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회석 광산지역 지반침하 분석을 위한 물리탐사 기술 적용 연구
A Geophysical Survey of Subsidence area around Limestone Mine Sites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8 no.4, 2015년, pp.207 - 215  

홍진표 (강원대학교 자원공학과) ,  지윤수 (강원대학교 자원공학과) ,  오석훈 (강원대학교 자원공학과) ,  최성웅 (강원대학교 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반침하가 발생한 두 곳의 석회석 광산 지역에서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침하 원인과 향후 위험지역을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해석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암반공학적 해석을 수행하여 광산 개발과의 연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점토와 모래질 토층의 석회석 광산 인근 지대(연구지역 1)와 석회석 광산과의 연관성이 예측되는 채굴적 상부 지대(연구지역 2)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지역 1, 2의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 결과, 침하 발생 위치 하부에서 각각 70 ~ 120 ohm-m, 20 ~ 50 ohm-m의 상대적으로 저비저항 이상대가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1은 2차원 전기비저항 단면을 파악하여 3차원 역산 해석을 통해 지반침하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지역 2는 침하가 발생하고 이상대가 관찰된 측선 7번에 대하여 암반공학적 안정성 해석을 실시하고, 침하의 원인과 향후 침하 발생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two subsidence areas near and at limestone mine sites, respectively, in order to estimate their causes of subsidence and the regions of potential occurrence. In addition, the linkages of mine development with these subsidences were investigated by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역산 과정은 Geotomo Software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Res3Dinv (Loke and Barker, 1996)를 이용하였다. 3차원 결과의 해석은 2차원 해석에서 나타나는 저비저항의 공간적인 분포 양상을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반침하가 발생한 두 곳의 석회석 광산 지역에서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여 침하 원인과 향후 위험지역을 추정하고자 하였으며, 해석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암반공학적 해석을 수행하여 광산 개발과의 연계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점토와 모래질 토층의 석회석 광산 인근 지대(연구지역 1)와 석회석 광산 채굴적 상부(연구지역 2)를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연구지역 2에서는 전기비저항 탐사의 측선 7번이 채굴적상부에 위치하고 과거 지반침하가 발생했던 영역에서 전기비저항 분포가 저비저항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산해석을 실시할 때 용식동굴로 가정하였다. 지반거동을 분석한 결과, 용식동굴 상부 지표면에서는 최대 약 2 m 정도의 변위가 발생하였고 채굴적 주변 암반에는 소규모 변위가 발생하였다.
  • 전산해석에 이용된 입력 물성치는 Table 2와 같다. 석회암층과 표토 사이에 존재하는 암반은 시추조사나 현장조사가 불가능하므로, 석회암층보다 풍화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추정하여 보통 수준의 암반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단위중량은 실내시험이 수행되지 못하여 Bieniawski (1989)에 의해 제안된 RMR (Rock Mass Rating) 암반등급을 기초자료로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 전산해석은 이 지역의 주절리군이 70° 이상의 고경사각을 갖고 있어 현장 절리군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Itasca사의 UDEC 2D (Itasca Consulting Group, 2004)를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석회암 지대에서 용식동굴 내에 점토질이나 지하수가 충전되어 있을 경우 저비저항의 특성이 나타나지만, 전산해석 상에서는 이를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하기 어려워 저비저항을 공동형태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반침하는 발생 원인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지반침하는 석회암 지역에서 발생되는 자연공동 및 광산 채굴의 인위적인 공동으로 인한 침하와 매립지 또는 간척지에서 발생되는 연약지반 침하로 분류된다. 이 중 지하공동에 의한 지반침하는 통상적으로 급속히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재산피해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인명피해 가능성이 높다(Murck et al.
지하공동에 의한 지반침하는 어떠한 문제점은 발생시키는가? 지반침하는 석회암 지역에서 발생되는 자연공동 및 광산 채굴의 인위적인 공동으로 인한 침하와 매립지 또는 간척지에서 발생되는 연약지반 침하로 분류된다. 이 중 지하공동에 의한 지반침하는 통상적으로 급속히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재산피해가 심각할 뿐만 아니라 인명피해 가능성이 높다(Murck et al., 1995; Keller, 1996).
공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지하공동을 파악하는데 한계를 가진 물리탐사기법의 2차원 탐사를 대체할 기술로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는 기술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다양한 물리탐사기법이 석회암 지대의 공동탐지에 이용되고 있지만 주로 2차원 탐사 결과로부터 해석하고 있어 공간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지하공동을 파악하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3차원 탐사 및 해석기술이 발달하면서 지반구조의 3차원 영상화가 지반조사 분야뿐만 아니라 환경, 지질재해분야의 조사 및 유지관리 기술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ndis, S. C., Lumsden, A. C., and Barton, N. R., 1983, Fundamentals of rock joint deformation, In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s and Geomechanics Abstracts, 20(66), 249-268. 

  2. Bieniawski, Z. T., 1989, Engineering rock mass classifications, Wiley, NewYork. 

  3. Dourado, J. C., Filho, W. M., Braga, A. C. O., and Nava, N., 2001, Detection of cavities in sandstone using gravity, resistivity and GPR methods, Brazilian Journal of Geophysics, 19, 19-32. 

  4. Itasca Consulting Group, Inc, 2004, Universal Distinct Element Code 2D, Itasca Consulting Group, Minnesota, USA. 

  5. Keller, E. A., 1996, Environmental Geology. Prentice Hall, NJ, USA, 562. 

  6. Kim, C. R., Kim, J. H., Park, S. G., Park, Y. S., Yi, M. J., Son, J. S., and Rim, H. R., 2006, Application of Geophysical Methods to Cavity Detection at the Ground Subsidence Area in Karst,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4, 271-278. 

  7. Kim, K. W., 1993, Revaluation of geomechanics classifications of rock masse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33-40. 

  8. Kim, J. H., 2001, Dipro for windows V. 4.0. 

  9. Kim, J. H., Cho, S. J., and Yi, M. J., 2004, Borehole radar survey to explore limestion ca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a highway bridge, Exploration Geophysics, 35, 80-87. 

  10. Loke, M. H., and Barker, R. D., 1996, Practical techniques for 3D resistivity surveys and data inversion, Geophysical Prospecting, 44(3), 499-523. 

  11. Mark, H. D., and Eric, R., 1999, Two-dimensional resistivity profiling; geophysical weapon of choice in karst terrain for engineering applications, Hydrogeology and engineering geology of sinkholes and karst, Balkema, Rotterdam, 219-224. 

  12. Murck, B. W., Skinner, B. J., and Porter, S. C., 1995, Environmental Ge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154. 

  13. Park, C. B., Miller, R. D., and Xia, J., 1999, Detection of near-surface voids using surface wave, In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the Application of Geophysics to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SAGEEP 1999), Oakland, CA, 14-18. 

  14. Park, S. G., Kim, C. R., Son, J. S., Kim, J. H., Yi, M. J., and Cho, S. J., 2006, Detection of limesilicate cavities by 3-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9(5), 597-608. 

  15. Roth, M. J. S., Mackey, J. R., Mackey, C., and Nyquist, J. E., 1999, A case study of the reliability of multi-electrode earth resistivity testing for geotechnical investigations in karst terrains, Hydrogeology and engineering geology sinkholes and karst, Balkema, Rotterdam, 247-252. 

  16. Shin, J. H., Park, C., Song, W. K., Han, K. C., and Kim, J. H., 2004, Stability evaluation of subsidence of limestone zone exiting shallow subsurfac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159-170. 

  17. Song, S. H., Jang, E. W., Kim, J. H., Kim, J. S., and Kim, J. C., 2002,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for evaluation of reinforced region by cement grouting in dike, Engineering Geology, 12(1), 63-74. 

  18. Waltham, T., Bell, F. G., and Culshaw, M., 2005, Sinkholes and subsidence: Karst and cavernous Rocks i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science, 11(2), 180. 

  19. Yuhr, L., Bension, R. C., and Butler, D., 1993, Characterization of karst features using electromagnetics and microgravity: a strategic approach,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the Application of Geophysics to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Problems, San Diego, California, USA, 209-2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