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gital Divide Influence Factors of the Elderly: Comparison between Baby Boomer and Elderl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9, 2020년, pp.475 - 485  

임정훈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  이혁준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  이지훈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을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성별, 학력, 가구형태, 월소득, 이용동기, 이용태도, 이용성과, 정보지능사회에 대한 인식, 정보지능사회에 대한 불안감, 일상생활만족도, 사회적지지 등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8년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2017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55세 이상 장·노년층 23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성별, 학력, 이용동기, 이용 태도, 지능정보사회 인식,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세대는 가구형태, 지능정보사회 인식, 삶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관련 연구를 제고시키고, 함의 및 관련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baby boomer and elderly generation. Under this relationship, we investigated the age, education, family type, income, using attitude, using motivation, using outcome, cognition of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기존의 노년층 디지털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는 정보의 접근과 정보 활용에서의 격차 현상만을 보여주거나 인구사회학적 요인, 사회경제적, 심리적 요인 등을 단편적으로 살펴보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변수로 설정하여 이들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노년층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제언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지수의 영향요인을 알아보고,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디지털 정보격차의 영향요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고령화가 심해지고 있는 우리 사회의 현실에서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노년층의 디지털 정보화 정책을 어떻게 세분화하여 바라보고, 상황에 맞게 대비해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베이비붐 세대란 무엇을 말하는가? 일반적으로 베이비붐 세대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1946년부터 1964년 사이에 출생아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인구가 팽창하던 시대에 태어난 세대를 일컫는 말로 낀 세대 혹은 샌드위치 세대라고 불린다[19].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한국전쟁 이후 1955년부터 1963년까지 9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를 베이비붐 세대라고 부르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 전체인구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는 집단이다[20].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을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성별, 학력, 가구형태, 월소득, 이용동기, 이용태도, 이용성과, 정보지능사회에 대한 인식, 정보지능사회에 대한 불안감, 일상생활만족도, 사회적지지 등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8년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2017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55세 이상 장·노년층 23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디지털 정보격차란 무엇인가? 디지털 정보격차(Digital Divide)는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에 접근할 수 있어 그 정보를 소유할 수 있는 사람과 정보를 소유할 수 없는 사람과의 차이가 심화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1998년 NTIA(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의 보고서에 등장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용어이다[6]. 초기 디지털 정보격차의 의미는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물리적 접근을 중심으로 정의하였는데 Dijk는 디지털 접근성에는 다면적인 특성이 있으며 디지털 정보격차가 PC, 스마트기기, 네트워크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는 정보격차가 해소되지 않는다고 보았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N. Selwyn, "Reconsidering political and popular understandings of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Vol.6, No.3, pp.341-362, 2004. 

  2. K. Lee,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Informatization and Quality of Life. Locality and Glob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26, pp.213-237, 2000. 

  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2018. 

  4. 주경희, 김동심, 김주현, "노년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성별에 따른 차이분석과 예측변인 탐색," 사회복지정책, Vol.45, No.2, pp.95-121, 2018. 

  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2018, 2019. 

  6. M. Warschauer, "Digital Divide," Encyclopedi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 3rd Ed., Tayloer & Francis, pp.1551-1556, 2010(3). 

  7. J. V. Dijk, "A Framework For Digital Divide Research," The Electronic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2, No.1&2, pp.1-7, 2002. 

  8. P. DiMaggio and E. Hargittai, From the 'Digital Divide' to 'Digital Inequality': Studying Internet Use as Penetration Increases, Working Papers 47, Princeton University, Woodrow Wilson School of Public and International Affairs, Center for Arts and Cultural Policy Studies, 2001. 

  9. OECD,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2001. 

  10. M. S. Eastin, V. Cicchirillo, and A. Mabry, "Extending the Digital Divide Conversation: Examining the Knowledge Gap Through Media Expectanci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59, No.3, pp.416-437, 2015. 

  11. K. E. Pearce and R. E. Rice, "Somewhat Separate and Unequal: Digital Divides, Social Networking Sites, and Capital-Enhancing Activities," Social Media + Society, pp.1-16, 2017(6). 

  12. 송효진, "질적 정보격차와 인터넷 정보이용의 영향요인 고찰,"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18권, 제2호, pp.85-116, 2014. 

  13. B. B. Neves, F. Amaro, and J. R. Fonseca, "Coming of (old) age in the digital age: ICT usage and non-usage among older adults," Sociological Research Online, Vol.18, No.2, pp.22-35, 2013. 

  14. M. Haight, A. Quan-Haase, and B. A. Corbett, "Revisiting the digital divide in Canada:The impact of demographic factors on access to the internet, level of online activity, and social networking site usage,"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Vol.17, No.4, pp.503-519, 2014. 

  15. P. B. Brandtzæg, J. Heim, B. H. Kaare, T. Endestad, and L. Torgersen, "Gender differences and the Digital Divide in Norway-Is there really a Gendered Divide?," The International Childhoods Conference: Children and Youth in Emerging and Transforming Societies, 2005. 

  16. K. H. Ju, D. S. Kim, and J. H. Kim,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and Exploration of Predictive Variables in Information Gaps in Elderly,"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2018, No.6, pp.443-463, 2018. 

  17. E. H. Hwang, S. J. Shin, and D. Y. Jung, "A Study of the Pattern of Elderly's Internet Usag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5, No.1, pp.118-128, 2011. 

  18. B. S. Kim and J. M. Kim, "A Study on Digital Divide Trigger Factor of Older People: focu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ocial Science Researches, Vol.35, No.2, pp.193-222, 2009(8). 

  19. 김영민, 베이비붐세대의 인구학적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0. 김정미, 엄기욱, "베이비붐 세대의 가족특성이 경제적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6권, 제4호, pp.197-221, 2014. 

  21. 김백수, 이정화, "중년층의 사회적 노후준비 결정요인분석: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 생활과학회지, 제21권, 제3호, pp.411-425, 2010. 

  22. 정경희, 이소정, 이윤경, 김수봉, 선우덕, 오영희, 김경래, 박보미, 유혜영, 이은진,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연구보고서, 2010. 

  23. 임희섭, 한경구, 한준, 조은, 최석만, 민문홍, 함재봉, 함인희, 조대엽, 박성길, 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관, 서울:나남출판사, 2002. 

  24. 정순둘, 김성원,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의 신체적 노후준비 영향요인," 노인복지연구, 통권 59호. pp.237-256, 2013. 

  25. 김태호, 기영화, "베이비부머 예비은퇴자의 관계에 중심한 성공적 노화의 의미-기업체 CEO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64, pp.105-136, 2014. 

  26. 박성준,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기반 복합노인복지시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