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연근해에 출현하는 태평양참다랑어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in Korean waters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5 no.1, 2019년, pp.20 - 28  

조헌주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이성일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김두남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  이미경 (국립수산과학원 원양자원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were analyzed using samples by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Korean waters from 2012 to 2017. The number of samples was 1,274 and the fork-length (FL) ranged from 34.6 to 218.0 cm. According to %IRI, the Important main prey items of imm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봄(4~6월), 여름(7~9월), 가을(10~12월), 겨울(1~3월)에 대한 계절별 먹이생물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년 이후부터 2017년까지 6년간에 걸쳐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수집된 태평양참다랑어(T. orientails) 1,274개체를 대상으로, 미성어와 성어간 먹이생물의 차이가 있는지, 체장 크기별로 먹이생물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계절별로는 먹이생물 중요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끝으로 해구별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먹이생물 중요도에 대한 지리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 또한, 성장에 따라 먹이생물 중요도 차이 분석을 위해 Karakulak et al. (2009)의 기준을 참고하여, 체장을 각각 15 cm 간격으로 구분하여 13개 그룹(Fig. 2)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봄(4~6월), 여름(7~9월), 가을(10~12월), 겨울(1~3월)에 대한 계절별 먹이생물의 차이도 분석하였다.
  • 6cm였다. 미성어와 성어의 먹이생물 중요도 분석을 위해 그 기준 크기를 ISC (2018)에 따라 91.4cm 이하는 미성어, 91.5cm 이상은 성어로 구분하였다.
  • 위 내용물은 가능한 종(Species)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소화가 진행되어 종 동정이 어려운 경우 과(Family) 혹은 목(Order) 수준까지 분류하였고, 공위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분류한 위 내용물은 전자저울로 0.1g까지 습중량을 측정하였다. 먼저 식 (1)~(3)을 사용하여 각 위 내용물의 출현빈도(%F), 개체수비(%N) 그리고 습중량 비(%W)를 각각 구하였다.
  •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시료는 총 25개 해구에서 어획되었고(Fig. 1), 시료는 실험실로 운반 후, 가랑이체장(Fork length, FL)을 0.1cm 단위까지, 체중을 0.1g 단위까지 측정하고, 몸통을 절개한 후 위를 추출 및 절개하여, 육안과 현미경으로 위 내용물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 태평양참다랑어가 채집된 총 25개 해구에 대한 유사도 검증을 위해 해구별로 %F, %N, %W, IRI, %IRI을 기준으로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 태평양참다랑어의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계절별로 %IRI를 분석해 보았다(Fig. 7). 봄철(4~6월)에는 두족류의 %IRI가 63.

대상 데이터

  •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7년 까지 6년간 한국 연근해에서 수집된 태평양참다랑어 1,274개체를 대상으로 먹이생물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개체의 체장 범위는 34.
  • 본 연구에 사용된 태평양참다랑어 시료는 총 1,274개체이고, 체장의 최소값은 34.6cm, 최대값은 218.0cm로 평균체장은 56.6cm이었고, 최빈값은 45~60cm로 총 개체수의 60.2%를 차지하였다(Fig 2).
  • 본 연구에 사용된 태평양참다랑어(T. orientails) 시료는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대형선망어업에 의해 어획된 것으로, 어획이 없었던 월을 제외하고 부산공동어시장에서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시료는 총 25개 해구에서 어획되었고(Fig.
  •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7년 까지 6년간 한국 연근해에서 수집된 태평양참다랑어 1,274개체를 대상으로 먹이생물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개체의 체장 범위는 34.6~218.0cm로 평균 크기 56.6cm였다. 미성어와 성어의 먹이생물 중요도 분석을 위해 그 기준 크기를 ISC (2018)에 따라 91.

데이터처리

  • 태평양참다랑어의 미성어와 성어의 개체당 먹이생물의 평균 개체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one-way ANOVA, F=0.2914, P>0.05), 먹이생물의 평균 중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one-way ANOVA, F=30.3719, P<0.05) (Fig. 5).
  • 해역별 먹이생물 구성 유사도 분석을 위해 25개 채집 해구(Fig. 1)에 대해 각각의 출현빈도(%F), 개체수비(%N), 습중량비(%W), 먹이생물의 상대중요성 지수(IRI), 먹이생물의 상대중요성 지수비(%IRI)를 구한 뒤,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에 PRIMER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그리고 먹이생물의 상대중요성 지수(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는 Pinkas et al. (1971)의 방법으로 식 (4)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상대중요성 지수비(%IRI)는 식 (5)로부터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근해에 출현하는 어종은 무엇인가? maccoyii) 총 3종이 분포한다. 이 중에서 한국 연근해에 출현하는 어종은 태평양참다랑어이다. 태평양참다랑어는 농어목(Perciformes order) 고등어과(Scombridae family)에 속하는 어종으로 어류 중에서도 크기가 큰 종에 속하는데, 체장은 최대 300cm, 체중은 최대 450kg까지 성장한다(NFRDI 2014).
태평양참다랑어 어획지역을 동해안까지 어장이 형성 되는 이유는?? , 2018). 태평양참다랑어의 이러한 어장 확대는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먹이생물의 분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다.
태평양참다랑어란 어떤 어종인가? 태평양참다랑어는 고도회유성 어종으로 동아시아 해안에서 북태평양 전체를 회유하고, 남태평양에서도 발견된다(Collette, 1999; Collette et al., 2014; Yoon et al., 2015).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해안과 동해안에서 주로 출현하는데, 계절적으로 봄~여름에는 먹이를 찾아서 북상회유를 하고, 가을에는 월동을 위해 남하회유를 하는것으로 알려져 있다(Yoon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eckGW , ParkCI , JeongJM , KimMC , HuhSH and ParkJM . 2010. Feeding habits of Chaenogobius gulosus in the Coastal Water of Tongyeong, Korea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22(1), 41-48. 

  2. ChaseBS . 2002. Differences in diet of Atlantic bluefin tuna ( Thunnus thynnus ) at five seasonal feeding grounds on the New England continental shelf . Fish Bull100, 168-180. 

  3. ColletteBB . 1999. Mackerels, molecules, and morphology. In : Proceedings of the 5th Indo-Pacific fish conference,Noumea, 149-164. 

  4. CollettB , FoxW , Juan JordaM , NelsonR , PollardD , SuzukiN and TeoS. 2014. Thunnus orientalis , Pacific Bluefin Tuna.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 Version2014. (DOI:) 

  5. GerkingSD .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diego, U.S.A., 1-416. 

  6. 10.1111/j.1439-0426.2009.01298.x KarakulakFS , SalmanA and OrayIK . 2009. Diet composition of bluefin tuna ( Thunnus thynnus L. 1758)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Turkey . Journal of Applied Ichthyology25(6), 757-761. (DOI:) 

  7. ISC (International Scientific Committee for tuna and tuna-like species in the North Pacific Ocean). 2018. Stock assessment of pacific bluefin tuna ( Thunnus orientalis ) in the pacific ocean in 2018, 1-154. 

  8. LangtonRW . 1982. Diet overlap between Atlantic cod, Gadus morhua , silver hake Merluccius bilinearis and fifteen other northwest Atlantic finfish . Fish bull80, 745-759. 

  9. 10.3796/KSFOT.2018.54.2.116 LeeSI , KimDN , LeeMK , JoHJ , KuJE and KimJJ . 2018. CPUE standardization of Pacific bluefin tuna caught by Korean offshore large purse seine fishery (2003-2016) . J Korean Soc Fish Ocean Technol54(2), 116-123. (DOI:) 

  10.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2. Fishing gear of Korea. Hangeul Graphics Publ, Co., Busan, 1-579. 

  11. NFRDI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14. Field guide to bycatch species in koream distant-water fisheries2nd Edition 2014, 1-207. 

  12. PinkasL , Oilphant Ms and Iverson LK.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 Fish Bulletin152, 47-63. 

  13. 10.1111/j.1095-8649.2012.03483.x ShimoseT , WatanabeH , TanabeT and KuboderaT . 2013. Ontogenetic diet shift of age-0 year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 J Fish Biol82, 263-276. (DOI:) 

  14. WainwrightPC and BA Richard. 1995. Scaling the feeding mechanism of the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 Motor pattern .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198, 1161-1171. 

  15. 10.3796/KSFT.2015.51.4.553 YoonSC , YooJT , LeeSI , KimZG and ChoiKH . 2015.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J. Korean Soc. Fish. Technol51(4), 553-560. (DOI:) 

  16. YooJT , KimZG , LeeSI , YeanIJ , YoonSC and LeeDW . 2012. Recent update of Pacific bluefin tuna catch in Korean waters. ISC/12-1/PBFWG/19, 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