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한 봄 가뭄 연구 - 소양강댐유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f Spring Drought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 - For the Soyanggang Dam Watershed -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4, 2015년, pp.145 - 157  

신형진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박민지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물환경연구소) ,  황의호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채효석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소양강댐 유역에서 발생한 가뭄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발생시 시공간적 가뭄상황이 파악 가능한 Terra MODIS 영상을 이용하여 소양강댐 유역의 가뭄분포 특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2010년 1월 1일에서 2015년 6월 30일까지의 250m 해상도인 MODIS product MOD13 16일 합성 영상을 수집하고 식생지수(NDVI)를 구축하였다.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식생상태지수(VCI)와 표준화된 표준정규 식생지수(SVI)를 이용하여 가뭄지역의 추정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뭄지역의 자료를 정보화하고 그 결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MODIS 자료의 이용은 시공간적 가뭄지역 탐지의 가능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5, drought was at the worst stage of devastation in Soyanggang Dam water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drought area around Soyanggang dam watershed by using Terra MODIS image because it has the ability of spatio-temporal dynamics. The MODIS indices, which included the enhanc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를 이용한 가뭄정도 파악이 아닌 위성영상으로 획득되는 식생정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가뭄을 평가하는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어느 지역의 식생상태는 가뭄에 의해 물공급이 원활하기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일반적으로 식생은 스트레스를 받게되어 식생의 활력도가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Terra MODIS 위성영상의 식생지수인 NDVI를 이용하여 Kogan(1995a)이 제안한 식생상태지수(Vegetation Condition Index, VCI)와 표준화된 표준정규 식생지수(Standardized Vegetation Index, SVI)을 이용하여 2010년부터 2015년까지의 봄기간 동안의 가뭄 지역을 댐유입량과 강수량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양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식생지수를 이용한 식생상태지수와 표준정규 식생지수를 이용한 가뭄지역 추출 기법을 기반으로 Terra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소양강댐 유역의 가뭄 위험지역을 구축하고 가뭄피해 지역의 공간적 범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Kogan(1995a, 1997)은 식생의 영향을 주는 기상요소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해 각 화소별로 동일기간의 NDVI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이용한 계산식을 제안하였다. VCI는 식생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기상조건으로 제한하였으며 식생의 활력이 최대를 보인다는 것은 최상의 기상조건이 주어졌음을 의미하고 반대로 식생의 양이 최소일 때는 최악의 기상조건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하였다(Shin and Kim, 2003; Shin and An, 2007).
  • Zijk의 표준편차는 1이고, 평균은 0의 값을 가지는 정규분포로 가정한다. 그러므로 Zijk의 확률 밀도 하수는 다음 식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뭄 평가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뭄지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11).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가뭄 평가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뭄지수인 파머가뭄심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수문학적 가뭄지수(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취수원, 농업용 저수지, 댐 등의 공급 또는 가용능력을 고려한 새로운 가뭄지수 WADI (Water Availability Drought Index) 및 표준 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등을 적용하여 가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인공위성 원격탐사 센서중, MODIS 자료의 장점은 무엇인가? 인공위성 원격탐사 센서중 MODIS 자료는 중위도 지방에서 하루 최대 4회 정도 획득이 가능한 높은 시간주기성과 250, 500, 1000m 의 다양한 공간해상도, 그리고 36개 밴드에 달하는 다중분광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지표와 대기 하층에서 발생하는 전지구적인 자연재해를 연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문에 최근 MODIS 위성 자료를 기반으로 지역 또는 지구규모의 다양한 자연재해와 이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식생지수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 2010). 식생상황을 위성자료로부터 파악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지표로서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는 식물의 잎이 가시영역대와 근적외 영역대에서의 반사율의 차이로서 식물의 활력도를 나타내며(Rouse et al., 1974),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 T.Y. 2003. Development of drought map based on climatic water balance using satellite data. Master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안태용. 2003. 위성자료와 기후학적 물수지에 의한 가뭄지도 개발.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Kogan, F.N. 1995a. Application of vegetation index and brightness temperature for drought detection. Advances in Space Research 15:91-100. 

  3. Kogan, F.N. 1995b. Drought of the late 1980s in the United States as derived from NOAA polar orbiting satellite data.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logical Society 76:655-668. 

  4. Kogan, F.N. 1997. Global drought watch from space.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8:621-636. 

  5. Kwon, H.J. 2006. Development of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drought assessment method based on SWSI(Surface Water Supply Index). Ph.D. Thesis, Konkuk University (권형중. 2006. SWSI 기반의 준분포형 수문학적 가뭄평가기법 개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Kwon, H.J., H.J. Lim and S.J. Kim. 2007. Drought assessment of agricultural district using modified SW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22-34 (권형중, 임혁진, 김성준. 2007.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농촌용수구역 단위의 가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22-34). 

  7. Kwon, H.J., S.C. Shin and S.J. Kim. 2005. Climatic water balance analysis using NOAA/AVHRR satellit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7(1):3-9 (권형중, 신사철, 김성준. 2005. NOAA/AVHRR 위성영상을 이용한 기후학적 물수지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7(1):3-9). 

  8. Park, J.S. and K.T. Kim. 2009. Valuation of MODIS NDVI for drought monitoring : focused on comparison of drought index.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17(1):117-129 (박정술, 김경탁. 2009. 가뭄모니터링을 위한 MODIS NDVI의 활용성 평가: 가뭄지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17(1):117-129). 

  9. Park, J.S., K.T. Kim, J.H. Lee and K.S. Lee. 2006. Applicability of multitemporal MODIS images for drought assess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4):176-192 (박정술, 김경탁, 이진희, 이규성. 2006. 봄 가뭄 평가를 위한 다중시기 MODIS 영상의 적용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4):176-192). 

  10. Park, M.J., H.J. Shin, Y.D. Choi, J.Y. Park and S.J. Kim. 2011. Development of a hydrological drought index considering water avail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3(6):165-170 (박민지, 신형진, 최영돈, 박재영, 김성준. 2011. 수자원 가용능력을 고려한 수문학적 가뭄지수의 개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3(6):165-170). 

  11. Peters, A.J., E.A. Walter-Shea, L. Ji, A. Vina, M. Hayes and M.R. Svoboda. 2002. Drought monitoring with NDVIbased standardized vegetation index. Photogra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8(1):71-75. 

  12. Rouse, J.W., R.H. Haas, J.A. Schell and D.W. Deering.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Proceedings of the Third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1 Symposium 301?317. 

  13. Shin, H.J., R. Ha, M.J. Park and S.J. Kim. 2010. Estimation of spa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DIS NDVI and Morton ET - for Chungju dam watershe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2(1):19-24 (신형진, 하림, 박민지, 김성준. 2010. MODIS NDVI와 Morton 증발산량의 관계를 이용한 공간증발산량 산정 기법 연구-충주댐유역을 대상으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2(1):19-24). 

  14. Shin, S.C. 1996. Estimation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through vegetation monitoring over wide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14(1):81-88. 

  15. Shin, S.C. and C.J. Kim. 2003. Application of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for drought detec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6(5):839-849 (신사철, 김철준. 2003. 우리나라에서의 가뭄 발생지역 판별을 위한 식생지수(NDVI)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6(5):839-849). 

  16. Shin, S.C., S. Jeong, K.T. Kim, J.H. Kim and J.S. Park. 2006. Drought detection and estimation of water deficit using NDV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2):102-114 (신사철, 정수, 김경탁, 김주훈, 박정술. 2006. NDVI를 이용한 가뭄지역 검출 및 부족수분량 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9(2):102-114). 

  17. Shin, S.C. and T.Y. An. 2007. Development of estimating method for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 (2):70-80 (신사철, 안태용. 2007.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한 광역증발산량의 산정방법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2):70-80). 

  18. HOOC. 2015. 06. 18. http://hooc.heraldcorp.om/view.php?ud201506180007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