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지역단위 교통사고예측모형 개발 - 서울시 행정동을 대상으로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requency Prediction Model by Administrative zone - A Case of Seoul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6, 2015년, pp.1297 - 1308  

홍지연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김정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교통안전법에 의해 지역교통안전기본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지자체별 맞춤형 교통안전시책 수립을 통해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대책 수립 및 역할분담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곧 지자체가 지역실정에 맞는 내실 있는 지역교통안전 정책을 실질적으로 주도하여 추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자체들이 가지고 있는 다면적인 특성에 부합되는 효율적인 교통안전정책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 교통사고를 예측하고 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교통사고 예측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자료 수집의 한계로 대부분 국가 또는 도시를 분석단위로 사고노출환경과 관련되는 사회경제변수들을 활용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는 이유는 교통사고 발생특성을 파악하여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대책을 발굴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보다 작은 지역단위인 행정동을 단위로 지역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사고 노출환경 측면의 사회경제적 변수 외 교통안전정책가가 제어할 수 있는 교통안전시설 및 정책변수를 모형에 반영하여 지역교통안전 정책 수립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모형개발 결과 사고노출환경 측면에서는 도로연장, 건축물 총 연면적, 버스전용차로 설치율, 교차로 및 횡단보도 개소수는 사고와 양(+)의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횡단보도예고 설치율, 과속방지턱 개소수 및 경찰인력에 의한 단속실적은 사고와 음(-)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local traffic safety master plan has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Traffic Safety Act. Each local government is required to establish a customized traffic safety policy and share roles for improvement of traffic safety and this means that local governments lea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는 이유는 교통사고 발생특성을 파악하여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대책을 발굴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보다 작은 지역 단위인 행정동을 분석의 단위로 하는 소규모 지역단위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사고노출환경과 관련된 사회경제변수외 지자체가 제어할 수 있는 교통안전시설 및 정책 변수를 모형에 반영하여 지역교통안전 정책 수립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2006)은 토지이용은 통행발생을 유발시키고 통행발생은 도로에 교통량으로 나타나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개념을 정립하였다. 또한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른 도로교통사고가 시계열적으로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Wier et al.
  • 본 논문은 대한토목학회 2014년도 정기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으로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보완하였습니다.
  • 본 연구에서는 0.2이상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수와 교통안전시설 및 정책적 변수를 교통사고의 특성규명 및 모형개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횡단보도 예고표시 설치율과 경찰인력에 의한 단속실적과 같이 상관계수값은 다소 낮은 편이나 상관관계의 99%의 유의확률이 확보된 변수는 모형 개발에 포함하여 단계 선택법을 적용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면서 다시한번 검토하였다.
  • 둘째, 정책제어가능 변수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을 수행하여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속방지턱이 사고감소요인으로 작용함을 알아보았으나, 어느 정도 규모의 설치가 적정한 것인지 부적절한 위치의 과속방지턱이 오히려 사고증가요인으로 작용한 사례는 없는지에 관해서는 살펴보지 못하였다. 이러한 미시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을 통해 소규모 지역 단위의 교통사고 발생특성을 파악하고, 교통사고 영향인자를 찾아내어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행정동 단위의 자료수집의 제약으로 본 연구에서 반영하지 못한 다음과 같은 사항을 향후 연구로 제안하고자 한다.
  • 2차 제거 대상은 도시고속도로4)상에서 발생한 사고이다. 본 연구의 핵심은 행정동 단위의 사회경제적인 특성, 도로 및 토지이용 특성, 교통안전시설 및 정책 특성이 교통사고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지역단위의 교통사고건수를 예측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고속도로에서의 사고는 도로구간별 특성에 따라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므로, 본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는 이유는 교통사고 발생특성을 파악하여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율적인 대책을 발굴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보다 작은 지역 단위인 행정동을 분석의 단위로 하는 소규모 지역단위 교통사고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사고노출환경과 관련된 사회경제변수외 지자체가 제어할 수 있는 교통안전시설 및 정책 변수를 모형에 반영하여 지역교통안전 정책 수립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 개발을 통해 소규모 지역 단위의 교통사고 발생특성을 파악하고, 교통사고 영향인자를 찾아내어 안전한 도시환경 조성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행정동 단위의 자료수집의 제약으로 본 연구에서 반영하지 못한 다음과 같은 사항을 향후 연구로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정책제어가능 변수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을 수행하여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속방지턱이 사고감소요인으로 작용함을 알아보았으나, 어느 정도 규모의 설치가 적정한 것인지 부적절한 위치의 과속방지턱이 오히려 사고증가요인으로 작용한 사례는 없는지에 관해서는 살펴보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경제변수란? 사회경제변수는 거시적 교통사고예측 모형 개발시 필수적으로 활용하는 변수로서,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사회․경제의 전반적인 변화는 교통사고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지역 특성에 따라 사회․경제 규모가 상이할 것이고 이는 통행패턴에 영향을 미치며 다시 교통사고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역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사회경제변수를 모형에 반영하여야 한다.
지자체별 맞춤형 교통안전시책 수립을 통해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대책 수립 및 역할분담이 강조되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우리나라는 교통안전법에 의해 지역교통안전기본계획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지자체별 맞춤형 교통안전시책 수립을 통해 교통안전 향상을 위한 대책 수립 및 역할분담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는 곧 지자체가 지역실정에 맞는 내실 있는 지역교통안전 정책을 실질적으로 주도하여 추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자체들이 가지고 있는 다면적인 특성에 부합되는 효율적인 교통안전정책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지역특성을 고려한 지역단위 교통사고를 예측하고 사고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교통발생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이 경제적 측면인 이유는? 또한 교통발생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경제적 측면이다. 지역의 경제적인 상태에 따라 활동성이 변화할 수 있고 이는 다시 교통발생량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dams, J. (1987). "Smeed's Law: Some Further Thoughts." Traffic Engineering and Control, Vol. 28, No. 2, pp. 70-73. 

  2. Box, G. E. P. and Cox, D. R. (1964). "An analysis of transformation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Methodological), Vol. 26, No. 2, pp. 211-252. 

  3. Jin, C. J., Lee, H. S. and Choo, S. H. (2012). "Developing trip generation models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A Case for Seoul, Ko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 73, pp. 131-143 (in Korean). 

  4. Jung, J. S. and Hwang, U. G. (2010). "A macro-level study on the cause of homicide rate: Nationwide Analysis Using Spatial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riminology, Vol. 22, No. 1, pp. 157-184 (in Korean). 

  5. Jung, K. S., Moon, T. H., Jung, J. H. and Huh, S. Y. (2009).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 of urban crim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2, No. 1, pp. 12-25 (in Korean). 

  6. Kang, B. S. and Kim, G. S. (2001). Social Science statistical analysis, Datasolution Inc (in Korean). 

  7. Kim, H. S. (1987). Methoden zur Beschreibung des Unfallgeschehens-Versuch eines Vergleichs Zwisch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der Republik Kore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rlsruhe, Karlsruhe, Germany. 

  8. Kim, T. H., No, J. H. and Oh, Y. T. (2010). "Development of trip generation type models toward traffic zone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2, No. 4, pp. 93-100 (in Korean). 

  9. Ko, W. K. (2011). Data Analysis of Social Science by data entering per step by SPSS, Kyungmoonsa Inc(in Korean). 

  10. Kwon, K. D. (1993). A Study on Development of Forecasting Model for Traffic Accident in Seoul, Master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in Korean). 

  11. Lee, H. S. (2010). SPSS 10.0's manual, Bobmunsa Inc (in Korean). 

  12. Lee, S. Y., Lee, J. H. and Hwang, M. J. (2007). "Studies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Vol. 12, pp. 1-22 (in Korean). 

  13. Markowitz, F., Sciortino, S., Fleck, J. L. and Yee, B. M. (2006). "Pedestrian countdown signals: Experience with an Extensive Pilot Installation."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ITE Journal, Vol. 76, No. 1, pp. 43-48. 

  14. Park, J. T. (2011a).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forecasting models considering urban-transportation system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Society, Vol. 29, No. 6, pp. 39-56 (in Korean). 

  15. Park, J. Y. (2011b). Development of Macroscopic Traffic Accident Analysis Model by Regional Characteristics,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in Korean). 

  16. Pulugurtha, S. S. and Pasupuleti, N. (2010). "Assessment of link reliability as a function of congestion component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36, No. 10, pp. 903-913. 

  17. Smeed, R. J. (1949). "Some statistical aspects of road safety research."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General), Vol. 112, No. 1, pp. 1-34. 

  18. Sung, T. J. (2011). Easy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AMOS, Hakjisa corp (in Korean). 

  19. Wedagama, D. M. P., Bird, R. N. and Metcalfe, A. V. (2006). "The influence of urban land-use on non-motorised transport casualtie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38, No. 6, pp. 1049-1057. 

  20. Wier, M., Weintraub, J., Humphreys, E. H. Seto, E. and Bhatia, R. (2009). "An area-level model of vehicle-pedestrian injury collisions with implications for land use and transportation planning."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41, No. 1, pp. 137-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