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적으로 가뭄 재해가 증가함에 따라 최근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 연구는 대부분 실제 사례와의 연계성이 낮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지역적 분석을 실시하고, 영상 자료와 표준강수지수(SPI) 및 실제 가뭄 사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국내 주요 가뭄(2001년, 2008-2009년)을 대상으로 각각 동두천과 태백 지역을 선정하였다. 8일 간격의 $0.05^{\circ}$ 공간해상도 MODIS DSI (Drought Severity Index)를 이용하여 SPI 및 수위 자료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두천의 경우 6개월 DSI는 30일 SPI와 0.71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태백 지역의 6개월 DSI와 90일 SPI의 상관성은 0.40을 보였다. DSI와 대상지역의 관측 저수위를 비교한 결과 6개월 DSI가 평균 65.7% 수준의 적중률을 보였다. 연구를 통하여 위성영상 자료 기반 가뭄지수인 DSI와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의 상관성을 부분적으로 제시할 수 있었으며, 실제 관측 자료와 비교를 실시한 결과 국내 연구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drought disasters are increased in the world, the need of study using satellite image data is on the rise. This study is conducted to analyze the drought in the region using satellite image,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actual drought c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두천 지역의 가뭄 기간인 2001년에는 봄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봄 가뭄의 경우 그 이전 해 강수량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가뭄 피해가 발생한 2001년뿐만 아니라 그 이전 해를 함께 살펴보았다. 태백 지역의 경우에도 2009년 주요 피해를 입었으나, 2008년 가을부터 강수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2008년부터 2009년까지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동안의 연구들은 대부분 광역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제 가뭄 피해와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지역적 분석을 실시하고, 지역의 실제 가뭄 사례와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Mu et al.
  •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개발된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전 지구적 가뭄지수인 DSI와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의 상관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적중률 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월 DSI가 평균 65.
  • 본 연구에서는 각 대상 지역의 1년 및 6개월 단위의 DSI와 수자원 가용량 자료인 수위 자료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중률 분석을 통하여 DSI 자료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동두천의 경우 동두천시의 북쪽에 위치한 한탄강의 전곡 수위관측소 자료를 적용하였으며, 태백은 지역 내 골지천의 상류에 위치한 광동댐 저수위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가뭄 연구를 위한 DSI 자료의 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상학적 가뭄지수 중 SPI를 선정하였다. McKee et al.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MODIS DSI 자료를 활용하여 시군구 수준의 지역단위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고, 대표적 가뭄지수인 SPI 및 지역의 수자원 가용량 자료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실제 가뭄 사례와의 상관성 분석 및 DSI 자료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위성영상 자료인 MODIS DSI를 활용하여 SPI 혹은 수자원 가용량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DSI 자료의 활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구온난화로 인해 가뭄의 빈도는 어떤 양상을 보이게 될 것인가? , 2010). 현재 전 세계에서 가뭄으로 인한 총체적인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지속적인 가뭄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Dai, 2011; KMA, 2012). 그러나 가뭄은 진행속도가 느리고 진행방향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예방하는 것이 쉽지 않다.
가뭄을 예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이유는? 현재 전 세계에서 가뭄으로 인한 총체적인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지속적인 가뭄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Dai, 2011; KMA, 2012). 그러나 가뭄은 진행속도가 느리고 진행방향을 파악하기가 어려워 예방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광역적 범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가뭄을 시·공간적으로 파악하는 등 가뭄을 정량화하고 대상 가뭄 지역의 특성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Wilhite and Glantz, 1985; Ryu et al.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가뭄지수가 존재하는데 대표적인 것들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가뭄지수(Drought Index)가 개발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가뭄을 정량화하려는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가뭄지수로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수문학적 가뭄지수인 파머가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와 지표수공급지수(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용수공급 가뭄지수(WAter supply Drought Index, WADI) 등이 있다. Dai(2011)는 1900년부터 2008년까지의 기후 자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PDSI 특성 및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아프리카 및 아시아 동쪽과 남쪽 지역 등이 가장 건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hn, S. R., Lee, J. W. and Kim, S. J. (2014). "Analysis of 2012 spring drought using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and satellite-based vegetation indices." KCID journal, KCID, Vol. 21, No. 1, pp. 78-88 (in Korean). 

  2. Anderson, M. C., Hain, C., Otkin, J., Zhan, X., Mo, K., Svoboda, M., Wardlow, B. and Pimstein, A. (2013). "An intercomparison of drought indicators based on thermal remote sensing and NLDAS-2 simulations with U.S. drought monitor classification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14, No. 4, pp. 1035-1056. 

  3. Bae, D. H. and Son, K. H. (2013). "Utilization of satellite data for drought monitoring." Disaster & Safety, NDMI, Vol. 15, No. 3, pp. 71-76 (in Korean). 

  4. Choi, M. H. and Kim, H. U. (2010).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ry in hydro-meteorological sec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0, No. 1, pp. 40-43 (in Korean). 

  5. Dai, A. (2011).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various forms of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during 1900-2008."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116, D12115, doi:10.1029/2010JD015541. 

  6. Dongducheon city (2002). The statistical year book of Dongducheon (in Korean). 

  7. Ji, L. and Peters, A. J. (2003). "Assessing vegetation response to drought in the northern Great Plains using vegetation and drought indic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Elsevier, Vol. 87, No. 1, pp. 85-98. 

  8. Kim, G. S. and Lee, J. W. (2011).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using the drought recor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 8, pp. 639-652 (in Korean). 

  9. Kim, M. S. and Moon, Y. I. (2014). "A study on target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4, No. 4, pp. 1117-1123 (in Korean). 

  10.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01). The 2001 great drought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Korean).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2). Development of hyd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ystem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Korean). 

  12.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vailable at: http://www.kma.go.kr/ (Accessed: April 15, 2015). 

  13. Lee, B. R., Sung, J. H. and Chung, E. S. (2015).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drought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8, No. 1, pp. 69-78 (in Korean). 

  14. Lee, J. H. and Lee, G. J. (2006). "Establishment of national drough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9, No. 3, pp. 29-36 (in Korean). 

  15. McKee, T. B., Doesken, N. J. and Klie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California, pp. 179-184. 

  16. McKee, T. B., Doesken, N. J. and Kliest, J. (1995).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cales." 9th AMS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Dallas, Texas. 

  17.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MOCT) (2002). Drought research report 2001 (in Korean). 

  18. Mu, Q., Heinsch, F. A., Zhao, M. and Running, S. W. (2007). "Development of a global evapotranspiration algorithm based on MODIS and global meteorology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Elsevier, Vol. 111, No. 4, pp. 519-536. 

  19. Mu, Q., Jones, L. A., Kimball, J. S., McDonald, K. C. and Running, S. W. (2009). "Satellite assessment of land surface evapotranspiration for the pan-Arctic domain." Water Resources Research, American Geophysical Union, Vol. 45, 09420, doi:10.1029/2008WR007189. 

  20. Mu, Q., Zhao, M. and Running, S. W. (2011). "Improvements to a MODIS global terrestrial evapotranspiration algorith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Elsevier, Vol. 115, No. 8, pp. 1781-1800. 

  21. Mu, Q., Zhao, M., Kimball, J. S., McDowell, N. G. and Running, S. W. (2013). "A remotely sensed global terrestrial Drought Severity Index."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94, No. 1, pp. 83-98. 

  22.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1999). NOAA's top global weather, water and climate events of the 20 th century, NOAA, Available at: http://www.noaanews.noaa.gov/stories/s334.htm (Accessed: June 5, 2015). 

  23. Numerical Terradynamic Simulation Group at the University of Montana (NTSG). Available at: http://www.ntsg.umt.edu/ (Accessed: April 10, 2015). 

  24. Oh, S. B., Kim, D. W., Choi, K. S. and Byun, H. R. (2010). "Introduction of east asian drought monitoring system." SOLA, Meteorological Society of Japan, Vol. 6A, pp. 9-12. 

  25. Orvos, P. I., Homonnai, V., Varai, A., Bozoki, Z. and Janosi, I. M. (2014). "Trend analysis of a new MODIS drought severity index with emphasis on the carpathian basin." IDOJARAS, Hungarian Meteorological Service, Vol. 118, No. 4, pp. 323-333. 

  26. Park, J. S. and Kim, K. T. (2009). "Evaluation of MODIS NDVI for drought monitoring : Focused on comparison of drought index."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KSIS, Vol. 17, No. 1, pp. 117-129 (in Korean). 

  27. Ryu, J. H., Lee, D. R., Ahn, J. H. and Yoon, Y. N.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ought indices for drought evalu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Vol. 35 No. 4, pp. 397-410 (in Korean). 

  28. Shin, S. C. and Eoh, M. S. (2004). "Analysis of drought detection and propagation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4, No. 2, pp. 61-69 (in Korean). 

  29. Sur, C. Y., Kim, K. J., Choi, W. J., Shim, J. H. and Choi, M. H. (2014). "Drought assessments using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in Korea; Southern region case in 201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4, No. 3, pp. 127-131 (in Korean). 

  30. Taebaek city (2009). Taebaek drought White Paper. 72-4220000-000039-01 (in Korean). 

  31. Taebaek city (2010). The statistical year book of Taebaek (in Korean). 

  32.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 Available at: http://www.wamis.go.kr/ (Accessed: May 7, 2015). 

  33. Wilhite, D. A. (2000). Drought: A Global Assessment (Volumes 1 and 2), Routledge Publishers, London. 

  34. Wilhite, D. A. and Glantz, M. H.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Taylor & Francis, Vol. 10, No. 3, pp.111-120. 

  35. Yang, B., Wang, Q., Wang, C., Wan, H., Yang, Y., Cha, Y., Le, C., Liu, X. and Li, J. (2010). "Drought monitoring in North China using HJ-1 satellite remote sensing data." Six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Digital Earth: Data Processing and Applications, SPIE, Vol. 7841, Washington. 

  36. Yoo, J. Y., Choi, M. H. and Kim, T. W. (2010). "The utilization of MODIS LST imagery for droughts monitoring in the Korean peninsula."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pp. 350-353 (in Korean). 

  37. Zhang, X. Q. and Yamaguchi, Y. (2014).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MODIS-derived Drought Severity Index (DSI) for monitoring the 2009-2010 drought over southwestern China." Natural Hazards, Springer Netherlands, Vol. 74, No. 3, pp. 2129-2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