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격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
Critical Discussion for Digital Divide Researc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1, 2014년, pp.657 - 666  

서형준 (인하대학교 글로벌 e거버넌스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의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은 정보화 사회를 모바일 환경이 중요시되는 스마트 사회로 변모시키고 있다. 단지 기술적 측면만이 아닌 사회 및 경제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야기할 정도로 정보화의 영향은 사회의 동인에 필수불가결한 요인이라 점은 어느 누구도 부정 할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ICT의 발전에 따른 부정적 영향도 간과할 수 없는데, 대표적으로 사회적 배제를 야기하는 정보격차 문제는 중요한 연구주제중 하나이다. 정보격차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이어지고 있으나 이들 연구는 주로 물리적 접근성에 초점을 두거나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근간으로 정보격차문제를 다루고 있다. 또한 기존의 정보격차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기술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지 못하여 오히려 정보격차해소를 대안으로써 많은 미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격차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논의를 확장시켜 새로운 정보격차 개념의 필요성에 대해 시론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ICT are turning information society into smart society which focus on mobile environment. The effect of ICT influence not only technical aspects but also societal and economic aspects. But we can't ignore the side effects of ICT, especially digital divide can cause social elimin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정보격차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에 대해 지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 정보격차 연구의 한계점 외에도 스마트 환경에 따른 새로운 정보격차의 등장에 주목하여, 새로운 정보격차 개념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보격차 연구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정보격차의 개념에 대한 시론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일반적인 소외계층에 대한 정보격차문제 역시 중요하지만 연구에서 제기한 정보격차의 개념을 새로 정립하여 새로운 정보격차로 다루어야할 필요가 있다.
  • 물론 이러한 기존의 정보격차 연구도 중요한 요소이며 해결해야할 과제이지만, 오늘날의 정보격차는 기존의 정보격차양상보다 매우 다차원적이고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정보격차 연구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에 대해 지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 정보격차 연구의 한계점 외에도 스마트 환경에 따른 새로운 정보격차의 등장에 주목하여, 새로운 정보격차 개념의 도입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접근성에 기반 하여 정보격차집단을 단일한 대상으로 한정시키는 기존의 정보격차의 개념을 넓혀서, 정보격차를 정보의 창출능력과 정보를 통한 가치창출 또한 정보격차문제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본다. 이를 도식화 하면 [그림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격차가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보화에 따른 다양한 역기능이 제기되고 있으나 정보격차가 가장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는 것은 정보사회로의 이행이 오히려 부의 편중을 부추기고 있기 때문이다. 정보사회에서는 지식과 정보가 자본이자 상품으로서 부의 새로운 근거가 되면서 신기술의 혜택을 받은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의 간격을 더욱 심화시키고, 이에 따라 경제적 양극화도 커져가고 있는 것이다.
확산이론의 입장에서는 정보격차를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첫째, 정보격차가 축소될 것이라는 확산이론의 입장이다. 이러한 입장은 정보기술의 낙관적 측면에 주목하고 있어, 정보격차를 사회문제로 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이 존재하더라도 정보화가 진전되면 자연스럽게 해결될 문제로 보았다. 이런 입장을 대표하는 학자들로는 정보기술의 도입으로 전혀 새로운 사회가 등장할 것이라고 보는 입장[9], 정보의 생성과 보급에 기초한 경제 시대에 살고 있음을 강조하는 입장[10], 정보의 접근성 여부에 따라 기존의 권력관계에 엄청난 변화가 일고 있음을 강조하는 입장[11], 현재 수많은 정보가 쏟아지고 있기 때문에 정보의 접근보다는 정보의 홍수로 인해 발생되는 심리적 불안감인 정보 불안이 문제라는 입장[12] 등이다.
미 상무부는 정보격차 실태보고서에서, 정보격차를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정보격차(Digital Divide)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1995년 뉴욕타임즈 저널리스트인 Gary Andrew Pole이 Schoolnet Programs라는 기사에서 처음으로 언급하면서 유래되었다. 미 상무부는 정보격차 실태보고서에서 정보격차를 “신기술에 접근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하는 집단 간의 격차, 정보접근능력을 가진 자 와 가지지 못한 자 사이의 분할”로 정의하였다. OECD보고서는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수준에 있는 개인, 가구, 기업, 지역들 간에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접근기회와 다양한 활동을 위한 인터넷 이용에서의 차이”로 정의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권기헌, 정보체계론, 나남출판, 2003. 

  2. 정충식, 전자정부론, 서울경제경영, 2012. 

  3. 이명진, 박기태, "정보격차 연구의 쟁점 변화와 그 함의", 정보화정책, 제16권, 제3호, pp.3-17, 2009. 

  4. 강월석, 양해술, "스마트융합시대 취약계층에 대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제10권, 제1호, pp.29-38, 2012. 

  5. 강홍렬, 차남경, 강상현, 김은미, 정보격차에 대한 사회경제적 함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2 

  6. 김은정,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세대통합형 지원 정책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1권, 제2호, pp.195-219, 2007. 

  7. 최두진, 고정현, 김은정, 장주병, 박세은, 정보격차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정보격차해 소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6. 

  8. 조정문, "정보격차에 대한 이해 및 해소 정책", 정보과학회지, 제19권, 제9호, pp.26-36, 2001. 

  9. N. Negroponte, Being Digital, New York : Knopf, 1995. 

  10. J. Naisbitt, Megatrends : Ten New Directions Transforming Our Lives, New York: Warner Books, 1982. 

  11. A. Toffler, Powershift : Knowledge, Wealth, and Violence at the Edge of the 21st Century, New York : Bantam Books, 1990. 

  12. R. S. Wurman, Information Anxiety: What to Do When Information does not Tell You What You Need to Know, New York : Bantam Books, 1989. 

  13. Heritage Foundation, How Free Computers Are Filling the Digital Divide, 2000. 

  14. T. Haywood, "Global networks and the myth of equality: Trickle down and trickle away? Loader, B. D.(ed.) Cyberspace Divide: Equality," Agency and Poli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London & New York: Routledge, pp.19-34, 1998. 

  1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 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16. 이승민, "미국 사회에서 스마트 기기가 정보격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2호, pp.29-52, 2012. 

  17. 한국정보보호진흥원, 민간기업 개인정보보호 매뉴얼,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8. 

  18. 조용완, 북한이탈주민의 정보빈곤 해소를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 pp.325-356, 2006. 

  19. 이상윤, 정명주, "다문화사회에서의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플랫폼 구축 연구",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pp.1685-1708, 2013. 

  20. 양혜영,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술기획 방법론",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2012. 

  21. 채승병, 안신현, 전상인, 빅데이터: 산업 지각변동의 진원, CEO Information 제851호, 삼성경제연구소, 2012. 

  22. 이원태, 김춘식, 고삼석, 신호철, 스마트 모바일 환경에서의 참여격차와 정책적 대응방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 

  23. K. Barzilai-Nahon, "Gaps and bits: Conceptualizing measurements for digital divide/s," The Information Society, Vol.22, No.5, pp.269-27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