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 급식시설 운영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the Management of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7 no.4, 2017년, pp.459 - 472  

박숙현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정현아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to help organize improvements in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itation management items and the management of foodservice facilitie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73 participants in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지역아동센 터의 구체적인 급식실태 조사를 통해 센터 내에서 급식 운영 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육 자료,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 지역아동센터 급식위생 및 안전교육에 참가한 지역아동센터 관리자를 대상으로 센터의 급식시설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나타난 급식시설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보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아동센터의 역할은? 저소득 가정의 아동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아동급식사업은 2000년에 아동급식(석식)사업을 시작으로 2004년 이후 학기 중 평일 중식지원은 교육청에서, 학기 중 토․일․공휴일 중식지원과 조․석식 지원은 지방자치 단체에서 지원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a). 지역아동센터는 지역 내 빈곤․학대․방임가정, 한부모․조손․소년소녀가정, 맞벌이․이혼가정의 아동, 다문화가정 아동 등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을 찾아 보호하고 지원하며, 지역사회 안에서 아동의 권리보장과 안전한 보호 및 급식지원으로 결식을 예방하여 취약계층 아동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b).
아동급식사업의 평일 중식은 어디서 지원하는가? 저소득 가정의 아동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아동급식사업은 2000년에 아동급식(석식)사업을 시작으로 2004년 이후 학기 중 평일 중식지원은 교육청에서, 학기 중 토․일․공휴일 중식지원과 조․석식 지원은 지방자치 단체에서 지원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a). 지역아동센터는 지역 내 빈곤․학대․방임가정, 한부모․조손․소년소녀가정, 맞벌이․이혼가정의 아동, 다문화가정 아동 등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을 찾아 보호하고 지원하며, 지역사회 안에서 아동의 권리보장과 안전한 보호 및 급식지원으로 결식을 예방하여 취약계층 아동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b).
2015년 12월말을 기준으로 급식을 실시하는 센터 현황은?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Ministry of Health &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6) 에 따르면 2015년 12월말을 기준으로 지역아동센터는 전국에 4,102개소가, 대구․경북지역은 전체 459개소(11.2%)가 설치 되어 있으며, 이 중 대구 200개소(43.6%), 경북 259개소(56.4%) 가 설치되어 있다. 급식을 실시하는 지역아동센터는 총 4,083 개소(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HJ, Lee HY, Ryu K (2009) Field assess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5(3): 283-296. 

  2. Gwak SH (2013) Food service practices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Daegu. M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Daegu. pp 11-34. 

  3.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7) https://www.icareinfo.go.kr/NEW_USR_main.asp??SIDO/SIDOMAIN/map. Accessed March 11, 2017 

  4. Jung HA, Kim AN, Joo NM, Paik JE (2011)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anatition managerment within childcare center foodservice facilities in Gyeongbuk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3): 385-391. 

  5. Jeong SH (2009) Status of HACCP training in food service and understanding of the employees for HACCP program.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pp 55-57. 

  6. Kim JJ (2012) A Study on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management status of meal systems and satisfaction research.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pp 53-56. 

  7. Kim JY (2008) Study on the foodservice management of child-care center in Dongjakgu. MS Thesis Dankuk University, Gyeonggi. pp 40-41. 

  8. Kim Y (2010)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n food hygiene, safety for employee food service industry.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pp 30-31. 

  9. Ku HW, Kon SI, Lee SJ (2016) Study on the experience of intervention in child poverty among workers in local community children centers - The tension between a mother's heart and a facilitator's heart. Korean J Family Welfare 21(2): 251-276. 

  10. Kwon SY, Lee YM, Kim SY, Kim JY, Yoon JH (2012) Assessment of the support program of foodservice management for community child centers in Jeollanam-do,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7(1): 91-100. 

  11. Kwon SY, Yeoh YJ (2015) Status of meal serving and nutritional quality of foods served for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2): 352-362. 

  12. Lim JG, Park HS, Chung IJ (2015) Functions and roles of community child center recognized by practitioners. Korean J Social Welfare 67(2): 285-310. 

  13. Lee JS (2014) Food service status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in Busan. J Korean Diet Assoc 20(1): 50-62. 

  14. Lee KE, Lee EJ, Lee CW (2014) Study on the regional types based on supply and demand of child welfare center. J Korean Society Child Welfare 48: 119-145. 

  15. Lee SE, Shim JE, Kwon SY, Yeoh YJ, Yoon JH (2014) Recommendation of serving size of the meal service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9(4): 361-371. 

  16. Lee MK (2013) A study on the job satistsction level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workers. MS Thesis Mokpo University, Jeonnam. pp 12-45. 

  17. Lim JH, Ryu HK (2012) Nutrition status an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mong elementary students attending community child center in Dong-gu, Ulsan.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3(3): 277-289. 

  18. Lee JM (2009)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working-level employees in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e case of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pp 71-91.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2) Report of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2012.12). Seoul. pp 5-82.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3) Management manual for community child care center. Seoul. pp 5-79. 

  2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 Food Sanitation Law. http://www.moleg.go.kr. Accessed January 3, 2014.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5) Report of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2014.12). Seoul. pp 5-78. 

  2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a) The child welfare program guide. pp 127-131. 

  2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b)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program guide. p 19.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6) Report of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2015.12). Seoul. pp 5-80. 

  26. Moon YJ, Kim JH (2017)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apability, psychological capital and career-related continuous learning on the job performance among practitioners of child welfare centers. Korean J Social Welfare studies 48(1): 113-141. 

  27. Na MH, Lee YH, Lee HY (2014) Conditions of toothbrush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The case of local children's centers. J Korean Academy Dental Hygiene 16(2): 81-87. 

  28. Song YJ, Bae HJ (2013)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at general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1): 63-71. 

  29. Sung MY, Suh YS (2006)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 care-social workers working at community child centers. Korean J AfterSchool Child Education 5(1): 49-65. 

  30. You SB, Kim HJ (2015) Career, job-related hope and design plans for the future of youth using community child center-Focusing on focus group interviews-. J Youth Welfare 17(4): 287-3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