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남해안에 출현하는 태평양참다랑어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51 no.4, 2015년, pp.553 - 560  

윤상철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 ,  유준택 (국립수산과학원 남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이성일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김장근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최광호 (국립수산과학원 독도수산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were examined based on the stomach contents of 330 specimens caught by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2011. The size of Pacific bluefin tuna used in this study ranged from 34.1 to 67.3 cm in fork l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남해안에 출현하는 태평양참다랑어의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주 먹이생물과 성장과 계절에 따른 위 내용물 변화를 검토하여 태평양참다랑어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한국 남해안에 서식하는 태평양참다랑어의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주요 먹이생물을 밝히고, 성장과 계절에 따른 위 내용물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태평양참다랑어의 자원생태학적 특성 연구의 초석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조사한 결과 태평양참다랑어의 먹이생물 중 어류는 어떤 종이 나타났는가? 4%를 나타냈다. 어류 중에서는 전갱이가 가장 많이 섭이되었는데 출현빈도 15.1%, 개체수비 5.3%, 중량비 27.6%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날개멸, 멸치, 몽치다래, 청어의 순으로 많이 섭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어류 다음으로 중요한 먹이생물은 두족류로써 출현빈도 44.
태평양 참다랑어의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의 변화는 어떻게 조사되었는가?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의 변화를 살펴보면, 전 계절에 걸쳐 어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나타났으나, 춘계 (4–6월)와 추계 (10–12월)에는 두족류의 상대중요성지 수비가 30%대로 타 계절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두족류 중에서는 살오징어, 창꼴뚜기의 순으로 태평양참다랑어의 중요한 먹이생물로 분석되었는데 대형선망의 위판이 주로 이뤄지는 부산과 경남 지역의 2009–2011년간 어획량에서도 춘계와 추계에 살오징어 (Todarodes pacificus)와 꼴뚜기류 (beka squid)의 어획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하였다 (MOF, 2015).
한국 주변 해역에 존재하는 참다랑어는 무엇인가? thynnus), 남방참다랑어 (Southern bluefin tuna, T. maccoyii) 세 종이 분포하는데, 이 중 한국 주변 해역에 출현하는 어종은 태평양참다랑어이다. 태평양참 다랑어는 동아시아 해안에서 북미의 서쪽해안까지 태평양 전체를 회유하는 고도회유성 어종으로 남태평양에서도 발견되며 (Collette, 1999; Collett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se BC. 2002. Differences in diet of Atlantic bluefin tuna (Thunnus thynnus) at five seasonal feeding grounds on the New England continental shelf. Fish Bull 100, 168-180. 

  2. Collette BB. 1999. Mackerels, molecules, and morphology. In : Proceedings of the 5th Indo-Paicific fish conference, Noumea, pp. 149-164. 

  3. Collette BB, Acero A, Boustany A, Canales RC, Cardenas G, Carpenter Ke, Chang SK, Chiang W, Di Natale A, Die D, Fox W, Graves J, Hilton M, Juan Jorda M, Minte Vera C, Muyabe N, Montanop Cruz R, Nelson R, Restrepo V, Schaefer K, Shratwieser J, Serra R, Sun C, Uozumi Y and Yanez E. 2011. Thunnus orientali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1.2. 

  4. Foreman TJ and Ishizaka Y. 1990. Giant bluefin off southern California, with a new California size record. Calif Fish Game 76, 181-186. 

  5. ISC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for tuna and tuna-like species in the North Paicific Ocean). 2014. Stock assessment of pacific bluefin tuna in the Pacific Ocean in 2014. Report of the Pacific bluefin tuna working group, pp 1-121 

  6. Karakulak FS, Salman A and Okay IK. 2009. Diet composition of bluefin tuna (Thunnus thynnus L. 1758)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Turkey. J Appl Ichthoyol 25, 757-761. (doi: 10.1111/j.1439-0426-2009-01298.x) 

  7. Kim HS. 1973.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14th ed (Brachyura). pp 1-694. 

  8. Kim HS. 1977.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19th ed (Macrura). pp 1-414. 

  9. Kim IS, Choi Y, Lee CR,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The fishes of Korea. Kyohak Publ, 1-613. 

  10. Masuda K, Amaoka K, Arago C, Ueno T and Yoshino T.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okai Univ Press, 1-437. 

  11. MOF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2015. Fisheries Production Statistics System. Retrieved from http://fs.fips.go.kr/main.jsp. 

  12. Nakabo T. 2000. Fishes of Japan with pictoral keys to the species, 2nd ed, Tokai Univ Press, 1-1748. 

  13.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shore waters in Korea. Hangul Publ Co Busan, p 1-333. 

  14. Okutani T. 1994. Field books Vol. 8. Yama-kei Publishers Co Ltd Tokyo, 1-367. 

  15. Okutani T. 2000. Marine Mollusks in Japan. Tokai Univ Press, 1-1173. 

  16. Pinkas L. 1971. Bluefin tuna food habits. In Pinkas L, Oliphant Ms and Iverson LK.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47-63. 

  17. Shin A.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cific bluefin tun (Thunnus orientalis) fisher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Jeju Island.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 49. 

  18. Shimose T, Watanabe H, Tanabe T and Kubodera T. 2013. Ontogenetic diet shift of age-0 year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J Fish Biol 82, 263-276. (doi: 10.1111/j.1095-8649-2012.03483.x) 

  19. Youn CH. 2002. Fishes of Korea with pictoral key and systematic list. Academy Publ Co Seoul, 1-747. 

  20. Yoon SC, Yang JH, Park JH, Choi YM, Park JH and Lee DW. 2012.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coastal waters off Jumunjin, Gangwondo of Korea. Kor J Fish Aquat, 45(4), 379-386 (http://dx.doi.org/10.5657/KFAS.2012.03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