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GS 지열 저류층 유체 유동에 의한 SP 반응 모델링
Modeling of SP responses for geothermal-fluid flow within EGS reservoir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8 no.4, 2015년, pp.223 - 231  

송서영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김빛나래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남명진 (세종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  임성근 (한국농어촌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연 전위(SP, self-potential)의 발생에는 여러 요인이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지하수의 유동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유동 전위(streaming potential) 또는 전기역학적 전위(electrokinetic potential)에 대해 주로 논의한다. 유동 전위는 다공질 매질에서의 물의 흐름에 의해 인공적인 전류원 없이 전류가 발생하여 야기된 전위이다. 기존의 유동 전위를 이용한 지열 저류층 해석에서는 지표면 전위 분포 계산을 위해 일반적으로 시추공에서 주입되거나 생산되는 지하수로부터 발생하는 SP 이상만을 고려하였고, 온도 차이가 나는 지열 저류층에서의 지열수 순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SP에 대한 수치 모델링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면체 요소를 바탕으로 한 3차원 전기비저항 유한요소법에 기초하여 지열 저류층 내에서의 주입정, 생산정에 의한 SP 이상뿐만 아니라 지열 저류층에서의 지열수 순환에 따른 SP 이상까지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한 알고리듬을 검증 한 후, 간단한 지열 저류층 모델에 지열수 주입과 양수의 효과에 의한 SP 이상대의 SP 반응을 분석하였다. 향후 개발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지층의 물성을 고려한 지열수 유동 속도 등도 고려함으로써 보다 심도 있게 지열 저류층 SP 반응을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lf-potential (SP) is sensitive to groundwater flow and there are many causes to generate SP. Among many mechanisms of SP, pore-fluid flow in porous media can generate potential without any external current source, which is referred to as electrokinetic potential or streaming potential. When calcu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온도 자체를 이산화하는 경우와 온도 차이의 분포를 이산화 하는 경우를 고찰해보자. 전자의 경우, 온도 차이는 이산화한 셀(cell)의 경계에만 존재하게 되며, 이산화한 셀의 내부는 온도가 동일하므로 온도 차이는 0이 되고셀의 한쪽 경계에서 상수 값을 갖게 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면체 요소를 이용하는 유한요소 전기비저항 알고리듬을 개선하여, 부피 샘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열수 생산정이나 주입정에서의 유체 흐름에 의한 SP 이상뿐만 아니라 저류층 내 지열수의 흐름에 의한 SP 이상 까지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알고리듬 에서의 전류원이 잘 구현되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같은 세기의 부피 샘과 점 샘의 위치를 동일하게 하고 지표에서 SP 값을 측정해 본 결과 서로 선형적으로 비례함을 보였고 이에 따라 부피 샘이 잘 구현되었음을 증명하였다.
  • 2). 본문에서 이러한 유체유동 전류원을 유한요소법에서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이 논문에서는 사면체에 기초한 전기비저항 유한 요소법 알고리듬에 기초하여 SP 모델링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구현의 단순화를 위해 사면체 각각에 전기비저항 등의 물성을 주기 보다는 사면체 5개로 구성되는 육면체를 상정하여 공간을 이산화 한 후, 하나의 육면체에 속한 사면체에는 동일한 물성을 가지도록 하였다(Fig.
  • 이 연구에서는 주입정이나 생산정 내에서의 유체 흐름에 의한 SP 반응뿐만 아니라 온도 변화가 있는 지열 저류층에서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지열유체의 흐름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전위 분포를 보다 실제에 가깝게 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사면체 요소에 기초한 3차원 유한 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탐사 모델링 알고리듬(Sasaki, 1994)을 개선하여, 상호전류계수의 공간적 변화를 일정한 부피로 정의할 수 있도록 전위 포아송 방정식의 전류원이 사면체 부피 내(Volume source)에도 존재할 수 있도록 구현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열 저류층 내에서 지열수의 주입/생산 및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SP 반응에 대한 수치 모델링을 통하여 지열 저류층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기초를 다지고자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유체 유동에 의한 SP 반응을 계산하기 위한 전위(electrical potential) 포아송 방정식 계산시 전류원(전류밀도의 발산)이 하나의 점에 존재하는 경우를 상정하여 적용하였다.
  • 첫 번째로 전기비저항이 동일한 모델 내에서 SP 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이에 따른 각각의 측정 전위 값의 차이와 뚜렷한 SP 이상대를 확인 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실제 포항 저류층의 전기비저항 구조를적용하고 지표에서 일정 간격의 측선 별로 전위 값을 측정한 것을 비교함으로써 실제 지열 저류층의 환경에서도 주입 및양수 지점을 나타내는 SP 이상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열 저류층에서의 전류원에 대한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향후 지하수 유동을 고려하여 매질 내의 유체 속도 분포 등을 구현함으 로써 보다 다양하고 실질적일 지열 저류층 환경에 적용하고 역산도 수행하며 다양한 조건 하에서의 SP 양상을 비교 및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 논문에서는 지열 저류층에서의 전류원으로 주입과 양수의 영향으로 인한 유동발산 전류원을 점 샘으로 정의하고, 유체 흐름 방향에서의 속도-전류 상호결합계수의 변화로 인한 유체유동 전류원을 공간에 이산화하여 부피 샘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체흐름방향의 지열수의 온도 변화가 선형일 때를 가정하였다( ). 그리고 점 샘과 부피 샘의 구현은 증명하였지만 유체 특성과 지층의 물성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각각의 전류원의 특성에 타당한 샘의 크기에 대해 분석이 필요하므로 이 논문에서는 지열수의 주입과 양수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유동발산 전류원(점 샘)만을 고려 하여 Lim (2006)의 모델링 결과와 비교하였다.
  • 유체유동 전류원이 존재하는 부피를 적절히 이산화한 뒤에는, 유체유동 전류원을 어떻게 수치적으로 구현할지는 유체유동 전류원의 물리적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유체유동 전류원은 속도-전류 상호결합계수(L V ) 값의 분포나 유체유동(u)뿐만 아니라, L V 값이 식 (8)에서와 같이 온도 변화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온도도 이산화에 있어 고려해야 한다(논의를 단순화하기 위해 지열 저류층에서 매질의 변화는 없다고 가정함으로써 저류층 내의 L V0 는 일정하다고 생각하고, L V 값은 순전히 온도 변화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으로 한다).
  • 자연전위(Self-potential)는 전위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따라 온도 차이에 의한 열전기적인 전위, 화학적인 기울기에 의한 화학 전위, 유체 압력 기울기에 의한 전기역학적 현상인 유동 전위(Streaming-Potential)가 있다. 이 중 열전기적인 효과 및화학적인 전위는 상대적으로 작아서 SP이상은 주로 전기역학적 현상이 주요하게 작용한다고 가정한다(Perrier et al., 1999; Jouniaux et al., 2000).
  • 두 번째 모델링의 경우, 실제 포항 지열 저류층의 전기비저항 값을 사용 하였다. 첫 번째 층은 전도성 이암층(10 ohm-m), 두 번째 층은 응회암과 이암이 혼재하는 층(90 ohm-m), 세 번째 층은 지하수 유동과 상관성이 높은 유문암(350 ohm-m), 마지막 층은사암과 이암층에 중성맥암이 일부 관입한 구조(100 ohm-m)로설정하였다(Lim, 2006). 이와 같은 전기비저항 구조에서 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입정과 생산정에 각각의 샘을 임의의 세기인 -10, +10으로 설정하였고, 측선 A-A'부터 C-C'까지의 전위 값을 그래프로 도시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전위탐사란 무엇인가? 자연전위(self/spontaneous potential; SP) 탐사는 인위적인샘(source)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전위 차를 지표면에서 측정하는 수동적인 탐사 방법이다. 산화 환원 반응을 이용한 지층 오염대 파악(Naudet et al.
점 송신원이 유한요소법에서 나타나는 오차의 해결방안은? 이러한 점 송신원은 유한요소법에서는 델타 함수로 표현되는데, 이는 지열수 주입 및 양수의 경우에는 물리적으로 큰 문제가 없으나 저류층 내에서 지열수 유동에 의한 전위의 경우에는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 즉, 주입정이나 양수정은 하나의 점으로 근사할 수 있지만, 저류층 내에서의 지열수의 유동과 상호전류계수의 변화로 인해 야기되는 SP 반응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전위 포아송 방정식에서 송신원이 하나의 점이라기 보다는 공간적으로 분포한다고 보아야 한다.
유동 전위가 발생하는 이유는? 자연전위의 여러 발생 원인 중 다공질 매질에서의 물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자연 전위를 전기역학적(electrokinetic) 전위 또는 유동(흐름, streaming) 전위라 한다. 이러한 유동 전위는 지하 매질 내 공극을 통하여 지하수가 흐를 때 전기적 이중층(electrical double layer)과 제타 전위(zeta potential)의 영향으로 지하수에서의 양이온들이 지하 매질의 표면에 흡착하여 상대적으로 음이온들이 공극을 통하여 흐르게 되고 즉, 지하수의 흐름이 마치 전자가 흐르는 양상을 띔으로써 대류 전류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전위는 지하 내부의 유체 유동에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지하수 흐름의 방향과 위치 및 속도, 대수층의 수리학적 특성 평가에 대한 연구(S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ang, H. J., Cho, I. K., Kim, J. H., and Yong, H. H., 2014, SP Monitoring at a Sea Dike, Near Surface Geophysics, 12, 83-92. 

  2. Cioni, R., Fanelli, G., and Guidi, M., 1992, Lake Bogoria hot springs (Kenay): geochemical features and geothermal implication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50, 231-246. 

  3. Corwin, R. F., and Hoover, D. B., 1979, The self-potential method in geothermal exploration, Geophysics, 44, 226-245. 

  4. Ishido, T., and Mizutani, H., 1981,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basis of electrokinetic phenomena in rock-water system and its application to geophysics, J. Geophys. Res., 86, 1763-1775. 

  5. Ishido, T., Kikuchi, T., and Sugihara, M., 1989, Mapping thermally driven upflows by the self-potential method, in Hydrogeological regimes and their subsurface thermal effects, 47, IUGG, Vol. 2, A.E. Beck et al. (Eds), AGU, pp. 151-158. 

  6. Lim, S. K., 2006, A Study on the Geothermal Reservoir Modeling using Three-Dimensional SP Simulator, Ph.D. Thesis, Chonbuk University, 132p. 

  7. Lim, S. K., Song, Y. H., Lee, T. J., Yasukawa, K., and Song, Y. S., 2007, Three-Dimensional SP Modeling at a Geothermal Site, Geophysics, 7, 164-173. 

  8. Lim, S. K., Lee, T. J., Song, Y. H., Song, S. H., Yasukawa, K., Cho, B. W., and Song, Y. S., 2007, Application of SP Monitoring in the Pohang Geothermal Field. 

  9. Matsushima, N., Kikuchi, T., Tosha, T., Nakao, S., Yano, Y., and Ishido, T., 2000, Repeat SP measurements at the Sumikawa geothermal field, Japan, Proc. World Geothermal Congress, Kyushu-Tohoku, Japan, pp. 2725-2730. 

  10. Morrison, F., Corwin, R. F., De Moully, G., and Durand, D., 1978,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by the collapse of the pillars of a gypsum quarry, C. R. Acad. Sci., 308, 33-38. 

  11. Naudet, V., Revil, A., Rizzo, E., Bottero, J.-Y., and Begassat, P., 2004, Groundwater redox conditions and conductivity in a contaminant plume from geoelectrical investigations,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8(1), 8-22. 

  12. Onsager, L., 1931, Reciprocal relations in irreversible processes (1), Physical Review, 37, 405-426. 

  13. Perrier, F., Trique, M., Lorne, B., Avouac, J. P., Hautot, S., and Tarits, P., 1999, Electrical variations associated with periodic spring discharge in western Nepal, CR Acad. Sci., Paris, serie II 328, pp. 73-79. 

  14. Sasaki, Y., 1994, 3-D resistivity inversion using the finiteelement method, Geophysics, 59, 1839-1848. 

  15. Sill, W. R., 1983, Self-potential modeling from primary flows, Geophysics, 48, 76-86. 

  16. Song, S. H., Lee, K. S., Kim, J. H., and Kwon, B. D., 2000, Application of SP and Pole-pole Array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to the Seawater Leakage Problem of the Embankment, Econ. Environ. Geol., 33(5), 417-424. 

  17. Song, S. H., and Yong, H. H., 2003, Application of SP monitoring to the analysis of anisotropy of aquifer, Econ. Environ. Geol., 36, 49-58. 

  18. Jardani, A., Dupont, J. P., and Revil, A., 2006, Self-potential signals associated with preferential groundwater flow pathways in sinkhol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1, B09204. 

  19. Jouniaux, L., Bernard, M. L., Zamora, M., and Pozzi, J. P., 2000, Streaming potential in volcanic rocks from Mount Pelee, J. Geophys. Res., 105, 8391-8401. 

  20. Jouniaux, L., Maineult, A., Naudet, V., Pessel, M., and Sailhac, P., 2009, Review of self-potential methods in hydrogeophysics, Comptes Rendus Geoscience, 341, 928-936. 

  21. Revil, A., Naudet, V., and Meunier, J. D., 2004, The hydroelectric problem of porous rocks: inversion of the position of the water table from self-potential data, Geophys. J. Int., 159, 435-444. 

  22. Yasukawa, K., Mogi, T., Widarto, D., and Ehara, S., 2003, Numerical modeling of a hydrothermal system around Waita volcano, Kyushu, Japan, based on resistivity and self-potential survey results, Geothermics, 32, 21-46. 

  23. Yungul, S. H., 1954, Spontaneous-potential survey of a copper deposit at Sariyer, Turkey, Geophysics, 19, 455-458. 

  24. Zachos, K., 1963, Discovery of a copper deposit in Chalkidiki Peninsula, northern Greece (in Greek with English summary), Institute of Geology and Subsurface Research Publication, 8, 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