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거리 환경미화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 간의 관련성
Associ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treet Sanitation Worke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3, 2013년, pp.314 - 322  

김혜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전경자 (순천향대학교 간호학과) ,  신계영 (신흥대학교 간호학과) ,  추진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RMS) in street sanitation workers. Method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87 male street sanitation workers at E Gu in Seoul. The Job stress and W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가로 청소 업무에 종사하는 거리 환경미화원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의 수준을 신체 부위별로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거리 환경미화원을 위한 근골격계 질환 예방 및 관리에 대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거리 환경미화원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의 수준과 근골격계 증상을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거리 환경미화원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과 작업관련 근골격계 증상을 파악하고, 직무 스트레스와 작업 관련 근골격계 증상간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환경미화원의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프로그램 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결론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작업 관련 근골격계 증상 관련성에서는 직무 스트레스 하부영역인 직무요구와 직장문화와 근골격계 증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 본 연구는 거리 환경미화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작업 관련 근골격계 증상과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거리 환경미화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작업 관련 근골격계 증상의 수준을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거리 환경미화원의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자율성과 관계갈등에서 가장 높았으며, 4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미화원의 근골격계 부담을 일으키는 작업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Paulsen 등(1995)의 연구에 의하면 환경미화원들은 강도 높은 반복적인 작업으로 인해 높은 빈도의 근골격계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한다. 거리 환경미화원은 하루 8시간 근무를 하는데, 새벽 4시부터 낮 12시까지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지역에서 빗자루와 쓰레받기, 쓰레기 자루 등을 이용하여 거리의 쓰레기와 오물을 청소하고, 또한 100 L 종량제 봉투 또는 자루에 거리 쓰레기를 쓸어 담아 일정한 장소에 적재하면, 이후 청소차량이 순회하면서 거둬 들여가는 작업을 수행한다. 몇몇 연구에서 이러한 거리 환경미화원의 반복적이고 강도 높은 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 부담이 제조업 근로자들이 겪는 근골격계 부담보다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Lee, Myong, Jeong, Jeong, & Koo, 2007; Myong et al.
환경미화원이란 무엇인가? 환경미화원은 사람들의 건강과 주거환경의 위생을 유지시켜주는 서비스업종이라 할 수 있다. 2009년 국내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청소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은 35,486명으로 보고하고 있다.
환경미화원이 높은 질병과 사고 발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환경미화원은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고, 반복적 작업, 중량물 취급, 추운 환경을 포함한 작업에 종사함으로 인해 높은 질병과 사고 발생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Kim, Ryu, Park, & Lee, 2010). 2009년의 경우 환경미화원의 산업재해자는 1,024명(100%)이었으며, 그 중 업무상 질병자수는 123명(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 B. S. (2007). Occupational disease medicine (1st ed.). Seoul: Gye-Chuk Munhwa-Sa. 

  2. Chang, S. J., Koh, S. B., Kang, D. M., Kim, S. A., Kang, M. G., Lee, C. G., et al. (2005). Developing an occupational stress scale for Korean employe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 (4), 297-317. 

  3. Choi, E. S., & Shin, D. S. (2009). Occupational stress and related factors among aged security guard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 (1), 106-115. 

  4. Choi, E. S., Sohn, S. Y., & Yi, K. H. (2011). A study on types of municipal sanitation workers' occupational accident by work typ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 (2), 172-184. 

  5. Choi, Y. B., Lee, S. J., Song, J. C., Bae, K. J., & Park, H. J. (2012). Association between job-related factor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university hospital healthcar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4 (3), 217-228. 

  6. Fring-Dresen, M. (2005). Protecting waste collectors all around the world. Occupational Environmental Medicine, 62 (12), 820-821. 

  7. Hagen, K. B., Magnus, P., & Vetlesen, K. (1998). Neck/shoulder and low-back disorders in the forestry industry: Relationship to work tasks and perceived psychosocial job stress. Ergonomics, 41 (10), 1510-1518. 

  8. Hong, S. W., Uhm, D. C., & Jun, M. H. (2010).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 (2), 223-235. 

  9. Jang, E. C., Kim, H. J., Kwon, Y. J., Park, S. B., Lee, S. J., & Song, J. C. (2000). The prevalence of cumulative trauma disorders of upper extremities among watch assembly workers in some small-scaled industry.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2 (4), 457-472. 

  10. Jo, M. H., Kim, K. S., Lee, S. W., Kim, T. G., Ryu, H. W., Lee, M. Y., et al.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migrant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 (4), 378-387. 

  11. Kim, H. J., & Jung, H. S. (2004). Related factors of upper limb musculoskeletal disease in small-to-medium-sized manufacture enterprises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3 (1), 19-29. 

  12. Kim, J. S., Oh, M. K., Park, B. K., Lee, M. K., Kim, G. J., & Oh, J. K. (1999). Screening criteria of alcoholism by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in Korea.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 (9), 1152-1159. 

  13. Kim, S. B., Ryu, S. H., Park, D. U., & Lee, Y. K. (2010). Strategies for protecting waste collectors' health and safe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36 (3), 247-253. 

  14. Kim, S. S. (2001).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players of professional orchestra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15.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0). Methods of harmful factors survey for musculoskeletal overloading works. Incheon: Author. 

  1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2). Guideline of harmful factors survey for musculoskeletal overloading works (KOSHA GUIDE H-9-2012). Incheon: Author. 

  17. Lee, B. O., Lee, C. H., Lee, P. G., Choi, M. J., & Namkoong, K.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4 (2), 83-92. 

  18. Lee, H. K., Myong, J. P., Jeong, E. H., Jeong, H. S., & Koo, J. W. (2007). Ergonomic workload evaluation and musculo-skeletal symptomatic features of street clean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6 (4), 147-152. 

  19. Lee, K. H., Yoon, J. H., Kim, S. K., Cho, I. J., Oh, S. S., Kim, S. H., et al. (2012).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psychosocial risk factors to work-related musculoskeletal upper extremity symptoms amongst male automobile manufacturing worker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4 (1), 72-85. 

  20. Lee, Y. J., Kim, T. H., & Chang, S. R. (2011). A study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of workers in a shipbuilding compan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6 (50), 89-98. 

  21. Lund, T., Iversen, L., & Poulsen, K. B. (2001). Work environment factors, health, lifestyle and marital status as predictors of job change and early retirement in physically heavy occupation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40 (2), 161-169.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2009 Waste gener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Retrieved May 4, 2012, from http://stat.me.go.kr/nesis/mesp2/webStatistics/stat_main.jsp?tblIDDT_106N_99_3300025&inq_gubun1&langkor&list_id106H_01_006002&l_interval2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4. Moon, J. I. (2009).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stress for electronical product assembly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25. Myong, J. P., Lee, H. K., Kim, H. R., Jung, H. S., Jeong, E. H., Nam, W., et al. (2008). Musculoskeletal symptoms of municipal sanitation workers and ergonomic evaluation on upper limb.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 (2), 93-103. 

  26. Paulsen, O. M., Breum, O., Ebbeho?)j, N., Hansen, A. M., Ivens, U. I., Lelieveld, D., et al. (1995). Collection of domestic waste. Review of occupational health problems and their possible caus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170 (1- 2), 1-19. 

  27. Skov, T., Borg, V., & Orhede, E. (1996). Psychosocial and physical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shoulders, and lower back in salespeopl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3 (5), 351-356. 

  28. Sorour, A. S., & EI-Maksoud, M. M. A. (2012).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disorders, job demands, and burnout among emergency nurses. Advanced Emergency Nursing Journal, 34 (3), 272-282. 

  29. Sung, N. J., Sa, K. J., & Chung, J. H. (2000).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related factors of symphony orchestra player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2 (1), 48-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