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의 증상의 중증도와 식습관 및 증상유발식품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of Eating Habits and Trigger Foods to Symptom Severit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7 no.4, 2015년, pp.297 - 305  

백주연 (영진전문대학 간호학과) ,  전상은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habits and the frequency of trigger-food consumption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these variables with IBS symptom severity. Methods: We included 145 ROME III-positive IBS patients (m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과민대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식습관은 외식 또는 과식, 야식, 간식을 자주 하는 군일수록 증상의 중증도 점수가 높은것으로나타났고, 증상유발식품의대표적인식품인인 스턴트 음식, 매운 음식, 밀, 콩, 아몬드, 토마토 등의 섭취 횟수에 따라 중증도 및 복부통증의 점수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과민대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식습관 및 음식의 종류에 따른 위장관 증상을 조사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으로, 본 연구는 환자들의 식습관의 실태를 파악하고, 과민대장증후군 증상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점에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과민대장증후군의 증상완화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이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지금까지 과민대장증후군과 식이와의 관련성에 대한 국내 연구를 살펴보면 환자군과 대조군의 식습관을 조사한 연구[8]가 있었으나 과민대장증후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식습관 및 증상유발식품의 섭취빈도, 식품섭취와 증상의 중증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보고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의 식생활과 증상을 유발하는 음식의 종류 및 섭취빈도를 파악하여, 이들과 과민대장증후군 증상의 중증도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의 증상악화를 예방하고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의 식습관 및 증상유발식품의 섭취빈도를 파악하여 이들과 과민대장증후군 증상의 중증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의 식습관 및 증상유발식품의 섭취빈도를 파악하여 이들과 과민대장증후군 증상의 중증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국외 선행연구에 따르면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의 약 84%가 식사 후 한 가지 이상의 음식으로 인해 위장관 증상이 악화되며, 이러한 환자의 2/3에서 특정한 음식을 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6,11,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과민대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식습관 및 증상 유발식품의 섭취 여부를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위장관 증상의 중증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민대장증후군이란 무엇인가 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은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 배변 후 증상의 완화, 배변 빈도 또는 대변형태의 변화 등의 증상들이만성적으로반복되어나타나는대표적인기능성장질환이다[1]. 과민대장증후군은 일반적으로 배변의 양상에 근거하여 아형을구분하는 Rome Ⅲ진단기준에 따라 변비형(IBS-Constipation), 설사형(IBS-Diarrhea), 혼합형(IBS-Alternative), 그리고 미분류형(IBSNormal)으로 분류된다[1].
과민대장증후군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과민대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은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 배변 후 증상의 완화, 배변 빈도 또는 대변형태의 변화 등의 증상들이만성적으로반복되어나타나는대표적인기능성장질환이다[1]. 과민대장증후군은 일반적으로 배변의 양상에 근거하여 아형을구분하는 Rome Ⅲ진단기준에 따라 변비형(IBS-Constipation), 설사형(IBS-Diarrhea), 혼합형(IBS-Alternative), 그리고 미분류형(IBSNormal)으로 분류된다[1]. 미국을 비롯한 서구사회에서 과민대장증후군의 유병률은 10-12% [2], 국내 인구기반 연구에서 유병률은 7-9%로 이 수치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3].
식이로 인한 과민대장증후군은 어떤 요인들에 의해서 설명되는가 음식은 과민대장증후군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 중 하나로 Simrén 등[10]의 연구에 의하면 환자의 60% 이상이 식이와 관련하여증상이발생되거나악화되며, 이러한환자중 28%는 15분이내에, 93%는 3시간 이내에 증상이 유발되거나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6,11]. 이와 같이 식이에 의한 복부 증상의 발생은 대장에서 비정상적인 발효 및 가스의 생성, 식사 후 과도한 위장관 운동, 심리적인 요인, 그리고 음식에 대한 저항성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7,12]. 특히 과민대장증후군 환자들은 특정 식이가 장 증상의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으며[6-10], 증상의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rossman DA, Chang L, Bellamy N, Gallo-Torres HE, Lembo A, Mearin F, et al. Severity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 Rome Foundation Working Team report.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1;106(10):1749-1759. 

  2. Brandt LJ, Chey WD, Foxx-Orenstein AE, Schiler LR, Schoenfeld PS, Spiegel BM, et al.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task force on irritable bowel syndrome. An evidence-based position statement on the manag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9;104(1):S1-35. 

  3. Park JH, Byeon JS, Shin WG, Yoon YH, Chen JH, Lee KJ, et al. Diagnosi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0;55(5):308-315. 

  4. Camilleri M, Di Lorenzo C. Brain-gut axis: From basic understanding to treatment of IBS and related disorders. Journal of Pediatric Gastroenterology and Nutrition. 2012;54(4):446-453. 

  5. Guo YB, Zhuang KM, Kuang L, Zhan Q, Wang XF, Liu SD. Association between diet and lifestyle habits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A case-control study. Gut and Liver. 2015;9(5):649-656. 

  6. Bohn L, Storsrud S, Tornblom H, Bengtsson U, Simren M. Self-reported food relate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IBS are common and associated with more severe symptoms and reduced quality of life.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3;108(5):634-641. 

  7. Gibson PR, Barrett JS, Muir JG. Functional bowel symptoms and diet. Internal Medicine Journal. 2013;43(10):1067-1074. 

  8. Kim KH. Characteristics of dietary habits and intak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patients taken periodical medical examination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08. p.1-16. 

  9. Heizer WD, Southern S, McGovern S. The role of diet in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adult: A narrative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09;109(7):1204-1214. 

  10. Simren M, Mansson A, Langkilde AM, Svedlund J, Abrahamsson H, Bengtsson U, et al. Food-relate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Digestion. 2001;63(2):108-115. 

  11. Halpert A, Dalton CB, Palssom O, Morris C, Hu Y, Bangdiwala S, et al. What patients know about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nd what they would like to know national survey on patient educational needs in IBS an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atient educational needs questionnaire (PEQ).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7;102(9):1972-1982. 

  12. Cuomo R, Andreozzi P, Zito FP, Passananti V, De Carlo G, Sarnelli G.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food interaction.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4;20(27):8837-8845. 

  13. Kim JH, Sung IK. Strategy to manage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4;86(6):695-697. 

  14. Farzaneh N, Ghobaklou M, Moghimi-Dehkordi B, Naderi N, Fadai F. Effects of demographic factors, body mass index,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habits on irritable bowel syndrome: A case control study. Annals of Medical and Health Sciences Research. 2013;3(3):391-396. 

  15. Johannesson E, Ringstrom G, Abrahamsson H, Sadik R. Intervention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irritable bowel syndrome shows long-term positive effects.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5;21(2):600-608. 

  16. Jarrett M, Visser R, Heitkemper M. Diet triggers symptoms in women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The patient's perspective. Gastroenterology Nursing. 2001;24(5);246-252. 

  17. Kang SH, Choi SW, Lee SJ, Chung WS, Lee HR, Chung KY, et al. The effects of lifestyle modification on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 prospective observation study. Gut and Liver. 2011;5(4):472-477. 

  18. Reding KW, Cain KC, Jarrett ME, Eugenio MD, Heitkemper MM.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of alcohol consumption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among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3:108(2):270-276. 

  19. Shin MH. Food allergy education and meals management guidelines. Seoul: Chungaram; 2010. p.98-115. 

  20. Francis CY, Morris J, Whorwell PJ. The irritable bowel severity scoring system: A simple method of monitoring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its progress. 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1997;11(2):395-402. 

  21. Lee JM.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severity,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2012. p.1-62. 

  22. Cho JS.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for dietary habit survey of Korean adult [dissertation]. Chungju: Chungbuk University; 2013. p.1-209. 

  23. Derogatis LR. Brief symptom inventory 18(BSI-18);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 15th ed. Minneapolis: NCS person; 2001. p.1-8. 

  24. Shepherd SJ, Lomer MC, Gibson PR. Short-chain carbohydrates an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Th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13; 108(5):707-717. 

  25. Halmos EP, Power VA, Shepherd SJ, Gibson PR, Muir JG. A diet low in FODMAPs reduces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Gastroenterology. 2014;146(1):67-75. 

  26. Gonlachanvit S, Mahayosnond A, Kullavanijaya P. Effects of child on postprandial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diarrhea 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Evidence for capsaicin-sensitive visceral nociception hypersensitivity.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2009;21(1):23-32. 

  27. Schwartz HJ. Sensitivity to ingested metabisulfite: Variations in clinical presentation. 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983;71(5):487-489. 

  28. Wahnschaffe U, Schulzke JD, Zeitz M, Ullrich R. Predictors of response to gluten-free diet in patients diagnosed with diarrhea-predominant irritable bowel syndrome. 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007;5(7):844-850. 

  29. Feinle-Bisset C, Azprioz F.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in functional dyspepsia. Nature Reviews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2013;10(3):150-157. 

  30. Gelincik A, Buyukozturk S, Gul H, Isik E, Issever H, Ozseker F, et al. Confirmed prevalence of food allergy and non-allergic food hypersensitivity in a Mediterranean population. Clinical and Experimental Allergy. 2008;38(8):1333-13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