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구운동과 복합운동이 발목염좌 경험이 있는 태권도학과 학생의 발목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oard Training and Complex Training on Ankle Stability in Taekwondo Students with a History of Ankle Sprain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18 no.2, 2011년, pp.182 - 191  

김우원 (경원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조경숙 (경원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board training and complex training on ankle stability in taekwondo college students with a history of ankle sprain. Methods: Twenty-seven taekwondo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a board training (BTG, n=9), complex tra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발목염좌 경험이 있는 태권도학과 학생에게 원판과 트램폴린 등의 기구를 이용한 운동과 저항성 운동과 플라이오메트릭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을 실시하여 발목안정성에 대한 효과를 비교함으로서 발목재활 운동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태권도학과 재학생 중 발목 염좌 경험 있는 남학생 27명을 대상으로 8주간 기구운동과 복합 운동을 실시하여 발목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 발목 안정성 향상을 위한 운동 중에서, 원판운동과 트램폴린 운동은 기구가 필요한데 비해 체중을 이용한 저항운동과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은 기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판과 트램폴린 등의 기구를 이용한 운동과 저항성운동과 플라이오메트릭운동으로 구성된 복합운동을 실시하여 발목안정성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포츠와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손상되는 부위는 어디인가? 스포츠와 관련하여 가장 빈번하게 손상되는 부위는 무릎과 발목으로, 전체 스포츠 관련 손상 중 약 77%가 하지에서 발생하며, 이중 무릎이 21%, 발목이 18%를 차지하고 주로 염좌의 형태로 발생한다(Han; Chung & Lim, 2010에 인용됨; Tropp, Askling, & Gillquist, 1994). 한번 발목의 손상을 경험한 사람들 중 약 80%가 재손상을 경험하고 있고(Hertel, 2000; Yeung, Chan, So, & Wuan, 1994), 발목관절 염좌를 경험한 환자들의 10~50%가 만성적인 통증이나 재 손상 등의 만성 발목관절 염좌 증상을 호소한다고 알려져 있다(Karlsson & Lansinger, 1992).
발목의 반복적인 손상이 주는 영향은 무엇인가? 발목의 반복적인 손상은 전경골근과 장비골근의 근력 약화와 고유수용성 감각의 기능 저하 등을 유발하는데, 이러한 증상들로 인하여 발목이 불안정해지고, 이는 또 다시 재 손상을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Kaminski, & Hrtsell, 2002; Lentell et al., 1995).
우리나라 태권도 선수들이 상해 예방을 위해 해야 할 행동은 무엇인가? 2%였다(Yang, 2003). 그러므로 경기나 훈련기간 중에는 상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상해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상해의 종류와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하여 재 손상을 예방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rnier, J. N. & Perrin, D. H. (1998). Effect of coordination training on proprioception of the functionally unstable ankle. The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7(4), 264-275. 

  2. Cha, S. H. (2007). The effects of baps board training and trampoline training on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ungnam. 

  3. Cho, M. H. (2002). Injuries in taekwondo athle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4. Chung H. C. & Lim, N. Y. (2010). Effect of taping therapy on the ROM, pain, and discomfort of adults with ankle pain.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7(2), 124-131. 

  5. Han, D. K. & Ha, S. M. (2004). The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on balance of adolescence with Down's syndrome and relationship of strength and balance. Journal of Special Physical Education, Yongin University, 1, 117-136. 

  6. Hertel, J. (2000). Functional instability following lateral ankle sprain. Sports Medicine, 29(5), 361-371. 

  7. Holcomb, W., Lander, J., Rutland, R., & Wilson, G. (1996). A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vertical jump and three modified plyometric depth jump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10(2), 83-88. 

  8. Jeong, H. D. (1994). A study on frequency of balchagee techniques and points of each weight class in woman world taekwondo ga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Masan. 

  9. Joo, S. H. (2000). Effects of trampoline exercise on the balance of children with traumatic brain inju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Kaminski, T. W. & Hrtsell, H. D. (2002). Factors contributing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A strength perspective.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7(4), 394-405. 

  11. Karlsson, J. & Lansinger, O. (1992). Later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int. Clinical Orthopaedics & Related Research, 276, 253-261. 

  12. Kidgell, D. J., Horvath, D. M., Jackson, B. M., & Seymour, P. J. (2007). Effect of six weeks of dura disc and mini-trampoline balance training on postural sway in athlete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Strength & Conditioning Research, 21(2), 466-469. 

  13. Kim, Y. S., Park, S. Y., Kang, H. J., Suk, M. H., & Oh, J. W. (2004). The effect of disk training and the combined training on functional stability of ankles. Exercise Science, 13(1), 113-124. 

  14. Kraus, J. F. & Conroy, C. (1984). Mortality and morbidity from injuries in sports and recreation.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5, 163-192. 

  15. Lee, K. S. (2005). A research into injuries to Taekwondo trainees during exercise:: Based on local gymnasiu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16. Lee, M. H. (2002). Analysis of sport injuries during the Taekwondo tournament in Korean elite Taekwondo play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17. Lee, Y. Y., Bae, Y. J., Lee, J. O., Yoon, C. H., Kim, N. I., & Kim, D. J. (2000). The effect of plyometric training on the power of lower leg's knee and ankle joi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erobic Exercise, 4(2), 49-62. 

  18. Lentell, G. L., Bass, B., Lopez, D., MeGuire, L., Sarrels, M., & Snyder, P. (1995). The contributions of proprioceptive deficits, muscle function, and anatomical laxity to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Journal of Orthop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1, 206-215. 

  19. Lim, S. J. (1993). Study of structures in Taekwondo competition skil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20. Na, Y. M., Moon, J. H., Seong, Y. J., Lee, H. J., Lee, H. S., & Eo, E. S. (1999). The effects of ankle disk training in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Korean Society of Sports Medicine, 17(2), 406-412. 

  21. Newton, R., Hakkinen, K., & Hakkinen, A., McCormick, M., Volek, J., & Kraemer, W. (2002). Mixed-methods resistance training increase power and strength of young and older me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34(8), 1367-1375. 

  22. Osborne, M., Chou, L., Laskowski, E., Smith, J., & Kaufman, K. (2001). The effect of ankle disk training on muscle reaction time in subjects with a history of ankle sprain.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9(5), 627-632. 

  23. Park, S. J., Hwang, J. H., Lee, Y. T., & Lim, S. G. (2006). The effect of hospital based rehabilitation exercise and home rehabilitation exercise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sprain. Korean Society of Sports Medicine, 24(2), 194-199. 

  24. Ragnarsdottir, M. (1996). The concept of balance. Physiotherapy, 82(6), 368-375. 

  25. Tropp, H., Askling, C., & Gillquist, J. (1994). Prevention of ankle sprains.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13(4), 259-262. 

  26. Wester, J. U., Jespersen, S. M., Nielsen, K. D., & Neumann, L. (1996). Wobble board training after partial sprains of the lateral ligaments of the ankle: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3(5), 332-336. 

  27. Willems, T., Witvrouw, E., Verstuyft, J., Vaes, P., & Clercq, D. (2002). Proprioception and muscle strength in subjects with a history of ankle sprains and chronic instability.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37(4), 487-493. 

  28. Wolfe, M. W., Uhl, T. L., Mattacola, C. G., & McCluskey, L. C. (2001). Management of ankle sprains. American Family Physician, 63(1), 93-104. 

  29. Yang, S. H. (2003). Injuries in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30. Yeung, M. S., Chan, K. M., So, C. H., & Wuan, W. Y. (1994). An epidemiological survey on ankle sprai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8, 112-1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