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해수의 질소:인의 비
Seawater N/P ratio of the East S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0 no.4, 2015년, pp.199 - 205  

이동섭 (부산대학교 해양학과) ,  노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관측.자료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양에서 질소와 인은 해양의 주된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원소이다. 우연히도 대양 해수의 N/P 비는 16이란 상수를 보이며, 질산염아질산염몰농도인산염의 몰농도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해양내부의 생태계 역학과 생지화학적 순환 이해에 아주 유용하게 쓰여왔다. 동해는 독자적인 해수연직순환 체제를 보유한 작은 대양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적절한 반응시간과 연구를 위한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기후변화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기에 적합하고 N/P 비를 이용하여 기후변화에 관련된 환경변화에 관한 논문이 최근에 자주 발표되고 있다. 그런데 인용되는 N/P비는 논문마다 달라서 해석에 혼선을 빚기도 하므로 기존의 영양염 자료 가운데 자료의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자료를 선별해서 동해 N/P비의 대표값을 찾아 보았다. 2000년도를 기준으로 동해 전체를 대상으로 계절적 수온약층 아래의 수심이 300 미터를 넘는 해수의 N/P는 $12.7{\pm}0.1$로 괄목할 만하게 좁은 범위로 나타났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한 새로운 N/P 비 값이 제시되기 전까지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값이 사용되어 상이한 N/P 비로 인한 생지화학적인 순환과 생태계 반응에 대한 해석에서 혼선이 최소화 되기를 희망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ogen and phosphorus are the limiting elements for growth of phytoplankton, which is a major primary producer of marine ecosystem. Incidentally the stoichiometry of N/P of ocean waters, measured by the (nitrate + nitrite)/phosphate ratio converges to a constant of 16. This characteristic ratio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록 동해는 북서태평양의 소규모 지중해이지만 기후변화의 관점에서는 역동적인 ‘작은 대양’이라 불리는 매력적인 천연 실험실이기 때문에 동해 특이적 현상과 전 지구 변화와의 관련성은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당위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궁극적으로는 낮은 N/P 비가 동해에서만 특이적인 해양학적 현상들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를 논의하여 동해 연구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Table 1에 보인 바와 같이 각기 다른 N/P 비값을 사용하여 왔으며 권장한 N/P 비 대표값으로 대체할 경우에 기존 논문의 결과와 결론이 상당 부분 달라질 수도 있다. 이 노트의 목적은 기존 논문에 대한 수정 요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금부터라도 미래에 수정 가능한 대표값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과학이 확보하고자 추구하는 속성 가운데 하나인 객관성을 확보하는데 훨씬 유용하다는 점을 강조하려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해 해수의 N/P 비는 얼마인가? (2012)의 Table 1에 최근의 자료를 추가한 것이다. 동해 전체에 대한 N/P 비는 11.40-14.70의 범위로 발표되었으며 이는 모두 Redfield 비인 16보다 현저하게 낮다. 하지만 자료의 범위는 상당히 넓은 편이어서 참값 또는 대표값은 얼마인가 하는 질문이 제기된다.
해양에서 질소와 인은 무엇인가? 해양에서 질소와 인은 해양의 주된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원소이다. 우연히도 대양 해수의 N/P 비는 16이란 상수를 보이며, 질산염과 아질산염의 몰농도를 인산염의 몰농도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동해의 N/P 비를 설명하는 가설 중 해수순환 가설은 이를 어떻게 설명하는가? 또 다른 가설은 동해의 해수순환 특성에서 추출할 수 있다. 동해가 ‘작은 대양’이라 불리게 된 결정적인 특징인 남북연직순환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은 Ocean Conveyor Belt보다 훨씬 느린 편이지만 동해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대양의 1,000년 규모에 대비해서 100년 규모로 순환의 시간 규모는 훨씬 작다. 남북연직순환이 표층의 해수를 심해로 직접 내려 보내기 때문에 표층 해수의 N/P 비가 심해의 N/P 비를 조절하게 된다. Kim and Kim (2013)은 동해 표층 해수의 N/P 비가 통상 Redfield 비보다 훨씬 작음(< 10; Table 1 참조)을 직시해서 남북연직순환이 동해 내부의 N/P 비특성을 지배한다고 설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rrigo, K.R., 2004. Marine microorganisms and global nutrient cycles. Nature, 437: 349-355. 

  2. Boyle, E.A. and J.M. Edmond, 1975. Copper in surface waters south of New Zealand. Nature 253: 107?109. 

  3. Chen, C.-T.A., G.C. Gong, S.-L. Wang, and A.S. Bychkov, 1996. Redfield ratios and regeneration rates of particulate matter in the Sea of Japan as a model of closed system. Geophys Res Lett. 23(14): 1785?1788. doi: 10.1029/96GL01676. 

  4. Chung, C.S., J.H. Shim, Y.C. Park, and S.G. Park, 1989. Primary productivity and nitrogenous nutrient dynamics in the East Sea of Korea. Sea, 24: 52?61. (in Korean) 

  5. Geider, R. and J.L. Roche, 2002. Redfield revisited: variability of C:N/P in marine microalgae and its biochemical basis. Eur. J. Phycol. 37: 1-17. 

  6. Kido, K. and M. Nishimura, 1973. Regeneration of silicate in the Ocean. J. Oceanogr., 29, 185?192, doi: 10.1007/BF02108525. 

  7. Kim, I.-N., D.H. Min, and T. Lee, 2012. Deep Nitrate Deficit Observed in the highly oxygenated East/Japan Sea and its possible cause. Terr. Atmos. Ocean. Sci., 23(6): 671?683. 

  8. Kim, T.-H. and G. Kim, 2013. Changes in seawater N: P ratio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in response to increasing atmospheric N deposition: Results from the East (Japan) Sea. Limnol. Oceanogr., 58(6): 1907-1914. 

  9. Kim, T.-W., K. Lee, R.G. Najjar, H.-D. Jeong, and H.J. Jeong, 2011. Increasing N abundance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due to atmospheric nitrogen deposition. Science, 334: 505-9, doi 10.1126/science.1206583. 

  10. Klausmeier, C.A., E. Litchman, T. Daufresne, and S.A. Levin, 2004. Optimal nitrogen-to-phosphorus stoichiometry of phytoplankton. Nature 429: 171-174. 

  11. Lee, K.E., D.-J. Kang, and K.-R. Kim, 2001. Degree of $CaCO_3$ in the East Sea. J. Korean Soc. Oceanogr: The Sea, 6(4): 242-248. 

  12. Lee, T., D. Kim , B.-K. Khim, and D.-L. Choi, 2010. Organic carbon cycling in Ulleung Basin sediments, East Sea. Ocean. Polar Res., 32(2): 145?156. 

  13. Martiny, A.C. et al., 2014. Concentrations and ratios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global ocean. Sci. Data 1:140048 doi: 10.1038/sdata.2014.48. 

  14. Moon, C.H., H.S. Yang, and K.W. Lee, 1996. Regeneration processes of nutrient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East Sea I. Relationship between water mass and nutrient distribution pattern in autumn. J. Korea. Fish. Soc., 29: 503?526. (in Korean) 

  15. Morel, F.M.M., A.J. Milligan, and M.A. Saito, 2003. Marine bioinorganic chemistry: the role of trace metals in oceanic cycles of major nutrients. In The Oceans and Marine Chemistry (ed. H. Elderfield), vol. 6, Treatise on Geochemistry (ed. H. D. Holland and K.K. Turekian), pp. 113-43. Oxford: Elsevier-Pergamon. 

  16. Planavsky, N.J., 2014. The elements of marine life. Nature Geoscience 7: 855?856. 

  17. Redfield A.C., 1934. On the proportions of organic derivations in sea water and their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plankton. In James Johnstone Memorial Volume. (ed. R.J. Daniel). University Press of Liverpool, pp. 177-192. 

  18. Redfield, A.C., 1958. The biological control of chemic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Am. Sci., 46: 205-221. 

  19. Redfield, A.C., B.H. Ketchum, and F.A. Richards, 1963. 2.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In: The Sea, v. 2, edited by Hill, M.N. and others, Interscience, New York and London. pp. 26?77. 

  20. Rho, T., E.-S. Kim, S.-H. Kahng, and S.-R. Cho, 2015. International trend towards comparability of global oceanic nutrient data: SCOR Working Group 147 (Towards Comparability of Global Oceanic Nutrient Data, COMPONUT) activity. Ocean Polar Res. 37: 225?233. 

  21. Shim, J.H., S.R. Yang, and W.H. Lee, 1989. Phytohydrography and the vertical pattern of nitracline in the southern waters of the Korean East Sea in early spring. J. Kor. Soc. Oceanogr., 24: 15?28. (in Korean) 

  22. The Redfield Ratio at 80. Nature Geoscience Focus (Dec. 2014). 

  23. Weber, T. S. and C. Deutsch, 2010. Ocean nutrient ratios governed by plankton biogeography. Nature 467:550-554. doi:10.1038/nature09403. 

  24. Yanagi, T., 2002. Water, salt, phosphorus and nitrogen budgets of the Japan Sea. J. Oceanogr., 58, 797?804, doi: 10.1023/A:1022815027968. 

  25. Yang, H.S., S.S. Kim, C.G. Kang, and K.D. Cho, 1991.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III.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central Korean East Sea. J. Korea. Fish. Soc., 24: 185?19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