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및 미디어 이용과 N스크린 서비스 수용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Lifestyle, Media Usage, and Adoption of Nscreen Servi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143 - 153  

박현정 (충북대학교 국제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미디어 서비스의 속성을 복합적으로 보유하면서도 서로 다른 단말기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N스크린은 미디어와 콘텐츠, 그리고 소비자 간의 관계를 재구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2012년 한국미디어패널조사 통계조사에서 수집된 8,524명의 미디어 행태 자료 중 N스크린 이용을 중심으로 하여 서비스의 수용과 관련된 소비자 변수들과의 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우선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인구통계변수, 미디어 이용 행태 중의 하나로서 온라인활동 참여, 라이프스타일 관련 활동 정도 및 제품구매성향,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 유료 콘텐츠 소비지출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나는지 각각 살펴보고 서비스 수용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디지털 라이프스타일의 일부가 되고 있으며 미디어와 콘텐츠 소비 패턴의 변화를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는 N스크린 서비스의 중요성에 주목하고, 서비스 수용과 관련이 있는 소비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사회심리학적 변수들과 미디어 행동 변수들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tors related to consumer lifestyle and media usage on the adoption of Nscreen service, which is fundamentally changing both the competitive landscape for business and the daily lives of consumers. The data of 8,524 consumers used in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스크린 서비스 이용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잠재적 소비자의 수용의도 연구[4]나 이용 동기 및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5]외에는 아직 찾아보기 힘든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N스크린 서비스의 실제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에 대하여 분석할 것이다. N스크린 서비스의 이용은 다중미디어 이용의 맥락에서 연구할 수 있고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본 연구는 N스크린 서비스의 수용에 소비자 특성 및 라이프스타일, 기존 미디어 활용 행동이나 소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우선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인구통계변수, 온라인 활동 참여, 라이프스타일 관련 활동 정도 및 제품구매성향,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 그리고 유료 콘텐츠 소비지출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 미디어패널조사의 내용은 개인 특성, 미디어 기기 보유현황, 방송통신 서비스 가입 및 지출 현황, 미디어 다이어리, 미디어 활용현황, 미디어 이용환경,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 행태 중에서도 N스크린 이용현황을 중심으로 하여 인구통계변수, 온라인 활동 참여,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관련 활동 정도 및 제품구매성향,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뿐만 아니라 유료 콘텐츠 소비지출 등의 측면에서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N스크린 서비스 수용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다이어리를 바탕으로 하여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와 N스크린 이용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자마다 3일분 체크리스트를 통해 종이매체, TV, 컴퓨터, 전화기, 촬영기기, 오디오기기, 비디오 재생 및 녹화기기, 게임기, 공간미디어 등의 미디어 기기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 영화/동영상/음악/사진, 신문/책/잡지, 통화/문자/이메일/채팅, 온라인 검색/소셜 네트워크/상거래, 게임, 문서/그래픽 작업, 종이로 제공된 콘텐츠, 공간미디어 활동 등 어떠한 콘텐츠 사용을 경험하였는지 체크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N스크린 서비스의 수용에 소비자 특성 및 라이프스타일, 기존 미디어 활용 행동이나 소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우선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인구통계변수, 온라인 활동 참여, 라이프스타일 관련 활동 정도 및 제품구매성향,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 그리고 유료 콘텐츠 소비지출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N스크린 서비스 수용에 대한 제반 변수들의 영향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미디어 이용 행태 중에서도 N스크린 이용현황을 중심으로 하여 인구통계변수, 온라인 활동 참여,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 관련 활동 정도 및 제품구매성향, 기존 미디어 레퍼토리뿐만 아니라 유료 콘텐츠 소비지출 등의 측면에서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 간에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N스크린 서비스 수용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의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 N스크린 서비스 소비자 연구도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잠재적 소비자의 수용의도 연구[4], 이용 동기 및 불만족 요인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5]가 있었지만 실제 수용 상황을 검증하거나 소비자의 심리묘사적 특성 및 소비행태와 서비스 수용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아직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N스크린서비스 수용과 소비자의 특성 및 사회심리적 변수로서의 라이프스타일, 기존 미디어 이용행태나 소비 등 다양한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증분석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주관의 한국미디어패널조사 통계조사에서 수집된 2012년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스크린의 예로 들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최근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는 ‘N스크린’이란 말 그대로 여러 개의 화면을 통해 소비자가 동일한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영화나 음악, 게임을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구입하여 즐기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TV로 혹은 PC로 같은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대상이 되는 콘텐츠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영화, 음악,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 국한되지 않고, 주소록, 이메일 등 개인정보에서부터 문서 작업물까지 포괄하여 아우르는 것으로 일상생활의 대부분의 정보를 개인이 소유한 대부분의 단말기에서 공유할 수 있게 된다.
N스크린이란 무엇인가? 방송통신융합, IPTV, 스마트TV, 클라우드 컴퓨팅 등으로 대표되는 컨버전스와 휴대기기의 발전으로 특정 매체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콘텐츠가 다양한 채널에 동시에 제공되고 언제 어디서나 접근가능하게 되었으며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최근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더욱 주목받고 있는 ‘N스크린’이란 말 그대로 여러 개의 화면을 통해 소비자가 동일한 콘텐츠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영화나 음악, 게임을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구입하여 즐기다가 집에 들어와서는 TV로 혹은 PC로 같은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는 것이다.
N스크린은 어떠한 목적이 있는가? 복수의 스크린을 통해 동시에 콘텐츠를 이용하는 행태가 최근의 현상만은 아니지만 N스크린은 미디어 이동성 및 시공간적 압축 면에서 유례없는 멀티 플랫폼 환경이라는 점에서 이용경험의 차원을 달리하여 고찰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하드웨어와 네트워크 성능이 좋아지고 사용자들의 인터넷 사용이 익숙해지면서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멀티태스킹은 모바일 단말기의 발전과 함께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N스크린은 서로 다른 단말기를 통해 하나의 서비스에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이원태, 김윤화, 최세경, "N스크린 환경에서 콘텐츠 이용 경험과 미래 정책 이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디지털컨버전스기반 미래연구(III)시리즈, pp.11-08, 2011. 

  2. KISDI, "N스크린 환경에서 콘텐츠 이용경험과 미래정책이슈",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연구 3시리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1. 

  3.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라이프스타일과 매체 이용 행위간의 관계 연구: 다중 매체이용과 매체간 장르추구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2권, 제6호, pp.189-216, 2008. 

  4. 오경수, "N스크린 서비스 잠재적 수용자의 수용 의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80-92, 2012. 

  5. 임소혜, 이영주, "N스크린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동기와 불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99-108, 2013. 

  6. M. Deuze, "Media Life," Media, Culture & Society, Vol.33, No.1, pp.137-148, 2011. 

  7. D. E. Schultz, M. P. Block, and K. Raman, "Media synergy comes of age- Part 1," J. of Direct, Data and Digital Marketing Practice, Vol.11, No.1, pp.3-19, 2009. 

  8. K. Van Rees and K. van Eijck, "Media repertoires of selective audiences: the impact of status, gender and age on media use," Poetics Vol.3, No.1, pp.465-90, 2003. 

  9. 심미선, "다중 미디어 이용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언론정보연구, 제47권, 제2호, pp.40-73, 2010. 

  10. 강남준, 이종영, 이혜미, "군집분석 방법을 사용한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분석", 한국방송학보, 제22권, 제2호, pp.7-46, 2008. 

  11. D. Domingo and A. Heinonen, "Weblogs and journalism: A typology to explore the blurring boundaries," In Nordicom Review, Vol.29, No.1, pp.3-15, 2008. 

  12. P. Bourdieu, "Structures, habitus, practices," In A. Elliot (ed.), Contemporary social theory, Massachusetts, Oxford: Blackwell Publishers, 1999. 

  13. 이병혜, "가치관이 정보미디어와 서비스 이용형태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3호, pp.411-447, 2005. 

  14. W. R. Darden and R. D. Howell, "Socialization effect of retail work experience on shopping orientations,"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5, No.3, pp.52-63, 1987. 

  15. G. B. Sprotles and E. L. Kendall, "A Methodology for Profiling Consumers' Decision Making Styles," J. of Consumer Affairs, Vol.20, No.2, pp.267-279,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