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pital and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236 - 248  

김명숙 (마이비즈컨설팅) ,  고종욱 (안양대학교 공공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인적 자본 변수는 학력, 소득 및 신체적 건강의 세 변수를, 사회적 자본 변수로는 비공식적 상호작용과 공식적 상호작용의 두 변수를, 문화적 자본 변수로는 종교, 문화단체참여 및 삶의 질의 세 변수를 그리고 생태환경변수로는 배우자 유무, 주택점유형태 및 거주지역의 세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인 노인자원봉사 변수로는 자원봉사 참여여부 및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의 두 변수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노인인력개발원에서 수집한 "2012년도 노인일자리사업참여노인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로짓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적 자본 요인들인 학력, 소득, 및 신체적 건강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본 요인들 중에서 비공식적 상호작용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공식적 상호작용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만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며, 문화적 자본 요인들인 종교, 문화단체참여 및 삶의 질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모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생태환경 요인들 중에서 주택점유형태와 거주지역은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배우자 유무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uma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and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In this study, three variables of education, income and physical health were examined as human capital factors, two variables of formal and in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자원봉사활동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자원이론과 노화의 일반생태학 이론의 시각에서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실증연구가 매우 드문 실정이다[7][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이론에 기반하여 노인들의 자원봉사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원이론에서 제시하는 인적, 사회적 및 문화적 자본 요인 그리고 노화의 일반생태학이론에서 강조하는 생태환경 요인들이 노인자원봉사활동참여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며, 종속변수인 노인자원봉사활동 변수로는 구체적으로 자원봉사 참여여부 및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의 두 변수를 검토하고자 한다.
  • 한편, 노화의 일반생태학이론에서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참여가 개인을 둘러싼 생태환경과의 교류과정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노인자원봉사활동의 영향요인으로 생태환경요인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우선 자원이론의 입장에 근거하여 이 이론에서 강조하는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및 문화적 자본요인과 자원봉사활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어서 일반생태학이론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태환경요인과 자원봉사활동 간의 관계를 검토하기로 하겠다.
  • 그리고 설정오류로 인한 모수추정치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성별과 연령의 두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변수들간의 다중공선성 문제도 검토하였다. 일반적으로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가 10이 넘으며 심각한 다중공선성 문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 생태환경요인들과 노인자원봉사활동 간의 관계를 탐구한 선행연구는 매우 드문데, 거주하는 물리적 환경, 인구크기, 가구크기, 가족, 동네, 직장 및 직업, 학교, 도시, 지역, 국가[35][36]등의 변수들이 생태환경요인들로 검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생태환경요인으로 배우자유무와 주택점유형태, 그리고 물리적 생태환경요인으로 거주지역의 세 변수를 검토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들은 문화적 자본 측정지표로는 종교, 종교모임 참여회수, 종교활동, 독서활동, 삶의 질[6][23][29][30]등의 변수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자본 요인으로 문화적 자본을 대표하는 변수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종교에 덧붙여 문화단체 참여여부 및 삶의 질 변수를 사용하고자 한다. 문화단체 참여자가 비참여자보다 그리고 삶의 질이 높을수록 문화적 자본의 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7][23].
  •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적 자본의 측정변수로는 네트워크, 호혜성규범, 신뢰, 참여기회, 공식적·비공식적 상호작용, 공동체 조직생활[17][18][20][21]등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측정변수로서 비공식 영역에서의 친인척, 친구, 이웃 등과의 상호작용 빈도를 가리키는 비공식적 상호작용과 조직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활동을 의미하는 공식적 상호작용의 두 변수를 검토하고자 한다.
  • 인적 자본의 구성요소로는 타고난 능력, 학력, 지식, 건강, 소득, 훈련, 직업, 현장학습 그리고 기술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학력, 소득, 건강의 세 변수가 인적자본의 대표적인 지표로 간주되고 있다[10]. 본 연구에서도 인적 자본의 지표로서 학력, 소득, 신체적 건강의 세 요인을 사용하여 인적 자본이 노인들의 자원봉사 참여여부와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원이론에서 제시하는 인적, 사회적 및 문화적 자본 요인 그리고 노화의 일반생태학이론에서 강조하는 생태환경 요인들이 노인자원봉사활동참여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경험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며, 종속변수인 노인자원봉사활동 변수로는 구체적으로 자원봉사 참여여부 및 지속적 자원봉사 참여의도의 두 변수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노인자원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한편, 실무적 차원에서 노인자원봉사활동 증진을 위한 정책적 방안의 수립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배우자가 있는 노인이 배우자가 없는 노인보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확률이 더 높을 것이다.
  • 가설4. 생태환경요인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경제적 자본이 상대적으로 실체가 분명한 물질적인 대상들을 지칭하는 개념인데 반해서 문화적 자본은 실체가 분명치 않는 비물질적 대상을 의미한다. 셋째, 문화적 자본은 은폐되어 있다. 경제적 자본은 즉각적으로 계산이 가능하지만, 문화적 자본은 종종 은폐된 형태로 존재하고, 넷째, 문화적 자본은 비전유성의 특성을 갖는다.
  • 2. 임대거주노인이 자가 거주노인보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할 확률이 더 높을 것이다.
  • 문화적 자본은 경제적 자본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28]. 첫째, 문화적 자본은 지속적이다. 경제적 자본은 어느 한 순간에 상실할 수 있지만, 문화적 자본을 습득하게 된 최초의 조건들은 그 개인 자신이 출생한 가정이나 지역을 떠난 후에도 좀처럼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남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인구 비율의 증가로 어떠한 문제들이 나타나나요? 우리나라 노인들의 상당수는 수입감소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노화에 따른 건강상태의 악화, 노년기의 무위와 무료, 사회생활의 단절로 인한 소외와 고독감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노인인구 비율의 증가로 인해 사회적으로도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노인부양 및 보호문제,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로 의한 사회와 경제활력의 저하, 의료 및 연금을 비롯한 사회보장비용 증대 등을 들 수 있다[2].
노인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은 무엇인가요? 노인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은 자원이론이다. 이 이론은 노인자원봉사활동 영향요인으로 인적, 사회적 및 문화적 자본 혹은 자원의 세 요인을 제시하고 있다[5][6].
자원이론은 노인 자원봉사활동 영향요인으로 무엇을 제시하고 있나요? 노인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은 자원이론이다. 이 이론은 노인자원봉사활동 영향요인으로 인적, 사회적 및 문화적 자본 혹은 자원의 세 요인을 제시하고 있다[5][6]. 한편, 자원이론과는 별개로, 최근에 노인자원봉사활동 영향요인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자주 언급되고 있는 노화의 일반생태학이론은 개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생태환경요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10-2060), 통계청, 2011 

  2. 허성호, 김종대, "2006년 고령화 패널조사에 나타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다차원적 영향 분석", 한국노년학, 제31권, 제2호, pp.417-418, 2011. 

  3. J. W. Rowe and R. H. Kahn, Successful Aging, New York: Dell Publishing a Division of Random House, 1998. 

  4. 서경석, 신노년문화와 노인자원봉사, 노인복지 현장라운드 테이블, 제4회 서울노년학 국제심포지움, 서울, 한국, 2009. 

  5. J. Wilson and M. Musick, "Who cares? Toward an integrated theory of volunteer work,"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62, pp.694-713, 1997a. 

  6. J. Wilson, "Volunteering,"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6, pp.215-240, 2000. 

  7. 이현기, "노인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생태환경변수의 효과: 노화의 일반생태학이론을 적용하여", 한국노년학, 제32권, 제3호, pp.777-800, 2012a. 

  8. T. W. Schultz,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merican Economic Review, Vol.51, 1961. 

  9. L. R. Fisher and K. B. Schaffer, Older volunteer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1993. 

  10. J. Mincer, "Economic development, growth of human capital and the dynamics of the wage structure," Journal of Economic, Vol.1, pp.29-48, 1995. 

  11. B. Burtica, R. Johnson, and S. Zedlewski, "Volunteer dynamics of older American,"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4B, pp.644-655, 2009. 

  12. J. Kim, J. H. Kang, M. A. Lee, and Y. Lee, "Volunteering among older people in Korea,"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Vol.62B, No.1, pp.S69-S73, 2007. 

  13. 이현기, "생산적 노화활동으로서 노인자원봉사 활동: 인적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45권, pp.317-346, 2009. 

  14. 김창석, 최수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활동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4호, pp.315-326, 2012. 

  15. M. Musick, A. Herzog, and J. House, "Volunteering and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finding from a national sample," Journal of Gerontology, Vol.54B, pp.S173-S180, 1999. 

  16. 이현기, "노인자원봉사활동과 사회자본: 사회자본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0권, pp.263-290, 2010. 

  17. R. D. Putnam, "Bowling alone: American'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a. 

  18. 박희봉, 이희찬,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분석: 경제.사회적요인가? 사회자본 요인인가?", 한국행정논집, 제17권, 제3호, pp.709-728, 2005. 

  19. J. D. Smith and J. A. Macaulay, Participation in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San Francisco: Jossey-Bass, 1980. 

  20. J. E. Inouye, Effect of institutional trust on formal and informal volunteering, Conference Papers-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pp.1-22, 2007. 

  21. 소진광, "성남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성남발전연구소, 제3권, pp.75-117, 2003. 

  22. 김지혜, 정익중, "기부행동과 자원봉사활동은 중복적 보완관계인가? 보충적 대체관계인가?", 한국비영리연구, 제64권, 제2호, pp.133-158, 2012. 

  23. F. Tang, "What resource are needed for volunteering?," The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Vol.25, No.5, pp.375-390, 2006. 

  24. 박용순, 송진영, 황치정, "전문직 은퇴자 및 은퇴 예정 남성의 자원봉사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원, 자원봉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노인복지연구, 제56권, pp.33-60, 2012. 

  25. 김성경, "사회적 자본요인 및 자원봉사활동 요인이 평균이상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1권, 제3호, pp.317-337, 2009. 

  26. M. A. Musick, J. Wilson, and W. B. Bynum, "Race and formal volunteering :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lass and religion," Social Force, Vol.78, No.4, pp.1539-1571, 2000. 

  27.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pp.241-258, 1986, edited by John G. Richardson, Westport: Greenwood Press, 1986. 

  28. 장미혜, "사회계급의 문화적 재생산: 대학 간 위계서열에 따른 부모의 계급 구성의 차이", 한국사회학, 제36권, 제4호, pp.223-251, 2002b 

  29. 박수범, "한국에서의 개인기부에 대한 요인분석: 설문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비영리연구, 제5권, 제1호, pp.137-162, 2006. 

  30. 이현기, "일반노인 시간자원봉사의 특징: 평균시간과 개인자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4권, pp.87-411, 2011 

  31. 김태현, 노년학, 교문사, 2007. 

  32. M. P. Lawton and L. Nahemow, An ecological theory of adaptive behavior and aging: In C. Eisdorfer & M.P. Lawton(Eds.), The Psychology of Adult Development and Aging,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p.657-667, 1973. 

  33. Y. Cvitkovich and A. Wister, "Bring in the life course: A modification to Lawton's ecological model of aging," Hallymn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Vol.4, No.1, pp.15-29, 2002 

  34. E. A. Greenfield, "Using ecological frameworks to advance a field of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on aging-in-place initiatives," The Gerontologist, Vol.52, No.1, pp.1-12, 2012. 

  35. 이현기, "노년기 생활환경과 중 고령자의 자원봉사활동: 현금기부 자원봉사활동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4호, pp.305-329, 2012b. 

  36. S. Y. Kim and G. S. Hong, "Volunteer participation and time commitment by older Americans,"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Research Journal, Vol.27, No.2, pp.146-166, 1998. 

  37. 이성록, "자원봉사행동에 대한 다차원적 동인의 영향력", 사회복지실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 연구센터, pp.215-274, 2002 

  38. H. W. Wahl and F. Oswald, Environmental perspectives on ageing, pp.111-124 in D. Dannefer and C. Phillipson(ed.), The Sage Handbook Of Social Gerontology,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2010. 

  39.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노인일자리사업 실태조사,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