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등속성 운동검사를 이용한 정상 한국인 성인에서의 발목관절 근력 측정
Measurement of Muscle Strength of Ankle Joint Using Isokinetic Dynamometer in Normal Korean Adults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19 no.4, 2015년, pp.142 - 150  

최승명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박지강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하윤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조병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storation of ankle stability through the strengthening exercise of peroneus muscles is considered an important factor for achievement of successful outcomes,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following ankle ligament injuries. However, there were few definitive data on normal muscle streng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10) 저자들은 근력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는 등속성 운동검사(isokinetic dynamometer) 기기를 이용해 발목관절의 외번근력(비골근력)을 평가하는 것이 기능적 불안정성을 반영하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단, 비골근에 의한 외번근력을 포함하여 발목관절의 운동과 관련된 정상 근력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명확한 국내 자료가 없는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등속성 운동검사를 이용해 한국인 성인에서의 발목관절 정상 근력을 분석하고, 성별이나 나이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성 발목 불안정증 환자에 대한 수술 결정 시 무엇을 고려해야하나? 1-4) 따라서 발목관절 외측 인대 손상 후의 보존적 치료 및 만성 불안정증에 대한 수술 후의 재활치료에서 비골근력의 강화를 통한 기능적 안정성의 회복은 만족스러운 임상 결과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1,3,5-7) 또한 만성 불안정증 환자에 대한 수술 결정 시 기계적 불안정성(mechanical instability)과 더불어 기능적 불안정성도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치료 방침의 결정과 불필요한 수술적 치료의 방지에 도움이 될 것이다. 발목의 무력감(giving way)과 같은 환자가 호소하는 주관적인 증상과 더불어 기능적 불안정성의 좀 더 정확한 평가를 위한 진단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2,4,8,9) Povacz 등9)은 발목관절의 기능적 불안정성 정도를 점수화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보고한 바 있다.
발목관절의 외측 안전성은 무엇에 의해 유지되는가? 발목관절의 외측 안전성은 전 거비인대(anterior talofibualr ligament), 종비인대(calcaneofibualr ligament), 후 거비인대(posteriortalofibualr ligament), 원위 경비골간 인대복합체(syndesmosis)와 같은 인대 구조물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장 비골 건(peroneus longus tendon)과 단 비골건이 동적 구조물(dynamic stabilizer)로서 발목관절에 기능적 안정성(functional stability)을 부여하고 있다. 만성 발목 불안정증의 원인 인자로는 외측 인대 구조물의 손상에 따른 해부학적 불안정성 이외에도 발목관절 주변의 고유 수용감각(proprioception)의 저하, 비골근의 약화(weakness), 비골근의 반응속도 저하(prolonged reaction time)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 발목 불안정증의 원인 인자는? 발목관절의 외측 안전성은 전 거비인대(anterior talofibualr ligament), 종비인대(calcaneofibualr ligament), 후 거비인대(posteriortalofibualr ligament), 원위 경비골간 인대복합체(syndesmosis)와 같은 인대 구조물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장 비골 건(peroneus longus tendon)과 단 비골건이 동적 구조물(dynamic stabilizer)로서 발목관절에 기능적 안정성(functional stability)을 부여하고 있다. 만성 발목 불안정증의 원인 인자로는 외측 인대 구조물의 손상에 따른 해부학적 불안정성 이외에도 발목관절 주변의 고유 수용감각(proprioception)의 저하, 비골근의 약화(weakness), 비골근의 반응속도 저하(prolonged reaction time) 등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따라서 발목관절 외측 인대 손상 후의 보존적 치료 및 만성 불안정증에 대한 수술 후의 재활치료에서 비골근력의 강화를 통한 기능적 안정성의 회복은 만족스러운 임상 결과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iGiovanni CW, Brodsky A. Current concepts: lateral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006;27:854-66. 

  2. Lentell G, Katzman LL, Walters MR.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le function and ankle stability.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0;11:605-11. 

  3. Bosien WR, Staples OS, Russell SW. Residual disability following acute ankle sprains. J Bone Joint Surg Am. 1955;37:1237-43. 

  4. Freeman MA, Dean MR, Hanham IW. The etiology and preven- tion of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foot. J Bone Joint Surg Br. 1965;47:678-85. 

  5. Wilkerson GB, Pinerola JJ, Caturano RW. Invertor vs. evertor peak torque and power deficiencies associated with lateral ankle ligament injury.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7;26:78-86. 

  6. Lofvenberg R, Karrholm J, Sundelin G, Ahlgren O. Prolonged reaction time in patients with chronic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Am J Sports Med. 1995;23:414-7. 

  7. Tropp H. Pronator muscle weakness in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Int J Sports Med. 1986;7:291-4. 

  8. Baumhauer JF, Alosa DM, Renstrom AF, Trevino S, Beynnon B. A prospective study of ankle injury risk factors. Am J Sports Med. 1995;23:564-70. 

  9. Povacz P, Unger SF, Miller WK, Tockner R, Resch H. A randomized, prospective study of operative and non-operative treatment of injuries of the fibular col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J Bone Joint Surg Am. 1998;80:345-51. 

  10. Urguden M, Kizilay F, Sekban H, Samanci N, Ozkaynak S, Ozdemir H. Evaluation of the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by inversion simulation device and assessment of the rehabilitation program. Acta Orthop Traumatol Turc. 2010;44:365-77. 

  11. Shon HC, Kim YM, Kim DS, Choi ES, Park KJ, Cho BK, et al. Radiographic measurement of ankle lateral stability in normal Korean adults. J Korean Foot Ankle Soc. 2010;14:41-6. 

  12. Levene JA, Hart BA, Seeds RH, Fuhrman GA. Reliability of reciprocal isokinetic testing of the knee extensors and flexor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1;14:121-7. 

  13. Lord JP, Aitkens SG, McCrory MA, Bernauer EM. Isometric and isokinetic measurement of hamstring and quadriceps strength. Arch Phys Med Rehabil. 1992;73:324-30. 

  14. Rosentswieg J, Hinson MM. Comparison of isometric, isotonic and isokinetic exercises by electromyography. Arch Phys Med Rehabil. 1972;53:249-52. 

  15. Kang SY, Jang KE. Isokinetic evaluation of the ankle invertors and evertors in the normal young adults. Ann Rehabil Med. 1988;12:168-74. 

  16. Marino M, Nicholas JA, Gleim GW, Rosenthal P, Nicholas SJ. The efficacy of manual assessment of muscle strength using a new device. Am J Sports Med. 1982;10:360-4. 

  17. Kim JY, Tae SK, Yeo DH, Lee HM, Oh JS. Pre- and postoperative isokinetic strength test in rotator cuff tear. Clin Should Elbow. 2011;14:179-86. 

  18. Karnofel H, Wilkinson K, Lentell G. Reliability of isokinetic muscle testing at the ankl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89;11:150-4. 

  19. Ivey FM Jr, Calhoun JH, Rusche K, Bierschenk J. Isokinetic testing of shoulder strength: normal values. Arch Phys Med Rehabil. 1985;66:384-6. 

  20. Lentell G, Cashman PA, Shiomoto KJ, Spry JT. The effect of knee position on torque output during inversion and eversion movements at the ankl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88;10:177-83. 

  21. Balduini FC, Tetzlaff J. Historical perspectives on injuries of the ligaments of the ankle. Clin Sports Med. 1982;1:3-12. 

  22. Andersen H, Jakobsen J. A comparative study of isokinetic dynamometry and manual muscle testing of ankle dorsal and plantar flexors and knee extensors and flexors. Eur Neurol. 1997;37: 239-42. 

  23. Hwang JH, Kim JM, Lee YT. Isokinetic evaluation of ankle invertor and evertor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sprain. Ann Rehabil Med. 1998;22:1329-34. 

  24. Ha KI, Hahn SH, Chung MY, Ryu JW. Analysis of internal rotator-external rotator muscle of the shoulder with Cybex II. J Korean Orthop Assoc. 1987;22:304-9. 

  25. Ha KI, Hahn SH, Chung MY, Yu SC. Analysis of the flexor-extensor muscle force of the knee with Cybex II. J Korean Orthop Assoc. 1984;19:1043-50. 

  26. Cha SM, Chang BH, Suh JS. Analyses of timing of single heel raise and muscle power after achilles tendon repair. J Korean Orthop Assoc. 2013;48:96-103. 

  27. Elliott J. Assessing muscle strength isokinetically. JAMA. 1978; 240:2408, 2410. 

  28. Grace TG, Sweetser ER, Nelson MA, Ydens LR, Skipper BJ. Isokinetic muscle imbalance and knee-joint injuries. A prospective blind study. J Bone Joint Surg Am. 1984;66:734-40. 

  29. Cress NM, Peters KS, Chandler JM. Eccentric and concentric force-velocity relationships of the quadriceps feimoris muscl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2;16:82-6. 

  30. Ashton-Miller JA, Ottaviani RA, Hutchinson C, Wojtys EM. What best protects the inverted weightbearing ankle against further inversion? Evertor muscle strength compares favorably with shoe height, athletic tape, and three orthoses. Am J Sports Med. 1996;24:8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