjweh.921 

  31. Hyung-Joon Jhun, Sung-Il Cho, Jong-Tae Park, "Changes in job stress,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complaints of unfavorable working conditions among nurses after the adoption of a computerized order communication system", Internal Arch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77, p.363-367, 2004. DOI: http://dx.doi.org/10.1007/s00420-004-0509-2 

  32. Roger B. Fillingim, Robert R. Edwards, Tykeysha Powell, "The relationship of sex and clinical pain to experimental pain responses", Pain, 83, p.419-425, 1999. DOI: http://dx.doi.org/10.1016/S0304-3959(99)00128-1 

  33. Yeon-Soon Ahn, Young-Hyu Choi, Seong-Kyu Kang, Ho-Keun Chung, "Analysi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by approved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in 1999",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la Medicine, 14(2), p.154-168, 2002. 

  34. Caroline A. Gaither, Abir A. Kahaleh, William R. Doucette, David A. Mott, Craig A. Pederson, Jon C. Schommer, "A modified model of pharmacists' job stress: The role of organizational, extra-role, and individual factors on work-related outcomes", Research in Social and Administrative Pharmacy, 4, p.231-243, 2008. DOI: http://dx.doi.org/10.1016/j.sapharm.2008.04.001 

  35. Young-Taek Kim, "The Causes of job Stress among Workers in the Service Sector", Journal of Far East Social Welfare, 6, p.69-98, 2010. 

  36. Johnson Sheena, Cooper Cary, Cartwright Sue, Donald Ian, Taylor Paul, Millet Clare, "The experience of work-related stress across occupation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0(2), p.178-187, 2005. DOI: http://dx.doi.org/10.1108/02683940510579803 

  37. Tae-geun Kim, "u-Can Regression Analysis", Welfare and Human, p.211-230, 2006. 

  38. Yun-ok Ahn, Yeong-su Sin, Hyeong-sik Ahn, Geun-yeong Yu, Chang-yeop Kim, Byeon-gju Park, Sang-gu Sin, Research Methodology in Medicine, p.98-99,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