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지역아동센터의 운영주체별 급식 실태
Food Service Status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Busan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0 no.1, 2014년, pp.50 - 62  

이정숙 (고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od service status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Busa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2012 to November 30, 2012 using questionnaires. Overall, 66.7% of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had a separate dining room. The satisfaction sc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운영주체의 특성에 따라 인적구성이나 규모, 프로그램 운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급식실태에도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현황 파악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어,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의 급식 현황을 운영주체별로 조사하였고, 지역아동센터의 급식운영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방법을 논의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아동센터에서는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가? 지역아동센터에서는 아이들이 심리ㆍ정서적 안정을 찾고 일상생활 및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며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보호, 교육, 문화, 복지, 지역사회 연계 프로그램 등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가 제공되며,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b). 가정 내 돌봄이 불충분한 환경을 고려해 볼 때 지역아동센터에서는 체계적인 영양관리와 균형잡힌 식사 제공으로 이용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도우며, 신체발달 뿐만 아니라 심리ㆍ정서적 발달을 담당할 수 있어야 한다.
식사장소에 대한 만족도 점수가 낮은 것으로 보이는 원인으로 무엇이 제기되는가? 95점에 불과하여 식사공간이 확보는 되어있으나 시설이 미흡한 곳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아동센터 시설기준(아동복지법 시행규칙 제 11조)이 ‘사무실, 조리실, 식당 및 집단지도실을 각각 갖추되, 해당 시설을 모두 합한 면적이 전용면적 82.5 m2 이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식당 시설을 갖추지 않아도 무방한 것에도 원인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규모를 갖춘 지역아동센터는 법인화 추세에 있으므로 운영주체가 법인인 경우 식당 확보율도 높고 주방시설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식당이 확보되지 못한 지역아동센터는 교실에서 급식이 이루어지므로 위생관리 문제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많으므로 위생ㆍ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역아동센터는 어떤 목적으로 설립되었는가? 지역아동센터는 빈곤지역의 아동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설립된 공부방으로부터 시작되어, 빈곤 및 취약계층의 욕구에 부응하고 아동의 권리보호,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방임아동에 대한 부모 역할 대행 등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양육기능의 사회적 책임에 부응할 목적으로 신설된 아동복지시설이다. 신설초기인 2004년에는 895개소였던 지역아동센터가 현재 3,985개소 운영되고 있으며, 104,982명의 아동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ommunity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2010): A survey of service satisfaction of the local child care center. Seoul. pp.62-113 

  2. Ju SK (2005): A study on operation and development method of local childcare center. Masters degree thesis. Hanil University &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pp.10-28 

  3. Jung HJ, Moon SJ, Lee LH, Yu CH, Paik HY, Yang IS, Moon HK (1997):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menus on its contents and diversity of the food served. Korean J Nutr 30(7):854-869 

  4. Kant AK, Schatzkin A, Block G, Ziegler RG, Nestle M (1991): Food group intake patterns and associated nutrient profiles of the US population. J Am Diet Assoc 91(12):1532-1537 

  5. Kim ES (2007a): A study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free feeding system for poorly-fed children in Gangwon province.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Gangwon. pp. 139-165 

  6. Kim HJ, Yoon JS (2010): Food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Kyungboo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3):297-307 

  7. Kim JJ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management status of meal systems and satisfaction reaearch-focused on Gyeong-gi Province, Korea-. Masters degree thesis. Konkuk University. pp.23-60 

  8. Kim MS (2007b): Status on foodservice program for low-income children.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Seoul. pp.127-193 

  9. Kim MS, Cho AJ, Bae WO, Choi HS, Hong M, Kim HJ (2007): Actual conditions of child poverty and supporting measures in Korea.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Seoul. pp.52-61 

  10. Kim SY, Yang IS, Yi BS, Baek SH, Shin SY, Lee HY, Park MK, Kim YS (2011): Child-care facility and kindergarten's demands on foodservice support by center for child-care foodservice management (CCFSM)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J Community Nutr 16(6):730-739 

  11. Kong CS (2008): A study on operation evaluation and development method of local child care center. Ph.D thesis. Chung- Ang University. pp.25-64 

  12. Kook SJ, Rho JO (2009): Survey on internal facilities and sanitary manag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in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5):1135-1145 

  13. Kwon S, Lee K, Yoon J (2010): Diet of children under the government-funded meal support program in Korea. Nutr Res Pract 4(6):515-521 

  14. Kwon SY, Lee YM, Kim SY, Kim JY, Yoon JH (2012): Assessment of the support program of foodservice management for community child centers in Jeollanam-do,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1):91-100 

  15. Lee JS (2005): A study of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social welfare function performance evaluation. Masters degree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pp.73-76 

  16. Lee KM (2010): A study on foodservice manage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childcare centers. Masters degree thesis. Dongguk University. pp.20-34 

  17. Lee MS, Lee JY, Yoon SH (2006): Assessment of foodservice management performance at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1(2):229-239 

  18. Lee YJ (2003): A comparative study on sanitary practices and perception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 hospital and industry food service in the Inchon area. J Korean Diet Assoc 9(1):22-31 

  19. Lim JH, Kim HA, Jung HY (2013): A study on the hygiene practices of foodservice employees by hygiene education and work environment in the 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19(3):209-222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a): An actual condition survey of the local child care center. Seoul. pp.3-75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b): 2012 management manual for community child care center. Seoul. pp.9-147 

  22. Nam KH, Kim YM, Lee GE, Lee YN, Joung H (2006):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behaviors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of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1(2):172-179 

  23. Park HY (2008): A study on the operating status and activity plans of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Masters degree thesis. Cheongju University. pp.40-41 

  24. Rho JO, Lee EP, Lee JS (2009): Assessment of food 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various types of foundations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5(1):74-83 

  25. Seo SH, Yun NR (2011): Foodservice management and food safety knowledge and practices of employees in elderly welfare facilities. J Korean Diet Assoc 17(3):287-301 

  26. Song ES, Kim EG (2009): A surve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system of the child care centers in Chungnam Asa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4(6):846-8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